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xingconsole:split_consol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ixingconsole:split_console [2024/02/15] – 바깥 편집 127.0.0.1음향:mixingconsole:split_console [2024/03/04]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 줄 3:
 ====== 스플릿 콘솔 ====== ====== 스플릿 콘솔 ======
  
-레코딩 채널과 녹음 된 레코더의 플레이백 채널이 각기 다른 채널로 연결되어 있는 콘솔.\\  레코딩 채널엔 마이크 프앰프만 내장되어있고, 플레이백 채널은 라인 프리앰프만 내장되어 있기도 하고, 전 체널에 마이크 프리앰프, 라인 프리앰프가 둘 다 내장되어 있어서 스위치로 전환해 가며 쓰는 콘솔을 쓰기도 한다.+레코딩 채널과 플레이백 채널이 각기 다른 채널로 리 되어있는 콘솔.
  
-이러한 스플릿 콘솔의 단점은 16채널을 녹음 하고 플레이백하는 시스템이면, 16채널은 레코딩/인풋 모니터링 용도로 써야 하고, 또다른 16채널이 있어서, 그것을 멀티 트랙 레코더의 개별 출력을 플레이/믹스하는 플레이백 채널로 써야 하기 때문에, 16채널 녹음 용 시스템의 2배인 32채널을 낭비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녹음 채널의 이퀄라이저 나 AUX send의 셋팅과, 플레이백 채널의 이퀄라이저와 AUX send 의 셋팅을 사람이 동일하게 맞춰주어야 한다.+이러한 스플릿 콘솔의 단점은 16 채널을 녹음하고 플레이백하는 시스템이면, 16 채널은 레코딩/인풋 모니터링 용도로 써야하고, 또 다른 16 채널이 있어서, 그것을 멀티 트랙 레코더의 개별 출력을 플레이/믹스하는 플레이백 채널로 써야하기 때문에, 16 채널 녹음 용 시스템의 경우는 그 2 배인 32 채널을 낭비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녹음 채널의 이퀄라이저 나 AUX 센드의 셋팅과, 플레이백 채널의 이퀄라이저와 AUX 센드의 셋팅을 사람이 동일하게 맞춰주어야 한다.
  
-녹음을 위한 다이렉트 아웃 의 경우도 플레이백 채널에는 없고 레코딩 채널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녹음을 위한 다이렉트 아웃의 경우도 플레이백 채널에는 없고 레코딩 채널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맥키 믹서 등을 보면 16채널 의 아날로그 믹서라도 그 절반인 8채널만 다이렉트 아웃 이 있는 케이스가 바로 이 경우.+맥키 믹서 등을 보면 16 채널의 아날로그 믹서라도 그 절반인 8 채널만 다이렉트 아웃이 있는 케이스가 바로 이 경우.
 )) ))
  
-{{음향:hardware:mixingconsole:start:pasted:20220112-193939.png}} +<WRAP centeralign box> 
- +{{음향:mixingconsole:start:pasted:20220112-193939.png}} 
-위 그림에서 처럼 오렌지 색 부분은 레코딩 채널로 쓰고, 녹색 부분은 플레이백 채널로 쓰게 된다.+오렌지 색 부분은 레코딩 채널로 쓰고, 녹색 부분은 플레이백 채널로 쓰게된다. 
 +</WRAP>
  
 하지만 스플릿 콘솔은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스플릿 콘솔은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음향:hardware:mixingconsole:start:pasted:20220112-193948.png}}+{{음향:mixingconsole:start:pasted:20220112-193948.p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ixingconsole/split_console.170798188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