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2025/02/0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2025/04/21] (현재) – [링 라디에이터]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트위터 ====== | ||
+ | |||
+ | 스피커의 고음역대 재생을 담당하는 유닛 | ||
+ | |||
+ | 아래의 스피커는 Yamaha의 HS7 모델인데 상단 부의 검은색 작은 유닛이 바로 트위터이다. | ||
+ | |||
+ | 트위터의 경우에는 재생하는 주파수가 굉장히 높은 주파수이고,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Yamaha HS7</ | ||
+ | |||
+ | |||
+ | ======Tweeter====== | ||
+ | |||
+ | A unit in a speaker responsible for reproducing the high-frequency range. | ||
+ | |||
+ | The speaker below is Yamaha' | ||
+ | |||
+ | In the case of tweeters, they handle frequencies that are extremely high, and as frequencies increase,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s become very narrow. Consequently, | ||
+ | |||
+ | =====재질===== | ||
+ | |||
+ | 트위터의 재질은 고주파 음원의 재생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트위터의 재질은 소프트 돔, 플라스틱, | ||
+ | |||
+ | ^ 재질 ^ 영률 ^ 무게 대비 경도 비율 ^ ^ | ||
+ | | 알루미늄 | 1.86Gpa | ||
+ | | 티타늄 | 1.13Gpa | ||
+ | | 다이아몬드 증착 | 4.92Gpa | ||
+ | | 베릴륨 | 6.97Gpa | ||
+ | |||
+ | =====사이즈===== | ||
+ | |||
+ | 트위터의 크기는 트위터가 재생하는 주파수 범위와 방사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트위터는 더 빠른 응답 속도와 넓은 지향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면음원에서 점음원으로 갈수록, 즉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지향각은 넓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큰 크기의 트위터는 보다 낮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재생할 수 있지만, 지향각이 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위터의 크기는 고주파 음원의 정확성과 분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
+ | |||
+ | |||
+ | =====트위터 타입===== | ||
+ | ====돔==== | ||
+ | * 가장 흔한 스피커 트위터 유형 | ||
+ | <WRAP group centeralign box> |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Focal 베릴륨 역돔형 트위터</ | ||
+ | </ | ||
+ | |||
+ | ====컴프레션 드라이버==== | ||
+ | |||
+ | {{ : | ||
+ | |||
+ | * 구멍보다 트위터 유닛 자체는 크기 때문에 음량은 큰 반면, 소리가 출력되는 구멍은 매우 작기 때문에 점음원의 특성이 더 나타나는 형태로 소리를 분산 시킨다. | ||
+ | * 주로 PA 시스템, 스테이지 모니터, 스튜디오 모니터 등 대형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 ====컴프레션 혼 드라이버==== | ||
+ | |||
+ | <WRAP group centeralign box> | ||
+ | <WRAP third column> | ||
+ | <WRAP third column> | ||
+ | <WRAP third column> | ||
+ | </ | ||
+ | |||
+ | 컴프레션 드라이버에 혼을 추가 하여 더 큰 음량을 표현할 수 있다. 쉽게 말해 확성기 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 ||
+ | |||
+ | 혼에는 종종 페이즈 플러그가 추가되기도 한다. | ||
+ | |||
+ | 페이즈 플러그의 형태는 주로 기둥 모양, 원뿔형, 또는 총알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된다. 이 구조물은 스피커나 혼 드라이버의 중앙 앞부분에 위치하며, | ||
+ | |||
+ | 페이즈 플러그는 스피커 유닛이나 컴프레션 드라이버에서, | ||
+ | ====리본====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 | 리본 트위터는 피에조 일렉트릭의 원리에 따라 얇은 금속 판막에 신호를 전달하여 진동하여 소리를 재생한다. | ||
+ | |||
+ | 리본 트위터의 장단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 | * 매우 높은 주파수까지 재생이 가능하다. | ||
+ | * 트위터의 분할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낮은 왜곡율을 보여준다. | ||
+ | * 리본 재질은 매우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다. | ||
+ | * 트위터의 반응이 매우 빠르므로 고음역대의 트랜지언트 재생에 매우 유리하다. | ||
+ | * 면음원의 특성상 지향각이 매우 좁은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본 트위터의 모양을 면적을 유지한 채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선음원을 구현하여 수평 지향각을 넓히는 방식이 선호된다. 단 수직 지향성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으로 떨어진다. | ||
+ | |||
+ | {{page>/ | ||
+ | |||
+ | ====링 라디에이터==== | ||
+ | |||
+ | {{: | ||
+ | |||
+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는 전통적인 돔 트위터와 달리, 진동판의 중앙부는 제외하고, | ||
+ | 이 방식은 중앙부의 위상 왜곡이나 분할진동 문제를 줄이고, 더 빠르고 정확한 고음 재생을 가능하게 합니다. | ||
+ | 실제로 JBL이 1950년대에 개발한 모델에서부터 스캔스픽, | ||
+ | |||
+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의 중앙에는 **페이즈 플러그(Phase Plug)**가 위치하는데, | ||
+ | 이 페이즈 플러그는 진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링 형태의 진동판에서 방사되는 고음 신호의 위상차와 간섭을 줄여 소리의 해상도와 입체감을 높여줍니다. | ||
+ | |||
+ | {{tag>" | ||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