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2025/06/04] – [FET 컴프레서] 정승환 |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2025/06/30] (현재) – [VCA 컴프레서] 정승환 | ||
---|---|---|---|
줄 1: | 줄 1: | ||
======컴프레서 토폴로지====== | ======컴프레서 토폴로지====== | ||
- | 컴프레서의 토폴로지는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과 회로 구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주요 토폴로지에는 시대순으로 Vari-Mu, Opto, Didoe Bridge, FET, VCA, PWM 방식이 있으며, 각각 독특한 동작 원리와 음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컴프레서의 토폴로지는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과 회로 구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주요 토폴로지에는 시대순으로 Vari-Mu, Opto, Diode Bridge, FET, VCA, PWM 방식이 있으며, 각각 독특한 동작 원리와 음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줄 14: | 줄 14: | ||
Vari-mu 컴프레서는 진공관 증폭 회로를 이용해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게인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방식의 컴프레서입니다. 신호가 커질수록 점진적으로 더 많은 압축이 걸리며, 진공관 특유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색과 자연스러운 다이내믹 제어가 특징입니다. 게인 리덕션 회로가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 조절 회로이기 때문에 타임 콘스탄트(어택, | Vari-mu 컴프레서는 진공관 증폭 회로를 이용해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게인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방식의 컴프레서입니다. 신호가 커질수록 점진적으로 더 많은 압축이 걸리며, 진공관 특유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색과 자연스러운 다이내믹 제어가 특징입니다. 게인 리덕션 회로가 진공관을 이용한 증폭 조절 회로이기 때문에 타임 콘스탄트(어택,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1 center|Vari-Mu 는 Soft Knee 스타일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
- | {{ : | + | </imgcaption> |
- | Vari-Mu 는 Soft Knee 스타일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WRAP>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2 center|Fairchild 670> |
- | [[instrument_wiki: | + | |
{{ youtube> | {{ youtube> | ||
줄 28: | 줄 26: | ||
* 센서 : Optical, RMS처럼 동작한다.((Optical 컴프레서의 센서 반응은 RMS 방식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RMS 컴프레서는 신호의 에너지를 일정 시간 동안 평균화한 값에 기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 지연이 있지만, Optical 컴프레서의 광 센서는 그보다 더 느리게 반응합니다. Optical 컴프레서의 핵심 구성 요소인 광전 소자는 신호에 따른 빛의 강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데, | * 센서 : Optical, RMS처럼 동작한다.((Optical 컴프레서의 센서 반응은 RMS 방식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RMS 컴프레서는 신호의 에너지를 일정 시간 동안 평균화한 값에 기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 지연이 있지만, Optical 컴프레서의 광 센서는 그보다 더 느리게 반응합니다. Optical 컴프레서의 핵심 구성 요소인 광전 소자는 신호에 따른 빛의 강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데, | ||
* Ratio : 약 **4**:1 로 고정 | * Ratio : 약 **4**:1 로 고정 | ||
- | * Attack, Release 고정 ((Tubetech의 CL-1B의 경우는 어택, 릴리스를 수정이 가능하다.)) | + | * Attack, Release 고정 ((Tube-tech의 CL-1B의 경우는 어택, 릴리스를 수정이 가능하다.)) |
* 분류 : leveler | * 분류 : leveler | ||
줄 37: | 줄 35: | ||
{{ youtube> | {{ youtube>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3 center|Teletronix LA-2A> |
- | [[instrument_wiki: | + | |
옵토 방식 컴프레서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인 LA-2A는 구형 장비이기 때문레 레퍼런스 레벨에 대한 표준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져서, | 옵토 방식 컴프레서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인 LA-2A는 구형 장비이기 때문레 레퍼런스 레벨에 대한 표준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져서, | ||
줄 44: | 줄 41: | ||
그래서 LA-2A를 표준에 맞는 시그널 체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2dBu 나 24dBu 입출력으로 다시 복각하여 만든 제품들이 있습니다. TLA-100이나, | 그래서 LA-2A를 표준에 맞는 시그널 체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2dBu 나 24dBu 입출력으로 다시 복각하여 만든 제품들이 있습니다. TLA-100이나, | ||
- | >한국말은 | + | >한국어는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4 center|Summit Audio TLA-100A> |
- | Summit Audio TLA-100A</WRAP>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5 center|ADL 1000> |
- | ADL 1000</WRAP>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6 center|Manley ELOP> |
- | Manley ELOP</WRAP> | + | |
=====Diode Bridge 컴프레서===== | =====Diode Bridge 컴프레서===== | ||
줄 72: | 줄 66: | ||
따라서, 다이오드 Bridge 방식의 컴프레서는 일반적인 오디오 아웃보드들과는 달리 내부 오디오 신호의 대부분이 밸런스로 처리되며, | 따라서, 다이오드 Bridge 방식의 컴프레서는 일반적인 오디오 아웃보드들과는 달리 내부 오디오 신호의 대부분이 밸런스로 처리되며,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7 center|Neve 2254> |
- | [[instrument_wiki: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8 center|Neve 33609> |
- | [[instrument_wiki: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9 center|Rupert neve 5254> |
- | [[instrument_wiki: | + | |
{{ youtube> | {{ youtube> | ||
줄 94: | 줄 85: | ||
FET 방식의 컴프레서는 게인리덕션 회로를 FET 증폭 소자로 구성하고, | FET 방식의 컴프레서는 게인리덕션 회로를 FET 증폭 소자로 구성하고, | ||
- | > | + | <imgcaption 10 center|Urei-1176>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instrument_wiki: | + | |
{{ youtube> | {{ youtube> | ||
줄 109: | 줄 97: | ||
* 분류 : 레벨러, 트랜지언트 쉐이퍼, 버스 컴프레서 등 다양하게 사용 | * 분류 : 레벨러, 트랜지언트 쉐이퍼, 버스 컴프레서 등 다양하게 사용 | ||
- | dbx의 설립자인 Blackmer가 아주 정교하게 동작하는 [[..: | + | dbx의 설립자인 Blackmer가 아주 정교하게 동작하는 [[..: |
- | <WRAP centeralign box>{{ 음향: | + | <imgcaption 11 center|dbx160> |
- | [[instrument_wiki: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12 center|SSL Quad compressor> |
- | [[instrument_wiki: | + | |
- | {{ : | + | < |
{{ youtube> | {{ youtube> | ||
줄 132: | 줄 118: | ||
특징으로는, | 특징으로는,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13 center|Crane Song STC-8> |
- | {{20250518-164314.png}}\\ | + | |
- | Crane Song STC-8\\ | + | |
- | </WRAP>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14 center|Pye 4060> |
- | {{20250518-164411.png}}\\ | + | |
- | Pye 4060\\ | + | |
- | </WRAP>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174901901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