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2023/11/20] – [Sennheiser] 정승환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2024/03/1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 줄 3: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는 마이크와 수신기 간에 전선 연결 없이 무선 통신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휴대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음성 또는 오디오를 녹음하거나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무선 마이크는 무대 공연, 프레젠테이션, 녹음 작업, 텔레비전 방송 및 다양한 이벤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무선 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이크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며, 송신기에서 캡처한 오디오는 무선으로 수신기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출력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더 큰 자유도와 편의성을 제공하며, 이동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는 마이크와 수신기 간에 전선 연결 없이 무선 통신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휴대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음성 또는 오디오를 녹음하거나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무선 마이크는 무대 공연, 프레젠테이션, 녹음 작업, 텔레비전 방송 및 다양한 이벤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무선 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이크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며, 송신기에서 캡처한 오디오는 무선으로 수신기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출력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더 큰 자유도와 편의성을 제공하며, 이동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 youtube>zQf24AHu2Qg?large }}+<WRAP centeralign box> 
 +{{ youtube>zQf24AHu2Qg?large }}\\ 
 +</WRAP>
  
 ======Wireless MIC====== ======Wireless MIC======
줄 10: 줄 12:
 =====무선 송/수신기===== =====무선 송/수신기=====
  
-  * 송신기 : Transmitter, Tx, 무선 마이크와 보통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바디팩 형태로 된 송신기는 라발리어 마이크(핀 마이크)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  * 송신기 : Transmitter, TX, 무선 마이크와 보통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바디팩 형태로 된 송신기는 라발리어 마이크(핀 마이크)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  * 수신기 : Receiver, Rx, 소리를 받아서 믹싱 콘솔에 연결한다.+  * 수신기 : Receiver, RX, 소리를 받아서 믹싱 콘솔에 연결한다.
  
-{{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305-115821.png |Sennheiser EW-DX}}+<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305-115821.png |Sennheiser EW-DX}}\\ 
 +Sennheiser EW-DX</WRAP>
  
 =====UHF 대역===== =====UHF 대역=====
줄 27: 줄 30:
 500~600MHz 대역은 넓은 대역폭으로 인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의 수가 많아서 많은 무선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지만, 900MHz(925~937MHz)에서는 좁은 대역폭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채널만 운용 가능하다. 즉 500-600MHz 장비를 쓸수 있는 방송국/공연장 등에서는 아날로그 무선 마이크를 펑펑 쓸수 있지만 900MHz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일반 용도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의 무선 마이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힘들다.((그래서 900MHz 아날로그에서 900MHz 디지털 방식의 사용으로 점점 바뀌는 중이다.)) 500~600MHz 대역은 넓은 대역폭으로 인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의 수가 많아서 많은 무선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지만, 900MHz(925~937MHz)에서는 좁은 대역폭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채널만 운용 가능하다. 즉 500-600MHz 장비를 쓸수 있는 방송국/공연장 등에서는 아날로그 무선 마이크를 펑펑 쓸수 있지만 900MHz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일반 용도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의 무선 마이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힘들다.((그래서 900MHz 아날로그에서 900MHz 디지털 방식의 사용으로 점점 바뀌는 중이다.))
  
-900MHz 아날로그 무선의 경우 무선 송수신기에 자체적으로 **자동 주파수 가변 기능**((무선 작동 중에도 사용 중이거나 혼선이 들어오는 주파수를 알아서 회피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최대 8채널 사용을 할 수 있다.((라고 광고는 한다. 하지만 다른 무선 장치들이나 무선 상황에 따라 힘들 수 있다.))+900MHz 아날로그 무선의 경우 무선 송수신기에 자체적으로 **자동 주파수 가변 기능**((무선 작동 중에도 사용 중이거나 혼선이 들어오는 주파수를 알아서 회피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최대 8채널 정도 사용을 할 수 있다.((라고 광고는 한다. 하지만 다른 무선 장치들이나 무선 상황에 따라 힘들 수 있다.))
  
-{{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228-085513.png }}+<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228-085513.png |Sennheiser XSW}}\\ 
 +Sennheiser XSW</WRAP>
  
 ====UHF 디지털==== ====UHF 디지털====
줄 35: 줄 39:
 디지털 방식은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동시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이 UHF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훨씬 많지만 A/D 컨버터, D/A 컨버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조금 발생한다. 추가로 고급 UHF 디지털 모델의 경우에는 혼선 방지를 위한 주파수 관리 기능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턴시가 조금 더 추가 된다. UHF 디지털 방식 무선 마이크들은 레이턴시가 살짝 있긴 하지만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 가능한 채널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점점 UHF 디지털 방식의 무선 마이크로 바뀌는 중이다. 디지털 방식은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동시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이 UHF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훨씬 많지만 A/D 컨버터, D/A 컨버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조금 발생한다. 추가로 고급 UHF 디지털 모델의 경우에는 혼선 방지를 위한 주파수 관리 기능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턴시가 조금 더 추가 된다. UHF 디지털 방식 무선 마이크들은 레이턴시가 살짝 있긴 하지만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 가능한 채널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점점 UHF 디지털 방식의 무선 마이크로 바뀌는 중이다.
  
-{{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228-090410.png |ULXD}}+<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microphone:20230228-090410.png |Shure ULXD}}\\ 
 +Shure ULXD</WRAP>
  
-{{ :음향:microphone:20231029-020448.png |EW-DP}}+<WRAP centeralign box>{{ :음향:microphone:20231029-020448.png |Sennheiser EW-DP}}\\ 
 +Sennheiser EW-DP</WRAP>
  
  
줄 80: 줄 86:
 =====브랜드별 무선 마이크 비교===== =====브랜드별 무선 마이크 비교=====
  
-각 브랜에서 제공하는 스팩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어디까지나 스팩상의 **최대 사용 갯수**와 **최대 사용 거리**입니다. 실제로는 주변 환경이나 주파수 상황에 따라 **실제 사용 갯수**와 **실제 사용 거리**는 **절반 수준**으로 보는 것이 안전합니다.+각 브랜에서 제공하는 스팩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어디까지나 스팩상의 **최대 사용 갯수**와 **최대 사용 거리**입니다. 실제로는 주변 환경이나 주파수 상황에 따라 **실제 사용 갯수**와 **실제 사용 거리**는 **절반 수준**으로 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WRAP tablewidth 100%>
  
 ====Sennheiser==== ====Sennheiser====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XSW-1|10|아날로그 UHF 900MHz|60m|아니요| |XSW-1|10|아날로그 UHF 900MHz|60m|아니요|
 |XSW-2|12|아날로그 UHF 900MHz|100m|아니요| |XSW-2|12|아날로그 UHF 900MHz|100m|아니요|
줄 95: 줄 102:
  
 ====Shure==== ====Shure====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BLX(900MHz)|12|아날로그 UHF|100m|아니요| +|BLX|12|아날로그 UHF 900MHz|100m|아니요| 
-|GLX-D+(ISM)|11((모든 시스템 최적화 및 모든 조건 충족 시))|ISM|30m|아니오| +|GLX-D+|11((모든 시스템 최적화 및 모든 조건 충족 시))|ISM|30m|아니오| 
-|SLX-D(900MHz)|10|디지털 UHF|100m|예| +|SLX-D|10|디지털 UHF 900MHz|100m|예| 
-|QLX-D(900MHz)|3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100m|예| +|QLX-D|3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 900MHz|100m|예| 
-|ULX-D(900MHz)|9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100m|예| +|ULX-D|9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 900MHz|100m|예| 
-|Axient Digital(900MHz)|9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100m|예| +|Axient Digital|94((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 900MHz|100m|예| 
-|Axient Digital(600MHz)|368((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100m|예|+|Axient Digital|368((6MHz 에서 17개, 우리나라에서는 900MHz 대역은 925MHz~937MHz로 총 12MHz 대역폭이므로 34개))|디지털 UHF 600MHz|100m|예|
  
 {{:음향:microphone:20231110-023549.png}}\\ {{:음향:microphone:20231110-023549.png}}\\
줄 108: 줄 115:
 ====AKG==== ====AKG====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DMS100|4|ISM|30m|아니오| |DMS100|4|ISM|30m|아니오|
 |DMS300|8|ISM|30m|아니| |DMS300|8|ISM|30m|아니|
줄 118: 줄 125:
 ====Sony==== ====Sony====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리즈^최대 동시 채널^전송 유형^최대 거리^교환 캡슐^ 
-|UWP-D|N/A|디지털 UHF|N/A|예(UTX-M40)|+|UWP-D1x|8|디지털 UHF|N/A|예(UTX-M03)| 
 +|UWP-D2x|16|디지털 UHF|N/A|예(UTX-M40)| 
  
 {{ :음향:microphone:20231110-002131.png }} {{ :음향:microphone:20231110-002131.png }}
  
 +</WRA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170048235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1/2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