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5/03/12] – [믹싱] 정승환 |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5/08/15] (현재) – [믹싱] 정승환 | ||
---|---|---|---|
줄 3: | 줄 3: | ||
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 | 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 | ||
- | <WRAP centeralign | + | <WRAP centeralign> |
{{ youtube> | {{ youtube> | ||
</ | </ | ||
줄 32: | 줄 32: | ||
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 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 ||
- | {{정승환_컬럼: | + | {{ 정승환_컬럼: |
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된 테이프를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했지만, | 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된 테이프를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했지만, | ||
- |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 | + | {{ 정승환_컬럼: |
- |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 | + | {{ 정승환_컬럼: |
줄 55: | 줄 55: | ||
지금은 스테레오 아웃을 녹음기로 녹음 받는 과정은 Audio rendering 이나 [[steinberg: | 지금은 스테레오 아웃을 녹음기로 녹음 받는 과정은 Audio rendering 이나 [[steinberg: |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image1 center|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 |
- | 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 | + | |
- | 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컴프레서, | + | 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컴프레서, |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17417894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