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2025/04/21] – 정승환 | 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 [2025/04/21] (현재) – [링 라디에이터] 정승환 | ||
---|---|---|---|
줄 49: | 줄 49: | ||
* 구멍보다 트위터 유닛 자체는 크기 때문에 음량은 큰 반면, 소리가 출력되는 구멍은 매우 작기 때문에 점음원의 특성이 더 나타나는 형태로 소리를 분산 시킨다. | * 구멍보다 트위터 유닛 자체는 크기 때문에 음량은 큰 반면, 소리가 출력되는 구멍은 매우 작기 때문에 점음원의 특성이 더 나타나는 형태로 소리를 분산 시킨다. | ||
* 주로 PA 시스템, 스테이지 모니터, 스튜디오 모니터 등 대형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 * 주로 PA 시스템, 스테이지 모니터, 스튜디오 모니터 등 대형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 ||
- | * 가운데 원뿔 모양의 구조를 이용하셔 지향각을 넓게 분산 시킨다. | ||
- | < | + | <WRAP box centeralig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WRAP half column> | + | |
- | </ | + | |
====컴프레션 혼 드라이버==== | ====컴프레션 혼 드라이버==== | ||
<WRAP group centeralign box> | <WRAP group centeralign box> | ||
- | < | + | < |
- | < | + | < |
+ | <WRAP third column> | ||
</ | </ | ||
컴프레션 드라이버에 혼을 추가 하여 더 큰 음량을 표현할 수 있다. 쉽게 말해 확성기 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 컴프레션 드라이버에 혼을 추가 하여 더 큰 음량을 표현할 수 있다. 쉽게 말해 확성기 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 ||
+ | 혼에는 종종 페이즈 플러그가 추가되기도 한다. | ||
+ | |||
+ | 페이즈 플러그의 형태는 주로 기둥 모양, 원뿔형, 또는 총알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된다. 이 구조물은 스피커나 혼 드라이버의 중앙 앞부분에 위치하며, | ||
+ | |||
+ | 페이즈 플러그는 스피커 유닛이나 컴프레션 드라이버에서, | ||
====리본==== | ====리본==== | ||
<WRAP centeralign box>{{ : | <WRAP centeralign box>{{ : | ||
줄 76: | 줄 79: | ||
* 트위터의 반응이 매우 빠르므로 고음역대의 트랜지언트 재생에 매우 유리하다. | * 트위터의 반응이 매우 빠르므로 고음역대의 트랜지언트 재생에 매우 유리하다. | ||
* 면음원의 특성상 지향각이 매우 좁은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본 트위터의 모양을 면적을 유지한 채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선음원을 구현하여 수평 지향각을 넓히는 방식이 선호된다. 단 수직 지향성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으로 떨어진다. | * 면음원의 특성상 지향각이 매우 좁은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본 트위터의 모양을 면적을 유지한 채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선음원을 구현하여 수평 지향각을 넓히는 방식이 선호된다. 단 수직 지향성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으로 떨어진다. | ||
- | * 특정 브랜드의 리본 트위터 설계((AMT 리본 트위터))는 특유의 접힘 구조로 인하여 정사각형 모양을 유지하면서도 수평 지향성을 드라마틱하게 개선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이므로 수직 지향성도 일반적인 리본 트위터보다는 개선된다. | + | |
+ | {{page>/ | ||
====링 라디에이터==== | ====링 라디에이터==== | ||
-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는 전통적인 돔 트위터와 달리, 진동판의 중앙부는 | + | {{: |
- | 이 방식은 중앙부의 위상 왜곡이나 진동 | + | |
+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는 전통적인 돔 트위터와 달리, 진동판의 중앙부는 | ||
+ | 이 방식은 중앙부의 위상 왜곡이나 | ||
실제로 JBL이 1950년대에 개발한 모델에서부터 스캔스픽, | 실제로 JBL이 1950년대에 개발한 모델에서부터 스캔스픽, |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의 중앙에는 **페이즈 플러그(Phase Plug)**가 위치하는데, |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의 중앙에는 **페이즈 플러그(Phase Plug)**가 위치하는데, | ||
이 페이즈 플러그는 진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링 형태의 진동판에서 방사되는 고음 신호의 위상차와 간섭을 줄여 소리의 해상도와 입체감을 높여줍니다. | 이 페이즈 플러그는 진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링 형태의 진동판에서 방사되는 고음 신호의 위상차와 간섭을 줄여 소리의 해상도와 입체감을 높여줍니다. | ||
- | 즉, 페이즈 플러그는 링 라디에이터 트위터의 핵심적인 보조 구조물로, | ||
- | |||
- | {{page>/ | ||
- | |||
- | <WRAP group centeralign box> |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AMT 리본 트위터</ | ||
{{tag>"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aker/speaker_unit/tweeter.174516441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