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delay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음향:signal_processor:delay [2024/02/16] – [딜레이]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delay [2024/03/06]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
줄 3: 줄 3:
 디지털이 일반화된 지금은 소리를 지연 시키는 일은 너무도 쉽지만, 아나로그 방식이 일반적이던 예전에는 소리를 지연시킬 방법이 없었다. 그러다가, 테이프 레코더에서 녹음 헤드와 재생 헤드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테이프 레코더를 통해 녹음되어 들어오는 소리는 항상 지연되어 모니터링 되는 것을 이용하여 소리를 지연시키거나 딜레이 에코를 만드는 것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디지털이 일반화된 지금은 소리를 지연 시키는 일은 너무도 쉽지만, 아나로그 방식이 일반적이던 예전에는 소리를 지연시킬 방법이 없었다. 그러다가, 테이프 레코더에서 녹음 헤드와 재생 헤드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테이프 레코더를 통해 녹음되어 들어오는 소리는 항상 지연되어 모니터링 되는 것을 이용하여 소리를 지연시키거나 딜레이 에코를 만드는 것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음향:signal_processor:20230214-105730.png?400|Tape machine head}}]+<WRAP centeralign box>{{:음향:signal_processor:20230214-105730.png?400|Tape machine head}}\\ 
 +Tape machine head</WRAP>
  
 ======Delay====== ======Delay======
줄 21: 줄 22:
 딜레이 효과는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지연 효과를 응용한 이펙터이므로, 초창기의 딜레이 전용의 아웃보드는 테이프 머신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기기는 EchoPlex. 재생 헤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달아서 딜레이 간격을 조절 가능 했다. 딜레이 효과는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지연 효과를 응용한 이펙터이므로, 초창기의 딜레이 전용의 아웃보드는 테이프 머신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기기는 EchoPlex. 재생 헤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달아서 딜레이 간격을 조절 가능 했다.
  
-{{page>유저위키:아웃보드:echoplex}}+{{page>유저위키:outboard:echoplex}}
  
 ====Digital Delay Echo==== ====Digital Delay Echo====
 반도체 메모리 기술이 발전하여, 딜레이도 메모리를 이용한 디지털 딜레이가 나오게 되었. 최초의 디지털 딜레이는 Eventide 의 DDL 1745 였는데 메모리의 원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한 디지털 회로를 사용했다. 반도체 메모리 기술이 발전하여, 딜레이도 메모리를 이용한 디지털 딜레이가 나오게 되었. 최초의 디지털 딜레이는 Eventide 의 DDL 1745 였는데 메모리의 원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한 디지털 회로를 사용했다.
  
-{{page>유저위키:아웃보드:eventide_ddl1745}}+{{page>유저위키:outboard:eventide_ddl1745}}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ignal_processor/delay.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1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