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aker:bass_reflex_po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음향:speaker:bass_reflex_port [2024/02/21] – [아예 뒷벽에 가깝게 붙이는 경우] 정승환음향:speaker:bass_reflex_port [2024/03/04] – 바깥 편집 127.0.0.1
줄 23: 줄 23: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5-154547.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5-154547.png  }}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5-154615.png  }} 
  
 ====아예 뒷벽에 가깝게 붙이는 경우==== ====아예 뒷벽에 가깝게 붙이는 경우====
줄 38: 줄 36:
 이렇게 고역대로 이동한 딥 주파수는 EQ를 이용해 쉽게 보정이 된다. 이렇게 고역대로 이동한 딥 주파수는 EQ를 이용해 쉽게 보정이 된다.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5-155231.png |딥 주파수를 쉽게 알기 위한 Genelec Acoustitape}}]+<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speaker:20230205-155231.png |}}\\ 
 +딥 주파수를 쉽게 알기 위한 Genelec Acoustitape</WRAP>
  
 ====Down firing==== ====Down firing====
줄 65: 줄 64: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116.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116.png  }}
  
-붉은색 : 베이스 리플렉스 홀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자세히 보면 2군대의 주파수 공진점이 있다. 낮은 주파수는 세로의 좁은 포트 입구에 의한 공진이고, 높은 주파수는 가로의 넓은 포트 입구에 의한 공진으로 보인다. 즉 타원형같은 비대칭형 형태를 가진 경우 공진주파수가 여러개가 나올 수 있다.\\ +붉은색 : 베이스 리플렉스 홀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자세히 보면 2군대의 주파수 공진점이 있다. 낮은 주파수는 세로의 좁은 포트 입구에 의한 공진이고, 높은 주파수는 가로의 넓은 포트 입구에 의한 공진으로 보인다. 즉 타원형같은 비대칭형 형태를 가진 경우 공진주파수가 여러개가 나올 수 있다. 
-파란색 : Woofer speaker 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  파란색 : 우퍼 유닛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녹색 : Tweeter speaker 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녹색 : 트위터 유닛에서 나오는 주파수 대역폭
  
 세가지 대역폭의 조합으로 이 스피커는 아래와 같은 주파수 반응을 가진다. 세가지 대역폭의 조합으로 이 스피커는 아래와 같은 주파수 반응을 가진다.
줄 84: 줄 83: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733.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733.png  }}
  
-붉은색 : 전면 베이스 리플렉스의 주파수 대역폭\\ +  * 붉은색 : 전면 베이스 리플렉스의 주파수 대역폭 
-파란색 : 우퍼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폭\\ +  파란색 : 우퍼 유닛의 주파수 대역폭 
-녹색 : 트위터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폭\\+  녹색 : 트위터 유닛의 주파수 대역폭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832.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04-055832.png  }}
줄 109: 줄 108:
 아래와 같은 하만 카돈 스피커와 같은 경우 서브우퍼((실질적으로는 우퍼 음역대 담당))는 작은 사이즈 유닛의 스피커에 다운 파이어링을 하고 있고 베이스 리플렉스 포트는 상단으로 배치 하여 무지향성의 극저음역대를 재생한다.  아래와 같은 하만 카돈 스피커와 같은 경우 서브우퍼((실질적으로는 우퍼 음역대 담당))는 작은 사이즈 유닛의 스피커에 다운 파이어링을 하고 있고 베이스 리플렉스 포트는 상단으로 배치 하여 무지향성의 극저음역대를 재생한다. 
  
-중고음역대를 담당하는 위성 스피커의 경우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를 컬럼 어레이로 배치하여 좌우로 넓은 지향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최신의 제품들은 스피커의 하단부에 위성 스피커를 감추고 있다.))하여 스테레오 이미지와 정위감이 매우 극대화 되어 있다. 스피커의 디자인에 대해서 인 입장만 아니라면, 매우 효율적인 스피커 설계의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중고음역대를 담당하는 위성 스피커의 경우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를 컬럼 어레이로 배치하여 좌우로 넓은 지향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최신의 제품들은 스피커의 하단부에 위성 스피커를 감추고 있다.))하여 스테레오 이미지와 정위감이 매우 극대화 되어 있다. 스피커의 디자인이 조금 진보적이긴 하지먼, 매우 효율적인 스피커 설계의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음향:hardware:speaker:20230226-080301.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26-080301.png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peaker/bass_reflex_por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4/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