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wireless:digital_wireless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wireless:digital_wireless [2024/01/06] – [디지털 무선 방식] 정승환 | 음향:wireless:digital_wireless [2025/04/16]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디지털 무선 | + | ======디지털 무선 |
{{: | {{: | ||
- | 디지털의 경우는 아날로그 파형이 아닌 0과 1을 pulse 파형으로 표현된 신호를 캐리어 | + | 대표적인 |
+ | * ASK (Amplitude Shift Keying): 신호의 진폭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즉, 두 개의 서로 다른 진폭을 사용하여 이진 데이터를 | ||
+ | * FSK (Frequency Shift Keying): | ||
+ | * PSK (Phase Shift Keying):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여 | ||
+ | *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
+ | 방식 등이 있다. | ||
- | 이론상으로는 변조 대역폭이 FM 아날로그 보다 좁아도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UHF 대역을 사용하는 디지털 무선의 경우에는 아주 많은 채널이 운영 가능한 경우가 많다. | + | {{ : |
- | 하지만 ISM 대역을 사용하는 | + | 디지털의 경우는 |
- | 추가로 Bluetooth 방식과 같이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인코딩과 | + | 디지털 |
- | **FSK(Frequency Shift keying)**\\ | + | {{: |
- | {{ : | + | |
- | **PSK(Phase Shift Keying)**\\ | + | 디지털 전송 방식에 따라서도 무선 대역폭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위의 그림처럼 일반적인 0과 1의 신호를 전송하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에 비해, 아래의 QAM(QPSK, Quadrature |
- | {{ : | + | |
+ |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특성 때문에 아날로그 FM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UHF 대역을 사용하는 고급 디지털 무선 장비의 경우에는 아주 많은 채널이 동시에 운영 가능하다. | ||
- | =====컴팬더가 내장될 필요가 없다.====== | ||
- | 디지털 무선 방식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 표현에 제한 사항이 전혀 없기 때문에 원음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음향: | ||
=====암호화===== | =====암호화===== | ||
줄 26: | 줄 29: | ||
=====레이턴시에 대한 해결 방안===== | =====레이턴시에 대한 해결 방안===== | ||
- | 무선 마이크의 수신기 에서 믹싱 콘솔로 디지털로 연결하면 몇 ms 정도의 레이턴시는 시스템 상에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디지털 무선 마이크나 디지털 무선 인이어들의 경우에는 앞으로는 믹싱 콘솔과 디지털로 연결하는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 된다. | + | 무선 마이크의 수신기에서 믹싱 콘솔로 디지털로 연결하면 몇 ms 정도의 레이턴시는 시스템 상에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디지털 무선 마이크나 디지털 무선 인이어들의 경우에는 앞으로는 믹싱 콘솔과 디지털로 연결하는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 된다.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wireless/digital_wireless.170448429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1/06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