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2025/08/13] 정승환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 [2025/08/13] (현재) 정승환
줄 70: 줄 70:
 1992년에는 **ALESIS**사가 VHS 테이프를 사용하는 8 트랙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인 **ADAT**를 개발했습니다. ((DAT라고 불리는 초기 2 트랙 디지털 레코더의 이름을 따서 ADAT(ALESIS DAT)라고 함)) 기존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었고, Optical 케이블을 통해 128 트랙까지 여러 대의 ADAT 기기를 동기화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여러 대를 연결한 것을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1992년에는 **ALESIS**사가 VHS 테이프를 사용하는 8 트랙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인 **ADAT**를 개발했습니다. ((DAT라고 불리는 초기 2 트랙 디지털 레코더의 이름을 따서 ADAT(ALESIS DAT)라고 함)) 기존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었고, Optical 케이블을 통해 128 트랙까지 여러 대의 ADAT 기기를 동기화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여러 대를 연결한 것을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657.png}}\\+<imgcaption image14 center|>{{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657.png}}</imgcaption>
  
 1993년에는 **TEAC/TASCAM**에서 **DA-88**을 발표했습니다.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였습니다. 4개의 스테레오 트랙을 기록할 수 있었고, 풀사이즈의 리모트 및 리모트 미터링도 가능했습니다. **DA-88**도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여러 대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1993년에는 **TEAC/TASCAM**에서 **DA-88**을 발표했습니다.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였습니다. 4개의 스테레오 트랙을 기록할 수 있었고, 풀사이즈의 리모트 및 리모트 미터링도 가능했습니다. **DA-88**도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여러 대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07.png}}\\+<imgcaption image15 center|>{{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07.png}}</imgcaption>
  
-{{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15.png}}\\+<imgcaption image16 center|>{{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15.png}}</imgcaption>
  
 이러한 VHS 테이프나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디지털 레코더들은 기존의 아날로그나 디지털 1", 2" 레코더들보다 훨씬 저렴했습니다. ((녹음용 테이프의 가격도 훨씬 저렴)) 이러한 VHS 테이프나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디지털 레코더들은 기존의 아날로그나 디지털 1", 2" 레코더들보다 훨씬 저렴했습니다. ((녹음용 테이프의 가격도 훨씬 저렴))
줄 82: 줄 82:
 후에 이러한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들은 HDD 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진보되었습니다. HDD 레코더들은, **SMPTE** 타임코드를 지원하는 믹서와 함께 사용하면, 중간에 특정 부분만 수정 녹음하는 **Punch** 녹음을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후에 이러한 디지털 멀티 트랙 레코더들은 HDD 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진보되었습니다. HDD 레코더들은, **SMPTE** 타임코드를 지원하는 믹서와 함께 사용하면, 중간에 특정 부분만 수정 녹음하는 **Punch** 녹음을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27.png|**ALESIS HDD 멀티 트랙 레코더**}}\\ +<imgcaption image17 center|ALESIS HDD 멀티 트랙 레코더>{{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27.png|**ALESIS HDD 멀티 트랙 레코더**}}</imgcaption>
-**ALESIS HDD 멀티 트랙 레코더**</WRAP>+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37.png|**TASCAM X-48**}}\\ +<imgcaption image18 center|TASCAM X-48>{{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37.png|**TASCAM X-48**}}</imgcaption>
-**TASCAM X-48**</WRAP>+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47.png|**Mackie HDR 24/96**}}\\ +<imgcaption image19 center|Mackie HDR 24/96>{{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747.png|**Mackie HDR 24/96**}}</imgcaption>
-**Mackie HDR 24/96**</WRAP>+
  
 1990년대 후반, **컴퓨터에 의한 멀티 트랙 레코딩**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멀티 트랙 레코더들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 후반, **컴퓨터에 의한 멀티 트랙 레코딩**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멀티 트랙 레코더들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줄 95: 줄 92:
 멀티 트랙 레코더를 주로 제작하던 회사들로는, **TASCAM**(HDD, 8mm), **ALESIS**(VHS Tape), **Roland/BOSS**(HDD), **FOSTEX**(HDD), **Yamaha**(HDD), **KORG** 등이 있었습니다. 멀티 트랙 레코더를 주로 제작하던 회사들로는, **TASCAM**(HDD, 8mm), **ALESIS**(VHS Tape), **Roland/BOSS**(HDD), **FOSTEX**(HDD), **Yamaha**(HDD), **KORG** 등이 있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806.png|}}\\ +<imgcaption image20 center|KORG D888 HDD 레코더, 이것은 HDD 레코더에 디지털 믹서까지 포함된 DAW 입니다.>{{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3-040806.png|}}</imgcaption>
-KORG D888 HDD 레코더, 이것은 HDD 레코더에 디지털 믹서까지 포함된 DAW 입니다.</WRAP> +
  
 =====컴퓨터 기반 녹음===== =====컴퓨터 기반 녹음=====
줄 105: 줄 100:
 [[https://en.wikipedia.org/wiki/BIAS]] [[https://en.wikipedia.org/wiki/BIAS]]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804.png|**BIAS Deck 2.7**}}\\ +<imgcaption image21 center|BIAS Deck 2.7>{{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804.png|**BIAS Deck 2.7**}}</imgcaption>
-**BIAS Deck 2.7**</WRAP>+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53.png|**BIAS Deck 2.6**}}\\ +<imgcaption image22 center|BIAS Deck 2.6>{{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53.png|**BIAS Deck 2.6**}}</imgcaption>
-**BIAS Deck 2.6**</WRAP>+
  
 1991년 **Pro Tools**가 출시되었고, 1992년에는 **Cubase**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모두 **BIAS의 Deck**와 유사하게 만들어졌으며, **Pro Tools**는 BIAS Deck의 초창기 개발자들이 제작한 것입니다. 1991년 **Pro Tools**가 출시되었고, 1992년에는 **Cubase**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모두 **BIAS의 Deck**와 유사하게 만들어졌으며, **Pro Tools**는 BIAS Deck의 초창기 개발자들이 제작한 것입니다.
줄 118: 줄 111:
 **Pro Deck**은 **DSP**를 이용한 4 트랙 믹서/레코더 어플리케이션이었고, **Pro Edit**는 4 트랙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두 가지를 합쳐서 **Pro Tools**라고 명명했습니다. **Pro Deck**은 **DSP**를 이용한 4 트랙 믹서/레코더 어플리케이션이었고, **Pro Edit**는 4 트랙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두 가지를 합쳐서 **Pro Tools**라고 명명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24.png|**Pro Tools 1.01**}}\\ +<imgcaption image23 center|Pro Tools 1.01>{{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24.png|**Pro Tools 1.01**}}</imgcaption>
-**Pro Tools 1.01**</WRAP>+
  
 이후에는 Pro Tools로 이름 통합 이후에는 Pro Tools로 이름 통합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12.png|**Pro Tools 1.01**}}\\ +<imgcaption image24 center|Pro Tools 1.01>{{정승환_컬럼:멀티트랙_레코딩의_역사:20220112-235712.png|**Pro Tools 1.01**}}</imgcaption>
-**Pro Tools 1.01**</WRAP>+
  
 **Pro Tools 의 역사**\\ **Pro Tools 의 역사**\\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멀티_트랙_레코딩의_역사.175501483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