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preamp: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ignal_processor:preamp:start [2025/04/24]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preamp:start [2025/07/06]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indexmenu_n>1}}
 ======프리앰프====== ======프리앰프======
- 
  
 **“게인은 Focus고 페이더는 Focal length 이다”**((by 정승환)) **“게인은 Focus고 페이더는 Focal length 이다”**((by 정승환))
줄 11: 줄 11:
 )) ))
  
-<WRAP centeralign box> +<imgcaption 1 center|Neve 1073>{{:음향:signal_processor:20231012-144305.png|Neve 1073}}</imgcaption>
-{{:음향:signal_processor:20231012-144305.png}}\\ +
-Neve 1073 +
-</WRAP>+
  
 <WRAP group> <WRAP group>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indexmenu>유저위키:아웃보드:프리앰프}}+{{indexmenu>instrument_wiki:아웃보드:프리앰프}}
 </WRAP> </WRAP>
  
줄 32: 줄 29:
   * **게인** : 증폭량 조절. 20dB 면 신호의 전압 값을 10배 증폭한다. 20dB 면 10배. 40dB면 100배. 사람들의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대부분 게인에 따른 **레벨 증감**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사실, 게인에 따른 특성이 아니고 증폭된 **레벨**에 따른 특성이다. 이러한 비선형성 때문에 게인 값이나 임피던스 값에 따라 소리의 톤이 바뀐다.)) 이러한 비선형적 특성의 대표적인 것으로 THD와, GBP, 임피던스 등이 있다. 물론 선형성이 거의 유지되는 게인 특성을 가진 마이크 프리앰프들도 있긴 하다.((주로 하이엔드 제품들)) ((//비싸고 재미없을 수도 있다?!?//)) ((DAW 내부에서 디지털로 이루어지는 게인이나 트림은 완벽한 선형이다. 즉, THD의 변동이 없으며, 임피던스에 의한 노이즈 증가, 감소나, 대역폭 변동도 없다는 뜻이다.))   * **게인** : 증폭량 조절. 20dB 면 신호의 전압 값을 10배 증폭한다. 20dB 면 10배. 40dB면 100배. 사람들의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대부분 게인에 따른 **레벨 증감**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사실, 게인에 따른 특성이 아니고 증폭된 **레벨**에 따른 특성이다. 이러한 비선형성 때문에 게인 값이나 임피던스 값에 따라 소리의 톤이 바뀐다.)) 이러한 비선형적 특성의 대표적인 것으로 THD와, GBP, 임피던스 등이 있다. 물론 선형성이 거의 유지되는 게인 특성을 가진 마이크 프리앰프들도 있긴 하다.((주로 하이엔드 제품들)) ((//비싸고 재미없을 수도 있다?!?//)) ((DAW 내부에서 디지털로 이루어지는 게인이나 트림은 완벽한 선형이다. 즉, THD의 변동이 없으며, 임피던스에 의한 노이즈 증가, 감소나, 대역폭 변동도 없다는 뜻이다.))
   * **임피던스(Impedance)** : 입력 임피던스 값의 조절.   * **임피던스(Impedance)** : 입력 임피던스 값의 조절.
-  * **MIC 입** : 마이크 레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풋.+  * **MIC 입** : 마이크 레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풋.
   * **LINE 입력** : 라인 레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풋.   * **LINE 입력** : 라인 레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풋.
   * **DI 입력** : [[음향:audio_equipment:connector:start#unbalanced|언밸런스]], 컨슈머 레벨 신호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풋 ((Hi-Z 스위치를 사용하면 이 입력으로 인스트루먼트 레벨도 받을 수 있다))   * **DI 입력** : [[음향:audio_equipment:connector:start#unbalanced|언밸런스]], 컨슈머 레벨 신호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풋 ((Hi-Z 스위치를 사용하면 이 입력으로 인스트루먼트 레벨도 받을 수 있다))
줄 93: 줄 90:
 보통 이러한 계열의 게인 범위의 최소값 자체가, 높은 값으로 시작하는 프리앰프들의 경우 PAD 스위치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프리앰프의 설계 특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보통 이러한 계열의 게인 범위의 최소값 자체가, 높은 값으로 시작하는 프리앰프들의 경우 PAD 스위치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프리앰프의 설계 특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장비는 레이싱카과 비슷해서, 운영하는 사람이 카레이서가 아니라면 결국 일반차보다도 못하게 작동될 수 있다.//+>장비는 레이싱카과 비슷해서, 운영하는 사람이 카레이서가 아니라면 결국 일반차보다도 못하게 작동될 수 있다.
  
 =====프리앰프 비교 영상===== =====프리앰프 비교 영상=====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preamp/start.174548883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