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preamp:hi-z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ignal_processor:preamp:hi-z [2024/01/19]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preamp:hi-z [2024/05/09]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Hi-Z 입력====== ======Hi-Z 입력======
  
-Passive 픽업을 장착한 일렉트릭 기타/베이스의 인스트루먼트 레벨의 출력 임피던스는 10Kohm 정도 된다.+Passive 픽업을 장착한 일렉트릭 기타/베이스의 인스트루먼트 레벨의 출력 임피던스는 10KΩ 정도 된다.
  
-<m> Z = V/I,~10kohm=V/I </m> 이므로 전송되는 신호에 비해서 전류량이 10,000배 작은 신호라는 뜻이다. 이러한 신호를 하이 임피던스 신호라고 한다.+<m> Z = V/I,~10k Omega=V/I </m> 이므로 전송되는 신호의 전압에 비해서 전류가 10,000배 작은 신호라는 뜻이다. 이러한 신호를 하이 임피던스 신호라고 한다. 전압에 비해 전류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일반적인 전송 방법으로는 정확한 신호 전압 전송이 힘들다.
  
-이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입력 임피던스가 1200ohm 인 마이크 프리앰프의 일반 라인 입력에 연결하는 경우, 입력과 출력의 신호 전송에 대한 식으로 이것을 이해하자면 아래와 같다.+이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입력 임피던스가 1200Ω 인 마이크 프리앰프의 일반 라인 입력에 연결하는 경우, 입력과 출력의 신호 전송에 대한 식으로 이것을 이해하자면 아래와 같다.
  
 <m> {V_Output}^2/Z_Output={V_input}^2/Z_input </m> <m> {V_Output}^2/Z_Output={V_input}^2/Z_input </m>
줄 21: 줄 21:
 입력되는 신호는 원래의 신호의 1/3 정도로 작은 신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입력 받는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는 악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비슷하거나 커야함을 알 수 있다. 입력되는 신호는 원래의 신호의 1/3 정도로 작은 신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입력 받는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는 악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비슷하거나 커야함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온전한 신호 전송을 위해서 이것에 x10 rule을 적용하면 받는 앰프 입력단의 허용 임피던스는 100Kohm 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충족하는 앰프 설계는 진공관 앰프일 경우 그것을 충족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의 Op-amp 앰프들도 충족이 된다. 만약 피에조 픽업의 출력이면 그것보다도 더 높다. 또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녹음기 등에서도 기타 입력을 직접 받기 위해서 Hi-Z input 이라는 것을 만들어 두는데 그 입력이 바로 이런 Passive 악기의 허용 임피던스의 x10 rule 을 위한 높은 임피던스 입력단을 말한다.+ 따라서, 온전한 신호 전송을 위해서 이것에 x10 rule을 적용하면 받는 앰프 입력단의 허용 임피던스는 100KΩ 은 되어야 한다. 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녹음기 등에서도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해서 Hi-Z 입력이라는 것을 만들어 두는데 그 입력이 바로 이런 Passive 악기의 임피던스의 x10 rule을 위한 높은 임피던스 입력단을 말한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ignal_processor/preamp/hi-z.17056470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1/1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