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2025/02/14] – [Tube] 정승환 |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2025/04/04] (현재) – [Discrete Op-Amp] 정승환 | ||
---|---|---|---|
줄 5: | 줄 5: | ||
프리앰프 **토폴로지**는 마이크 프리앰프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나 구조를 의미하며, | 프리앰프 **토폴로지**는 마이크 프리앰프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나 구조를 의미하며, | ||
- | 프리앰프는 파워 앰프처럼 전기적 효율이 중요한 앰프 파트가 아니며, 소리의 품질이 중요시되는 앰프 파트입니다. 프리앰프의 역할은 마이크 레벨이나 인스트루먼트 레벨과 같은 초기의 작은 신호를 **라인 레벨** 신호 크기까지 증폭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프리앰프는 **Class-A** 방식으로 설계됩니다. Class-A 방식은 전력을 가장 많이 소모하지만, | + | 프리앰프는 파워 앰프처럼 전기적 효율이 중요한 앰프 파트가 아니며, 소리의 품질이 중요시되는 앰프 파트입니다. 프리앰프의 역할은 마이크 레벨이나 인스트루먼트 레벨과 같은 초기의 작은 신호를 **라인 레벨** 신호 크기까지 증폭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프리앰프는 **Class-A**나 Class-AB |
마이크 레벨 신호를 라인 레벨까지 증폭하는 장치를 **마이크 프리앰프**라고 하며, 인스트루먼트 레벨 신호를 라인 레벨로 증폭하는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프리앰프**라고 합니다.((악기용 프리앰프는 보통 기타 앰프나 베이스 기타 앰프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 마이크 레벨 신호를 라인 레벨까지 증폭하는 장치를 **마이크 프리앰프**라고 하며, 인스트루먼트 레벨 신호를 라인 레벨로 증폭하는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프리앰프**라고 합니다.((악기용 프리앰프는 보통 기타 앰프나 베이스 기타 앰프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 ||
줄 22: | 줄 22: | ||
{{ : | {{ : | ||
- | 진공관은 입력 임피던스가 커서, 작은 입력신호도 대역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진공관 회로는 마이크의 밸런스 출력을 받는 차동 증폭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입력 트랜스포머가 마이크 출력의 밸런스 신호를 다시 신호처리를 위한 언밸런스 신호 전환을 위한 경우에도 | + | 진공관은 입력 임피던스가 커서, 작은 입력신호도 대역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진공관 회로는 마이크의 밸런스 출력을 받는 차동 증폭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입력 트랜스포머가 마이크 출력의 밸런스 신호를 다시 신호처리를 위한 언밸런스 신호 전환을 위한 경우에도 전압 강하로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오히려 신호 전압을 높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진공관 증폭의 특성상, 높은 신호가 들어오면 **새츄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새츄레이션은 진공관이 증폭할 수 있는 신호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발생하는 포화 현상으로, | 하지만 진공관 증폭의 특성상, 높은 신호가 들어오면 **새츄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새츄레이션은 진공관이 증폭할 수 있는 신호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발생하는 포화 현상으로, | ||
줄 30: | 줄 30: | ||
결론적으로, | 결론적으로, | ||
- | * UA610: UTC O-1 인풋 트랜스포머 밸런스 구성, [[음향: | + | * [[유저위키: |
- | <WRAP centeralign box> | + | <WRAP centeralign box> |
Tube-tech MP1A</ | Tube-tech MP1A</ | ||
줄 64: | 줄 64: | ||
BJT 방식도 진공관 방식과 마찬가지로 출력 시 출력 트랜스포머를 거쳐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에 의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와 같은 장비는 트랜스포머 대신 Active FET Buffer를 사용하여 밸런스 출력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에 의한 새츄레이션이 없고 매우 깨끗하고 투명한 음색을 제공합니다.)) | BJT 방식도 진공관 방식과 마찬가지로 출력 시 출력 트랜스포머를 거쳐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에 의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와 같은 장비는 트랜스포머 대신 Active FET Buffer를 사용하여 밸런스 출력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에 의한 새츄레이션이 없고 매우 깨끗하고 투명한 음색을 제공합니다.)) | ||
- | * Neve 1073: 10468 인풋 트랜스포머 밸런스 입력 구성((라인 인풋 트랜스포머: | + | * [[유저위키: |
{{ : | {{ : | ||
줄 91: | 줄 91: | ||
- | =====Discrete | + | =====디스크리트 |
<WRAP right column 25%> | <WRAP right column 25%> | ||
줄 103: | 줄 103: | ||
{{ : | {{ : | ||
- | Discrete | + | 디스크리트 |
- | Op-Amp(IC)는 높은 입력 레벨에 따라 대역폭이 줄어드는 GBW 현상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반면, | + | Op-Amp(IC)는 높은 입력 레벨에 따라 대역폭이 줄어드는 GBW 현상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반면, |
- | 또한, | + | 또한, |
- | * API312: 2622 인풋 트랜스포머 밸런스 입력 구성, API2520 Op-amp 증폭 구성, 2503 출력 트랜스포머 밸런스 출력 구성 | + | |
- | * Neve1081: 10468 인풋 트랜스포머 밸런스 입력 구성((라인 인풋 트랜스포머: | + | |
줄 151: | 줄 151: | ||
**Op-Amp(IC)** 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 신호의 **DC 바이어스 전압**이 **BJT**나 진공관 방식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출력 트랜스포머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싱글형 **Op-Amp** 설계인 경우에는 밸런스 입력으로 들어온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동 입력 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습니다. | **Op-Amp(IC)** 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 신호의 **DC 바이어스 전압**이 **BJT**나 진공관 방식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출력 트랜스포머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싱글형 **Op-Amp** 설계인 경우에는 밸런스 입력으로 들어온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동 입력 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습니다. | ||
- | * SSL4000G Input Mic Preamp: LM394 트랜지스터로 차동 입력 구성, NE5534 싱글 입출력 Op-Amp((4개)), | + | * [[유저위키: |
- | * Focusrite ISA: LL1538 인풋 트랜스포머로 밸런스 입력 구성, NE5534 싱글 입출력 Op-amp | + | * [[유저위키: |
- | * Neve 88R: Belclaire 1:2 인풋 트랜스포머로 밸런스 입력 구성, NE5534 싱글 입출력 Op-amp | + | * [[유저위키: |
- | * Grace Design M108: THAT1583 차동 입출력 Op-amp | + | * [[유저위키: |
<WRAP centeralign box> | <WRAP centeralign box>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17395240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2/1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