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 [2023/03/22] – ↷ 문서가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에서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음향:microphone:polar_pattern [2024/03/04]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 줄 3:
 마이크의 지향성은, 마이크가 어느 부분의 소리만 받아들이고 어느 부분의 소리는 잘 안 받아들이게 끔 방향성을 가진 것을 말한다. 지향성에는 마이크 사방으로 모든 방향의 소리를 받아들이는 무지향성(Omni), 양쪽 전면 부와 후면 부의 소리를 동시에 받아들이고 측면 부의 소리는 거부하는 양지향성(Figure 8), 측면 부와 후면 부의 소리를 거부하지만 전면 부의 소리를 받아들이는 단일 지향성(Cardioid)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여기서 정도의 차이에 따라 수퍼카디오이드, 하이퍼 카디오이드 등으로 세부 분류 될 수 있다. 마이크의 지향성은, 마이크가 어느 부분의 소리만 받아들이고 어느 부분의 소리는 잘 안 받아들이게 끔 방향성을 가진 것을 말한다. 지향성에는 마이크 사방으로 모든 방향의 소리를 받아들이는 무지향성(Omni), 양쪽 전면 부와 후면 부의 소리를 동시에 받아들이고 측면 부의 소리는 거부하는 양지향성(Figure 8), 측면 부와 후면 부의 소리를 거부하지만 전면 부의 소리를 받아들이는 단일 지향성(Cardioid)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여기서 정도의 차이에 따라 수퍼카디오이드, 하이퍼 카디오이드 등으로 세부 분류 될 수 있다.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2-234113.png}}\\ +<WRAP centeralign box>{{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2-234113.png|}}\\ 
-무지향성양지향성단일 지향성\\ +<WRAP tablewidth 100%> 
-수퍼 카디오이드하이퍼 카디오이드샷건 마이크\\+|  무지향성  |  양지향성  |  단일 지향성  | 
 +|  수퍼 카디오이드  |  하이퍼 카디오이드  |  샷건 마이크  | 
 +</WRAP> 
 +</WRAP> 
  
  
 =====무지향성 마이크의 원리===== =====무지향성 마이크의 원리=====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100.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100.png?400 }}
 무지향성 마이크의 경우는 진동판의 한쪽만 개방되어있고 다른 한쪽은 막혀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나던지 간에 회절되어 진동판에 같은 방향으로 들어온다. 따라서 무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무지향성 마이크의 경우는 진동판의 한쪽만 개방되어있고 다른 한쪽은 막혀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나던지 간에 회절되어 진동판에 같은 방향으로 들어온다. 따라서 무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우리가 무대위에서 마이크의 헤드 아래부분을 너무 손으로 꽉쥐어서 막아버리게 되면 순간적으로 마이크는 무지향성으로 변하여 피드백을 일으키고 음색 특성이 달라지는(근접 효과가 사라짐) 이유도 이와 같다.+우리가 무대위에서 마이크의 헤드 아래부분을 너무 손으로 꽉쥐어서 막아버리게 되면 순간적으로 마이크는 무지향성으로 변하여 피드백을 일으키고 음색 특성이 달라지는(근접효과가 사라짐) 이유도 이와 같다.
  
  
 =====양지향성 마이크의 원리===== =====양지향성 마이크의 원리=====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45.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45.png?400 }}
  
 양지향성 마이크의 경우는 진동판의 양쪽이 전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소리가 마이크 진동판에 수직한 양쪽 방향의 소리는 받을수있지만, 측면의 소리는 양쪽 진동판에 방향이 반대인 동일한 진동으로 들어오게 되서 서로 상쇄되서 사라진다. 양지향성 마이크의 경우는 진동판의 양쪽이 전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소리가 마이크 진동판에 수직한 양쪽 방향의 소리는 받을수있지만, 측면의 소리는 양쪽 진동판에 방향이 반대인 동일한 진동으로 들어오게 되서 서로 상쇄되서 사라진다.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29.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29.png?400 }}
  
-=====단일지향성 마이크의 원리(싱글다이어프)=====+=====단일지향성 마이크의 원리(싱글 다이어프)=====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55.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55.png?400 }}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12.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3012.png?400 }}
  
-단일지향성 마이크(싱글캡슐) 의 경우는 진동판의 한쪽은 전부 개방되어있고 뒷면은 구멍으로 살짝 개방되어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소리가 마이크 진동판 앞면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잘 들어오지만 각도가 측면에서 뒷면으로 바뀔수록, 소리가 점점 상쇄되어 사라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림의 화살표의 크기를 잘 보면 그 정도를 알수 있다.+단일지향성 마이크(싱글 다이어프램) 의 경우는 진동판의 한쪽은 전부 개방되어있고 뒷면은 구멍으로 살짝 개방되어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소리가 마이크 진동판 앞면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잘 들어오지만 각도가 측면에서 뒷면으로 바뀔수록, 소리가 점점 상쇄되어 사라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림의 화살표의 크기를 잘 보면 그 정도를 알수 있다.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37.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37.png?400 }}
  
-{{ 음향:hardware: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22.png?400 }}+{{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pasted:20220113-142922.png?400 }}
  
-=====듀얼 캡슐 지향성 마이크=====+=====듀얼 다이어프램 지향성 마이크=====
  
-무지향성 크 캡슐과 양지향성 크 캡슐을 동시에 배치 하여 두 캡슐의 소리를 섞어 사용하면 지향성을 조절 가능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만들 수 있다.+무지향성 어프램과 양지향성 어프램을 동시에 배치 하여 두 다이어프램의 소리를 섞어 사용하면 지향성을 조절 가능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만들 수 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icrophone/polar_pattern.16794672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3/22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