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peaker:speaker_unit:woof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peaker:speaker_unit:woofer [2025/02/0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speaker:speaker_unit:woofer [2025/05/17] (현재) – [우퍼]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우퍼 ====== | ||
+ | |||
+ | 스피커의 저음역대를 재생하는 유닛 | ||
+ | |||
+ | 아래의 스피커는 Yamaha의 HS7 모델이고 하단부의 하얀색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만들어진 유닛이 바로 우퍼이다. | ||
+ | |||
+ |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저음 재생 능력은 스피커가 밀어낼 수 있는 공기의 체적과 비례하므로, | ||
+ | |||
+ | {{: | ||
+ | |||
+ | ======Woofer====== | ||
+ | |||
+ | A unit in a speaker that reproduces the low-frequency range. | ||
+ | |||
+ | The speaker below is Yamaha' | ||
+ | |||
+ | Generally, a speaker' | ||
+ | |||
+ | =====재질===== | ||
+ | |||
+ | 우퍼 스피커의 다이어프램 또는 커넥터 재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이러한 재질은 스피커의 음질, 효율성 및 사용 용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우퍼 스피커 다이어프램 및 커넥터 재질 몇 가지 예시입니다: | ||
+ | |||
+ | ====펄프(일반 종이) 다이어프램==== | ||
+ | - 일반 종이를 사용한 다이어프램은 저렴하고 가볍기 때문에 일반적인 우퍼 스피커에 많이 사용된다. | ||
+ | - 일부 고품질 종이 다이어프램은 우수한 음질을 제공하며, | ||
+ | - 가볍기 때문에 댐핑 제어가 잘되는 편이지만, | ||
+ | -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다. | ||
+ | |||
+ | {{ : | ||
+ | |||
+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다이어프램==== | ||
+ | - 플라스틱 다이어프램은 가벼우면서도 강한 특성을 가지며, 스피커의 내구성을 높입니다. | ||
+ | - 중저음 스피커에서 많이 사용되며, | ||
+ | - 매우 가볍기 때문에 댐핑 제어가 잘된다. 분할 진동 억제력도 종이 재질보다 우수하다. | ||
+ | |||
+ | {{ : | ||
+ | |||
+ | |||
+ | ====케블러(Carbon Fiber) 다이어프램==== | ||
+ | - 카본 파이버((케블러라고 보통 명칭 하지만, Kevlar는 상표 이름이고 정식 명칭은 카본 파이버이다.)) 다이어프램은 가벼우면서도 강한 특성을 가지며, 고품질 음질을 제공합니다. | ||
+ | - 일부 우퍼 스피커에서 사용되며, | ||
+ | - 절대 휘어지지 않는 재질이기 때문에 분할 진동 억제력이 최상급이다. 따라서 앞뒤 변위를 크게 만들어 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tag>"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