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2024/10/05] – [AKG] 정승환 |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 [2025/05/15] (현재) – [무선 송/수신기] 정승환 | ||
---|---|---|---|
줄 1: | 줄 1: | ||
======무선 마이크====== | ======무선 마이크====== | ||
- |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는 마이크와 수신기 간에 | + |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는 마이크와 수신기 간에 |
- | **[[유저위키: | + | **[[instrument_wiki: |
<WRAP centeralign box> | <WRAP centeralign box> | ||
- | {{ youtube> | + | {{ youtube> |
</ | </ | ||
줄 14: | 줄 14: | ||
=====무선 송/ | =====무선 송/ | ||
- | * 송신기 : Transmitter, | + | * 송신기 : Transmitter, |
* 수신기 : Receiver, RX, 소리를 받아서 믹싱 콘솔에 연결한다. | * 수신기 : Receiver, RX, 소리를 받아서 믹싱 콘솔에 연결한다. | ||
줄 36: | 줄 36: | ||
====UHF 디지털==== | ====UHF 디지털==== | ||
- | 디지털 방식은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동시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이 UHF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훨씬 많지만 A/D 컨버터, D/A 컨버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조금 발생한다. 추가로 고급 UHF 디지털 모델의 경우에는 혼선 방지를 위한 주파수 관리 기능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턴시가 조금 더 추가 된다. UHF 디지털 방식 무선 마이크들은 레이턴시가 살짝 있긴 하지만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 가능한 채널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점점 UHF 디지털 방식의 무선 마이크로 바뀌는 중이다. | + | 디지털 방식은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동시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이 UHF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훨씬 많지만 A-D 컨버터, D-A 컨버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조금 발생한다. 추가로 고급 UHF 디지털 모델의 경우에는 혼선 방지를 위한 주파수 관리 기능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턴시가 조금 더 추가 된다. UHF 디지털 방식 무선 마이크들은 레이턴시가 살짝 있긴 하지만 음질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 가능한 채널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점점 UHF 디지털 방식의 무선 마이크로 바뀌는 중이다. |
<WRAP centeralign box>{{ : | <WRAP centeralign box>{{ : | ||
줄 52: | 줄 52: | ||
ISM 대역의 무선 마이크들은 ISM 대역 주파수의 특성 상, 보통 근거리 사용 용도로 만들어진다.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가 가까울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수신기를 무대에 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ISM 대역의 무선 마이크들은 ISM 대역 주파수의 특성 상, 보통 근거리 사용 용도로 만들어진다.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가 가까울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수신기를 무대에 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
- | ISM 대역의 무선 마이크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되어지는데 A/D 컨버터, D/A 컨버터에 의한 레이턴시가 발생하고, | + | ISM 대역의 무선 마이크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되어지는데 A-D 컨버터, D-A 컨버터에 의한 레이턴시가 발생하고, |
ISM 대역은 야외,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WiFi 포화 상태인 경우는 정말 운용이 힘들다. 야외 번화가, 인파 많은 곳에서는 10m 정도도 운용하기 힘들 수 있다. | ISM 대역은 야외,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WiFi 포화 상태인 경우는 정말 운용이 힘들다. 야외 번화가, 인파 많은 곳에서는 10m 정도도 운용하기 힘들 수 있다. | ||
줄 132: | 줄 132: | ||
</ | </ | ||
+ |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microphone/wireless_microphone.172813341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