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2025/05/05] – [디스크리트 Op-Amp] 정승환 |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 [2025/07/06] (현재) – 정승환 | ||
---|---|---|---|
줄 30: | 줄 30: | ||
결론적으로, | 결론적으로, |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유저위키: | ||
줄 54: | 줄 54: | ||
보통 트랜지스터 방식의 프리앰프는 BJT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방식을 의미합니다. BJT는 다단 증폭기로 사용되며, | 보통 트랜지스터 방식의 프리앰프는 BJT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방식을 의미합니다. BJT는 다단 증폭기로 사용되며, | ||
- | BJT 트랜지스터는 진공관이나 Op-Amp(IC)에 비해 입력 임피던스가 작습니다.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를 적절하게 매칭할 목적으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내장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작은 | + | BJT 트랜지스터는 진공관이나 Op-Amp(IC)에 비해 입력 임피던스가 작습니다.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를 적절하게 매칭할 목적으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내장합니다. 이러한 |
- | BJT 트랜지스터 방식은 높은 최대 입력 레벨을 가지고 있으며, BJT도 진공관처럼 GBW로 인해 대역폭이 줄어드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대역폭 제한을 | + | BJT 트랜지스터 방식은 높은 최대 입력 레벨을 가지고 있으며, BJT도 진공관처럼 GBW로 인해 대역폭이 줄어드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대역폭 제한을 |
진공관 프리앰프의 경우, 최대 입력 레벨보다 높은 신호(통상 6dB 더 높아도)가 들어와도 소프트 클리핑이 발생해 신호가 어느 정도 유지되는 특성이 있지만, 트랜지스터는 최대 입력 레벨을 초과하면 하드 클리핑이 발생합니다. | 진공관 프리앰프의 경우, 최대 입력 레벨보다 높은 신호(통상 6dB 더 높아도)가 들어와도 소프트 클리핑이 발생해 신호가 어느 정도 유지되는 특성이 있지만, 트랜지스터는 최대 입력 레벨을 초과하면 하드 클리핑이 발생합니다. | ||
- | BJT 트랜지스터 회로 역시 진공관처럼 DC 바이어스 전압을 크게 걸어야 하지만 그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진공관의 경우 고정된 고전압을 걸고 전류량을 변동하여 증폭량을 조절하지만, | + | BJT 트랜지스터 회로 역시 진공관처럼 DC 바이어스 전압을 크게 걸어야 하지만 그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진공관이나 FET의 경우 고정된 고전압을 걸고 전류량을 변동하여 증폭량을 조절하지만, |
- | BJT 방식도 진공관 방식과 마찬가지로 출력 시 출력 트랜스포머를 거쳐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에 의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와 같은 장비는 트랜스포머 대신 Active FET Buffer를 사용하여 밸런스 출력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에 의한 새츄레이션이 없고 매우 깨끗하고 투명한 음색을 제공합니다.)) | + | BJT 방식도 진공관 방식과 마찬가지로 출력 시 출력 트랜스포머를 거쳐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에 의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와 같은 장비는 트랜스포머 대신 Active FET Buffer를 사용하여 밸런스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 [[유저위키: | ||
줄 79: | 줄 78: | ||
* 하드 클리핑 | * 하드 클리핑 | ||
- | FET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로, | + | FET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로, |
FET는 주로 단일 소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BJT처럼 다단계로 증폭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이유는 FET가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단 증폭이 필요하지 않거나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FET는 증폭 특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개를 다단계로 연결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FET 가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기 때문에 입력 트랜스포머 구성도 필요 없습니다. | FET는 주로 단일 소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BJT처럼 다단계로 증폭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이유는 FET가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단 증폭이 필요하지 않거나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FET는 증폭 특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개를 다단계로 연결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FET 가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기 때문에 입력 트랜스포머 구성도 필요 없습니다. | ||
- | FET는 일반적으로 | + | FET는 일반적으로 **마이크 회로**에서 **임피던스 컨버터**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마이크에서 발생하는 고임피던스 신호를 저임피던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장비로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입니다. FET의 증폭량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임피던스 컨버터 역할로는 충분한 이유는, 큰 증폭이 필요가 없고, 신호 전송을 위해 적절한 임피던스 변환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에 사용된 FET 회로는 임피던스 컨버터로써 일반적으로 20dB의 증폭을 하여 10:1 출력 트랜스포머로 다시 20dB를 감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역할로 사용됩니다. |
또한 FET 기반의 인라인 프리앰프는 특히 **리본 마이크**나 **다이내믹 마이크**와 같이 고 임피던스 신호를 가진 마이크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FET 기반 인라인 프리앰프로는 **Cloudlifter**, | 또한 FET 기반의 인라인 프리앰프는 특히 **리본 마이크**나 **다이내믹 마이크**와 같이 고 임피던스 신호를 가진 마이크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FET 기반 인라인 프리앰프로는 **Cloudlifter**, | ||
줄 111: | 줄 110: | ||
또한, 디스크리트 Op-Amp는 회로 설계의 유연성을 높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회로에서 고장률이 높은 신호 경로만 따로 Op-Amp라는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수리 및 정비성을 높힌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 또한, 디스크리트 Op-Amp는 회로 설계의 유연성을 높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회로에서 고장률이 높은 신호 경로만 따로 Op-Amp라는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수리 및 정비성을 높힌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유저위키: | ||
=====Op-Amp(IC)===== | =====Op-Amp(IC)===== | ||
줄 128: | 줄 127: | ||
----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5 center|싱글 입력/ |
- | {{: | + | |
- | 싱글 입력/ | + | |
- | </WRAP>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6 center|차동 입력/ |
- | {{: | + | |
- | 차동 입력/ | + | |
- | </WRAP>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7 center|싱글 입력/ |
- | {{: | + | |
- | 싱글 입력/ | + | |
- | </WRAP> | + | |
**Op-Amp(IC)**를 이용한 **마이크 프리앰프**는 허용 입력 임피던스가 대부분 아주 높기 때문에, 작은 신호가 들어와도 **대역폭**의 손실 없이 매우 감도 높게 신호가 증폭됩니다. | **Op-Amp(IC)**를 이용한 **마이크 프리앰프**는 허용 입력 임피던스가 대부분 아주 높기 때문에, 작은 신호가 들어와도 **대역폭**의 손실 없이 매우 감도 높게 신호가 증폭됩니다. | ||
줄 153: | 줄 143: | ||
**Op-Amp(IC)** 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 신호의 **DC 바이어스 전압**이 **BJT**나 진공관 방식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출력 트랜스포머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싱글형 **Op-Amp** 설계인 경우에는 밸런스 입력으로 들어온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동 입력 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습니다. | **Op-Amp(IC)** 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 신호의 **DC 바이어스 전압**이 **BJT**나 진공관 방식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출력 트랜스포머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싱글형 **Op-Amp** 설계인 경우에는 밸런스 입력으로 들어온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입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동 입력 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트랜스포머가 필요 없습니다. |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유저위키: | + | * [[instrument_wiki: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Focusrite ISA One</ | + | |
- | + | ||
- | =====하이브리드====== | + | |
- | + | ||
- | 방식을 조합한 회로 구성을 말한다. 루퍼트 니브와 같은 경우 Op-Amp 회로에 의한 구성에 출력 트랜스포머를 추가함으로써 THD에 의한 새츄레이션을 추가하기도 한다. | + | |
- | + | ||
- | {{ : | + | |
- | {{ :음향:signal_processor:preamp:20240831-032731.png }} | + | < |
{{tag>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preamp/preamp_topology.174645690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