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돌비_애트모스_당분간_대중화가_힘든_이유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돌비_애트모스_당분간_대중화가_힘든_이유 [2025/07/09] – 만듦 정승환정승환_컬럼:돌비_애트모스_당분간_대중화가_힘든_이유 [2025/07/10] (현재) –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당분간 대중화가 힘든 이유] 정승환
줄 1: 줄 1:
-======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당분간 대중화가 힘든 이유 ======+====== Dolby Atmos, 당분간 대중화가 힘든 이유 ======
  
 요즘 돌비 애트모스가 대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 포맷이 제대로 된 음질로 대중화되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한다.   요즘 돌비 애트모스가 대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 포맷이 제대로 된 음질로 대중화되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바로 **비트레이트(데이터 전송량) 한계** 때문이다.+그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바로 **비트레이트 한계** 때문이다.
  
 ===== OTT와 스트리밍에서의 비트레이트 현실 ===== ===== OTT와 스트리밍에서의 비트레이트 현실 =====
  
-현재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뮤직 같은 OTT나 음원 스트리밍에서 제공하는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는 대부분 **Dolby Digital Plus(E-AC-3)** 코덱을 사용한다.   +현재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뮤직 같은 OTT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는 대부분 **Dolby Digital Plus(E-AC-3)** 코덱을 사용한다.   
-이 코덱의 최대 비트레이트는 **768kbps**가 한계다.   +이 코덱의 최대 비트레이트는 **768kbps**가 한계다. 
-(참고: Dolby Atmos 위키, AWS MediaConvert 등 공식 문서)+
  
 이 수치는 Atmos의 "128 오브젝트/채널" 스펙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이 수치는 Atmos의 "128 오브젝트/채널" 스펙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줄 50: 줄 49:
 진짜 Atmos 시대는,   진짜 Atmos 시대는,  
 코덱과 네트워크 인프라가 몇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뒤에나 가능할 것이다. 코덱과 네트워크 인프라가 몇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뒤에나 가능할 것이다.
 +
 +{{tag>Dolby}}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돌비_애트모스_당분간_대중화가_힘든_이유.17520552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