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5/01/20] 정승환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5/08/15] (현재) – [믹싱] 정승환
줄 3: 줄 3:
 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편곡과 같은 창작 과정 및 편집/믹싱/마스터링과 같은 오디오 프로덕션 작업이 한 번에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과정이 다 한번에 통합되어 있어서, 사실 구분이 어렵기도 합니다. 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편곡과 같은 창작 과정 및 편집/믹싱/마스터링과 같은 오디오 프로덕션 작업이 한 번에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과정이 다 한번에 통합되어 있어서, 사실 구분이 어렵기도 합니다.
  
-<WRAP centeralign box+<WRAP centeralign> 
-{{ youtube>DW3Ar7XjMHw?large }}\\+{{ youtube>DW3Ar7XjMHw?full }}\\
 </WRAP> </WRAP>
  
줄 32: 줄 32:
 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필요 없는 연주구간을 잘라내거나 하는 과정, 또 음정 수정이나 박자 수정의 과정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필요 없는 연주구간을 잘라내거나 하는 과정, 또 음정 수정이나 박자 수정의 과정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12.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12.png }}
  
 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된 테이프를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했지만, 펀치 녹음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컴퓨터와 DAW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 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된 테이프를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했지만, 펀치 녹음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컴퓨터와 DAW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31.png|}}</WRAP>+{{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31.png |}}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56.png|}}</WRAP>+{{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56.png |}}
  
  
줄 55: 줄 55:
 지금은 스테레오 아웃을 녹음기로 녹음 받는 과정은 Audio rendering 이나 [[steinberg:cubase:audio_export:start|Audio export]]라는 기능으로 대체되어, DAW 안에서 너무도 편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스테레오 아웃을 녹음기로 녹음 받는 과정은 Audio rendering 이나 [[steinberg:cubase:audio_export:start|Audio export]]라는 기능으로 대체되어, DAW 안에서 너무도 편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649.png|}}\\ +<imgcaption image1 center|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649.png|}}</imgcaption>
-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WRAP>+
  
-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CH. strip)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Compressor(컴프레서)EQ(이퀄라이저), [[음향:mixingconsole:bus:aux_bus|Aux Send]](병렬 프로세싱, 주로 시공간계 이펙트에 사용), PAN(패닝)을 할 수 있고, 이렇게 각각의 소스를 조정하여 믹스하게 됩니다.+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컴프레서, 이퀄라이저, [[음향:mixingconsole:aux:start|AUX 센드]](병렬 프로세싱, 주로 시공간계 이펙트에 사용), 패닝을 할 수 있고, 이렇게 각각의 소스를 조정하여 믹스하게 됩니다.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줄 126: 줄 125:
 while it's true that DAWs can integrate multiple production tasks, mixing and mastering are distinct stages in the music production process. Mixing focuses on individual instrument balance and sonic adjustments, while mastering prepares the final mix for distribution by ensuring it meets quality and playback standards. It's crucial to complete instrument-level adjustments during the mixing stage to maintain efficiency, as significant revisions after mastering can require revisiting both mixing and mastering processes.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s vita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production professionals. while it's true that DAWs can integrate multiple production tasks, mixing and mastering are distinct stages in the music production process. Mixing focuses on individual instrument balance and sonic adjustments, while mastering prepares the final mix for distribution by ensuring it meets quality and playback standards. It's crucial to complete instrument-level adjustments during the mixing stage to maintain efficiency, as significant revisions after mastering can require revisiting both mixing and mastering processes.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s vita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production professionals.
  
-{{soundcloud>riversidejazz/sets/recordingsamples?full}}\\+{{soundcloud>riversidejazz/sets/recordingsamples?full }}\\
  
 {{tag> 마스터링}} {{tag> 마스터링}}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17373346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