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cification:distortion:thd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pecification:distortion:thd [2025/03/25] – [THD] 정승환음향:specification:distortion:thd [2025/03/25] (현재) – [THD] 정승환
줄 3: 줄 3:
 THD는 오디오 장비의 성능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THD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고조파 성분이 출력 신호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왜곡은 출력 신호에 원래 신호에는 없던 **고조파(배음)**를 추가함으로써 발생합니다. 고조파 왜곡은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고품질 오디오 장비에서는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D는 오디오 장비의 성능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THD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고조파 성분이 출력 신호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왜곡은 출력 신호에 원래 신호에는 없던 **고조파(배음)**를 추가함으로써 발생합니다. 고조파 왜곡은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고품질 오디오 장비에서는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측정방법====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start:pasted:20220113-030516.png}}
- +
-시스템에 특정 레벨의 1kHz((또는 991kHz, 1kHz 로 측정하면 많은 오류 발생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대신 소수인 991kHz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를 입력하여 발생하는 THD와 노이즈 플로어(THD+N)와 1kHz톤의 레벨과의 비율을 측정한다.((이 과정에서 원본 주파수를 제거 하고 나머지 주파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처리가 들어간다.)) +
-<WRAP group> +
-<WRAP half column>{{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20220518-004720.png }}</WRAP> +
-<WRAP half column>{{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20220518-004736.png }}</WRAP> +
-</WRAP>+
  
 =====THD+N===== =====THD+N=====
줄 15: 줄 9:
 **Total Harmonic Distortion + Noise** **Total Harmonic Distortion + Noise**
  
-THD+N은 THD에 시스템 노이즈를 포함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THD가 고조파 왜곡만을 측정하는 반면, THD+N은 다음을 포함합니다:+실제 오디오 장비의 측정이나 스펙에서는 THD보다 THD+N이 더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순수한 THD만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고가의 정밀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THD+N은 더 쉽고 경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실제 청취 환경에서 경험하는 음질을 더 잘 반영합니다. 
 + 
 +THD+N은 THD에 시스템 노이즈를 포함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THD+N은 THD에 노이즈 성분까지 포함한 측정값이며, 실제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는 데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THD가 고조파 왜곡만을 측정하는 반면, THD+N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비선형성: 시스템의 고조파 왜곡   * 비선형성: 시스템의 고조파 왜곡
줄 23: 줄 19:
 ====측정 방법==== ====측정 방법====
 THD+N은 출력 신호에서 입력 주파수 에너지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모든 에너지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하여 입력 주파수를 제거하고, 남은 고조파와 노이즈를 포함한 스펙트럼을 분석합니다. THD+N은 출력 신호에서 입력 주파수 에너지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모든 에너지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하여 입력 주파수를 제거하고, 남은 고조파와 노이즈를 포함한 스펙트럼을 분석합니다.
 +
 +<WRAP group>
 +<WRAP half column>{{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20220518-004720.png }}</WRAP>
 +<WRAP half column>{{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20220518-004736.png }}</WRAP>
 +</WRAP>
  
  
줄 31: 줄 32:
   * 왜곡의 유형: 짝수 고조파는 음악적으로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는 반면, 홀수 고조파는 귀에 거슬리는 느낌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왜곡의 유형: 짝수 고조파는 음악적으로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는 반면, 홀수 고조파는 귀에 거슬리는 느낌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음악적 맥락: 단순한 톤보다는 복잡한 음악 신호에서 왜곡이 덜 눈에 띌 수도 있습니다.   * 음악적 맥락: 단순한 톤보다는 복잡한 음악 신호에서 왜곡이 덜 눈에 띌 수도 있습니다.
 +
 +대부분의 오디오 장비는 설계상 입력 신호에 약간의 왜곡을 발생시킵니다. 그러나 THD가 낮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출력이 가능하므로, 고품질 오디오 장비는 일반적으로 0.1% 이하의 THD를 목표로 설계됩니다. 특히 하이엔드 스피커나 앰프에서는 THD를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start:pasted:20220113-030510.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start:pasted:20220113-030510.png}}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알 수 있는 정보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start:pasted:20220113-030516.png}} 
  
-=====THD의 중요성===== +
-대부분의 오디오 장비는 설계상 입력 신호에 약간의 왜곡을 발생시킵니다. 그러나 THD가 낮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출력이 가능하므로, 고품질 오디오 장비는 일반적으로 0.1% 이하의 THD를 목표로 설계됩니다. 특히 하이엔드 스피커나 앰프에서는 THD를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THD 의 비선형성===== =====THD 의 비선형성=====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cification/distortion/thd.174287697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3/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