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2025/06/30] – [Vari-Mu 컴프레서]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 [2025/06/30] (현재) – [VCA 컴프레서] 정승환
줄 17: 줄 17:
 </imgcaption> </imgcaption>
  
-<imgcaption center|Fairchild 670>{{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233745.png}}</imgcaption>+<imgcaption center|Fairchild 670>{{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233745.png}}</imgcaption>
  
 {{ youtube>-xA_y0kg18g?full }}\\ {{ youtube>-xA_y0kg18g?full }}\\
줄 35: 줄 35:
 {{ youtube>LSHZCPGN9w0?full }}\\ {{ youtube>LSHZCPGN9w0?full }}\\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233511.png|Teletronix LA-2A}}\\ +<imgcaption 3 center|Teletronix LA-2A>{{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233511.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la-2a|Teletronix LA-2A]]</WRAP>+
  
 옵토 방식 컴프레서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인 LA-2A는 구형 장비이기 때문레 레퍼런스 레벨에 대한 표준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져서, 입출력 연결 방식도 표준에 따르지 않고, 입출력 레벨 또한 16dBu로 표준에 맞지 않는 장비이기 때문에, 시그널 체인 사용상의 제한사항이 많습니다. 옵토 방식 컴프레서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인 LA-2A는 구형 장비이기 때문레 레퍼런스 레벨에 대한 표준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져서, 입출력 연결 방식도 표준에 따르지 않고, 입출력 레벨 또한 16dBu로 표준에 맞지 않는 장비이기 때문에, 시그널 체인 사용상의 제한사항이 많습니다.
줄 44: 줄 43:
 >한국어는 ㅋ,ㄷ,ㅊ 과 같은 치찰음이 비중이 높기 때문에 LA-2A와 같은 제품이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있습니다. >한국어는 ㅋ,ㄷ,ㅊ 과 같은 치찰음이 비중이 높기 때문에 LA-2A와 같은 제품이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3621.png|Summit Audio TLA-100A}}\\ +<imgcaption 4 center|Summit Audio TLA-100A>{{: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3621.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summit_audio_tla-100a|Summit Audio TLA-100A]]</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3643.png|ADL 1000}}\\ +<imgcaption 5 center|ADL 1000>{{: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3643.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adl_1000|ADL 1000]]</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4738.png|Manley ELOP}}\\ +<imgcaption 6 center|Manley ELOP>{{: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813-214738.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manley_labs_elop|Manley ELOP+]]</WRAP+
  
 =====Diode Bridge 컴프레서===== =====Diode Bridge 컴프레서=====
줄 70: 줄 66:
 따라서, 다이오드 Bridge 방식의 컴프레서는 일반적인 오디오 아웃보드들과는 달리 내부 오디오 신호의 대부분이 밸런스로 처리되며, 레벨의 감쇄가 다이오드 회로에 의존하므로, 컴프레서 감쇄 작동 범위가 좁습니다. 또한 밸런스 오디오 회로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다이오드 부품 및 기타 회로 부품의 선별이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신호측과 - 신호측의 회로의 특성이 상당히 일치 해야 합니다.)) 제작 비용이 다른 컴프레서들에 비하여 많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다이오드 Bridge 방식의 컴프레서는 일반적인 오디오 아웃보드들과는 달리 내부 오디오 신호의 대부분이 밸런스로 처리되며, 레벨의 감쇄가 다이오드 회로에 의존하므로, 컴프레서 감쇄 작동 범위가 좁습니다. 또한 밸런스 오디오 회로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다이오드 부품 및 기타 회로 부품의 선별이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신호측과 - 신호측의 회로의 특성이 상당히 일치 해야 합니다.)) 제작 비용이 다른 컴프레서들에 비하여 많이 들어갑니다.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3039.png|Neve 2254}}\\ +<imgcaption 7 center|Neve 2254>{{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3039.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neve_2254|Neve 2254]]</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3113.png|Neve 33609}}\\ +<imgcaption 8 center|Neve 33609>{{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3113.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neve_33609|Neve 33609]]</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5843.png|Rupert neve 5254}}\\ +<imgcaption 9 center|Rupert neve 5254>{{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1-195843.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rupert_neve_designs_5254|Rupert neve 5254]]</WRAP>+
  
 {{ youtube>5K8EBNza8Sk?full }}\\ {{ youtube>5K8EBNza8Sk?full }}\\
줄 92: 줄 85:
 FET 방식의 컴프레서는 게인리덕션 회로를 FET 증폭 소자로 구성하고, 메이크업 게인 증폭 회로 또한 FET 증폭 회로로 구성한 컴프레서입니다. 상대적으로 기존의 컴프레서 방식들 보다는 착색이 덜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고((하지만 여전히 VCA 방식보다는 착색이 강한 사운드)) 더 범위가 넓은 어택, 릴리즈의 컨트롤을 할 수 있습니다. FET 방식의 컴프레서는 게인리덕션 회로를 FET 증폭 소자로 구성하고, 메이크업 게인 증폭 회로 또한 FET 증폭 회로로 구성한 컴프레서입니다. 상대적으로 기존의 컴프레서 방식들 보다는 착색이 덜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고((하지만 여전히 VCA 방식보다는 착색이 강한 사운드)) 더 범위가 넓은 어택, 릴리즈의 컨트롤을 할 수 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906.png|Urei-1176}}\\ +<imgcaption 10 center|Urei-1176>{{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906.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urei-1176|Urei 1176]]</WRAP>+
  
 {{ youtube>q3Gm9zimVfo?full }}\\ {{ youtube>q3Gm9zimVfo?full }}\\
줄 107: 줄 99:
 dbx의 설립자인 Blackmer가 아주 정교하게 동작하는 [[..:..:electric_circuit:solid_state:vca:blackmer_gain_cell|Blackmer gain cell]] 이라는 VCA 회로를 개발하면서, 해당 회로를 이용한 컴프레서와 프리앰프 제품들이 dbx 사와 SSL 사에서 제작되기 시작했습니다. 정교한 VCA 회로를 사용하게 되면서 기존 방식의 컴프레서들보다 더 투명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고, 더 정교하고, 더 범위가 넓은 어택, 릴리즈의 컨트롤이 가능해졌습니다. dbx의 설립자인 Blackmer가 아주 정교하게 동작하는 [[..:..:electric_circuit:solid_state:vca:blackmer_gain_cell|Blackmer gain cell]] 이라는 VCA 회로를 개발하면서, 해당 회로를 이용한 컴프레서와 프리앰프 제품들이 dbx 사와 SSL 사에서 제작되기 시작했습니다. 정교한 VCA 회로를 사용하게 되면서 기존 방식의 컴프레서들보다 더 투명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고, 더 정교하고, 더 범위가 넓은 어택, 릴리즈의 컨트롤이 가능해졌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711.png |dbx160}}\\ +<imgcaption 11 center|dbx160>{{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711.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dbx160|dbx160]]</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646.png|SSL Quad compressor}}\\ +<imgcaption 12 center|SSL Quad compressor>{{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195646.png}}</imgcaption>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ssl_g-comp|SSL Quad Bus compressor]]</WRAP>+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30-005606.png |SSL 6000G BUS compressor}}+<imgcaption 13 center|SSL 6000G BUS compressor>{{: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30-005606.png}}</imgcaption>
  
 {{ youtube>YSj_WlEGjsE?full }}\\ {{ youtube>YSj_WlEGjsE?full }}\\
줄 128: 줄 118:
 특징으로는, 신호 경로에 직접적인 증폭 소자가 개입하지 않아 매우 낮은 왜곡과 착색을 가지며, 디지털적으로 제어되는 펄스 폭을 통해 높은 정밀도의 컴프레션이 가능합니다. 또한 PWM 방식은 VCA 컴프레서보다도 훨씬 빠른 반응 속도를 제공합니다. 특징으로는, 신호 경로에 직접적인 증폭 소자가 개입하지 않아 매우 낮은 왜곡과 착색을 가지며, 디지털적으로 제어되는 펄스 폭을 통해 높은 정밀도의 컴프레션이 가능합니다. 또한 PWM 방식은 VCA 컴프레서보다도 훨씬 빠른 반응 속도를 제공합니다.
  
-<WRAP box centeralign> +<imgcaption 13 center|Crane Song STC-8>{{20250518-164314.png}}</imgcaption>
-{{20250518-164314.png}}\\ +
-Crane Song STC-8\\ +
-</WRAP>+
  
-<WRAP box centeralign> +<imgcaption 14 center|Pye 4060>{{20250518-164411.png}}</imgcaption>
-{{20250518-164411.png}}\\ +
-[[instrument_wiki:아웃보드:컴프레서:pye_4060|Pye 4060]]\\ +
-</WRAP>+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topology.17512107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