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aker:speaker_design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음향:speaker:speaker_design [2024/02/17] – [톨 보이 스피커 (Floorstanding Speaker)] 정승환음향:speaker:speaker_design [2024/03/20] – [백로드 혼 (Backload horn)] 정승환
줄 25: 줄 25:
 {{ :음향:speaker:20230922-190505.png }} {{ :음향:speaker:20230922-190505.png }}
  
-[{{ :음향:hardware:speaker:20230226-084151.png |Auratone 5C Active}}]+<WRAP centeralign box>{{ :음향:hardware:speaker:20230226-084151.png |Auratone 5C Active}}\\ 
 +Auratone 5C Active</WRAP>
  
-[{{ :음향:speaker:20230922-205516.png |Auratone 5C Passive}}]+<WRAP centeralign box>{{ :음향:speaker:20230922-205516.png |Auratone 5C Passive}}\\ 
 +Auratone 5C Passive</WRAP>
  
 ====2-Way==== ====2-Way====
줄 70: 줄 72:
 {{ :음향:speaker:20231017-153744.png }} {{ :음향:speaker:20231017-153744.png }}
  
-[{{ :음향:speaker:20230922-205359.png |Iloud MTM}}]+<WRAP centeralign box>{{ :음향:speaker:20230922-205359.png |Iloud MTM}}</WRAP>
  
-[{{:음향:speaker:20231017-154023.png |Genelec The One}}]+<WRAP centeralign box>{{:음향:speaker:20231017-154023.png |Genelec The One}}</WRAP>
  
 ====동축(Coaxial Driver)==== ====동축(Coaxial Driver)====
줄 78: 줄 80:
    - 이 구조는 다이어프램 간의 일치를 촉진하여 좋은 상대적인 공간 특성을 제공합니다.    - 이 구조는 다이어프램 간의 일치를 촉진하여 좋은 상대적인 공간 특성을 제공합니다.
    - 트위터와 우퍼간의 거리 차이가 없거나 매우 작기 때문에 최소 청취거리가 극단적으로 가까워지는 장점이 있다.    - 트위터와 우퍼간의 거리 차이가 없거나 매우 작기 때문에 최소 청취거리가 극단적으로 가까워지는 장점이 있다.
-   - 중심축의 트위터 유닛을 둘러싸고 있는 우퍼(또는 미드레인지)의 앞뒤 움직임에 따라 지향성이 빠르게 변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퍼(또는 미드레인지) 유닛의 디자인이나 중심 축의 트위터 디자인에 신경써야 한다.+   - 중심축의 트위터 유닛을 둘러싸고 있는 우퍼(또는 미드레인지)의 앞뒤 움직임에 따라 지향성과 주파수 반응, 위상 등이 왜곡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퍼(또는 미드레인지) 유닛의 디자인이나 중심 축의 트위터 디자인에 신경써야 한다.
  
-[{{ :음향:speaker:20230922-205250.png |Tannoy Dual concentric}}]+<WRAP centeralign box>{{ :음향:speaker:20230922-205250.png |Tannoy Dual concentric}}</WRAP>
  
 =====스피커 형태===== =====스피커 형태=====
줄 114: 줄 116:
 ====백로드 혼 (Backload horn)==== ====백로드 혼 (Backload horn)====
  
- +  - 스피커의 뒷면에 큰 Horn을 부착 시켜서 스피커 뒤로 방사되는 소리 에너지를 전면으로 증폭시켜 끌어내는 방식입니다.
- +
-  - 스피커의 뒷면에 큰 Horn 을 부착 시켜서 스피커 뒤로 방사되는 소리 에너지를 전면으로 증폭시켜 끌어내는 방식입니다.+
   - 작은 크기의 스피커 유닛으로 큰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작은 크기의 스피커 유닛으로 큰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 스피커 유닛의 감도가 높지 않던 시절 큰 음압을 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방식입니다.
 +  - 우퍼의 사이즈를 작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트위터와 우퍼와의 거리를 줄이는 설계가 가능해서 최소 청취거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음향:speaker:20231017-153446.png}} {{:음향:speaker:20231017-153446.png}}
 +
 +{{:음향:speaker:20240320-193603.png}}
 +
 +{{:음향:speaker:20240320-221126.png|PMC ATL Tech}}
 +
 +{{:음향:speaker:20240320-214101.png|PMC ATL Tech}}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peaker/speaker_desig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0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