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4/03/04] – 바깥 편집 127.0.0.1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 [2024/05/05]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믹싱과 마스터링의 차이====== ======믹싱과 마스터링의 차이======
  
-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편곡 과 같은 창작 과정 및 편집/믹싱/마스터링과 같은 오디오 프로덕션 작업 이 한 번에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과정이 다 한번에 통합되어 있어서, 사실 구분이 어렵기도 합니다.+요즘은 DAW 내부에서 작곡/편곡과 같은 창작 과정 및 편집/믹싱/마스터링과 같은 오디오 프로덕션 작업이 한 번에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과정이 다 한번에 통합되어 있어서, 사실 구분이 어렵기도 합니다.
  
 <WRAP centeralign box> <WRAP centeralign box>
줄 7: 줄 7:
 </WRAP> </WRAP>
  
-저도 때로는 마스터링이 다 끝난 음원이나 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악기 별 밸런스나 어느 한 악기의 세부 톤 조절을 클라이언트에게 부탁 받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이것은 아무래도 홈레코딩 시대를 맞이하여 일반 뮤지션들도 DAW 에서 전부 한번에 혼자서도 해결하다 보니, 아무래도 믹싱 과 마스터링의 구분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런 부탁을 하는 게 아닌가 생각들 때가 있습니다.+저도 때로는 마스터링이 다 끝난 음원이나 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악기 별 밸런스나 어느 한 악기의 세부 톤 조절을 클라이언트에게 부탁 받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이것은 아무래도 홈레코딩 시대를 맞이하여 일반 뮤지션들도 DAW 에서 전부 한번에 혼자서도 해결하다 보니, 아무래도 믹싱과 마스터링의 구분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런 부탁을 하는 게 아닌가 생각들 때가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 이해 하려면 일단은 제작의 과정에 대해서 좀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 이해 하려면 일단은 제작의 과정에 대해서 좀 알 필요가 있습니다.
줄 16: 줄 16:
  
 레코딩 과정에서는 음악에 들어가는 악기나 보컬 등의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레코딩 과정에서는 음악에 들어가는 악기나 보컬 등의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만드는 음원의 성격에 따라 전체가 레코딩인 경우도 있고, 보컬만 레코딩 하기도 하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 입니다.+만드는 음원의 성격에 따라 전체가 레코딩인 경우도 있고, 보컬만 레코딩 하기도 하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예전에는 녹음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녹음실에서만 가능했던 것과, 지금은 홈레코딩 등 집에서도 어느 정도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면, 마이크를 사용하고 녹음을 한다는 점에서는 예전과 지금이 그렇게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예전에는 녹음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녹음실에서만 가능했던것과, 지금은 홈레코딩 등 집에서도 어느 정도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면, 마이크를 사용하고 녹음을 한다는 점에서는 예전과 지금이 그렇게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445.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445.png}}
  
-중간에 수정해야 할 구간만 재녹음 하는 것은 "펀치 녹음" 이라고 합니다. 기존 트랙 중에 중간 일부분만 새로 녹음을 할 수 있기도 했습니다. 펀치 녹음을 하기 위해서는 녹음실의 큰 인라인 콘솔같은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업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Pro Tools 는 이러한 펀치 녹음이 너무도 쉽게 구현되서, 가요 업계 레코딩 비용 절감의 일등 공신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컴퓨터와 DAW 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 ((필자는 90년대 후반 토마토 공격대라는 홍대에 있던 스튜디오에 친구들 녹음하는 곳에 놀러갔다가 Pro Tools 888 시스템으로 펀치 녹음하는 장면을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중간에 수정해야 할 구간만 재녹음 하는 것은 "펀치 녹음" 이라고 합니다. 기존 트랙 중에 중간 일부분만 새로 녹음을 할 수 있기도 했습니다. 펀치 녹음을 하기 위해서는 녹음실의 큰 인라인 콘솔같은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업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Pro Tools는 이러한 펀치 녹음이 대형 콘솔 없이도 너무도 쉽게 구현되서, 레코딩 비용 절감의 일등 공신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컴퓨터와 DAW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필자는 90년대 홍대에 있던 스튜디오에 친구들 녹음하는 곳에 놀러갔다가 Pro Tools 888 시스템으로 펀치 녹음하는 장면을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458.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458.png}}
  
-**이러한 모든 레코딩의 과정에서, 마이크의 거리 차이에 마이크 간의 감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한 소리의 레벨 차이, 음색 차이 등등 때문에 믹싱 이란 과정이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됩니다.**+**이러한 모든 레코딩의 과정에서, 마이크의 거리 차이에 마이크 간의 감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한 소리의 레벨 차이, 음색 차이 등등 때문에 믹싱이란 과정이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됩니다.**
  
 ====편집(Editing)==== ====편집(Editing)====
  
-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 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필요 없는 연주 구간을 잘라내거나 하는 과정, 또 음정 수정이나 박자 수정의 과정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편집 과정은 녹음한 소리들을 목적에 맞게 자르거나 붙이거나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이거나, 필요 없는 연주구간을 잘라내거나 하는 과정, 또 음정 수정이나 박자 수정의 과정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12.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12.png}}
  
-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 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 된 테이프을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 했지만, 펀치 녹음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컴퓨터와 DAW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아주 오래전에는 주로 생략되거나 겨우 몇 개의 트랙을 다시 녹음하는 정도에서만 가능했습니다. 멀티 트랙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된 것을 편집하려면 면도칼과 접착용 테이프를 가지고 녹음된 테이프를 잘랐다가 붙였다가 해야했지만, 펀치 녹음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컴퓨터와 DAW로 너무도 편하게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되어버렸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31.png|}}</WRAP>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531.png|}}</WRAP>
줄 44: 줄 44:
 ====믹싱==== ====믹싱====
  
-녹음 된 트랙들을 서로 섞어서(믹스) 하나의 스테레오 트랙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녹음된 트랙들을 서로 섞어서(믹스) 하나의 스테레오 트랙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믹싱이란 과정을 위해서 믹싱 콘솔이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믹싱이란 과정을 위해서 믹싱 콘솔이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줄 58: 줄 58:
 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WRAP> Tascam DA-3000 마스터 레코더. 아직 아날로그 서밍을 하는 스튜디오 경우, 이것을 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컨버터의 입력을 통해 다른 트랙에 스테레오 아웃을 재녹음 받기도 합니다.</WRAP>
  
-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 (CH. strip)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Compressor(컴프레서), EQ(이퀄라이저), [[음향:mixingconsole:bus:aux_bus|Aux Send]](병렬 프로세싱, 주로 시공간계 이펙트에 사용), PAN(패닝)을 할 수 있고, 이렇게 각각의 소스를 조정하여 믹스하게 됩니다.+이 과정 중에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채널스트립(CH. strip)이라고 하는 각 채널을 통해, Compressor(컴프레서), EQ(이퀄라이저), [[음향:mixingconsole:bus:aux_bus|Aux Send]](병렬 프로세싱, 주로 시공간계 이펙트에 사용), PAN(패닝)을 할 수 있고, 이렇게 각각의 소스를 조정하여 믹스하게 됩니다.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즉 개별 악기나 소스에 대한 조정은 바로 이 믹싱 과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줄 67: 줄 67:
  
 믹싱 과정에서 마스터 레코더로 녹음 받은 스테레오 트랙을 현대적인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다시 한번 스테레오 트랙으로 다시 한번 가공 하게 됩니다. 믹싱 과정에서 마스터 레코더로 녹음 받은 스테레오 트랙을 현대적인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다시 한번 스테레오 트랙으로 다시 한번 가공 하게 됩니다.
- 
-[[정승환_컬럼:cd_매체_이전의_마스터링|CD시대 이전의 마스터링]] 에 관해서는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현대적인 마스터링의 관점에서만 설명하기로 합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716.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716.png}}
  
-우리가 일반적으로 CD, 또는 디지털 음원으로 듣게 되는 음악은 각각의 고유한 기준 소리 크기, 또는 적정 소리 크기가 있습니다. 적정한 레벨 기준이 있는 이유는, 일반적인 CD 플레이어나, 디지털 음원 플레이어와, 이어폰, 헤드폰, 일반 오디오 스피커 등에서 사람들이 듣기에 가장 적당하고 적절한 소리 크기(레벨) 에 맞추기 위함입니다.+우리가 일반적으로 CD, 또는 디지털 음원으로 듣게되는 음악은 각각의 고유한 기준 소리 크기, 또는 적정 소리 크기가 있습니다. 적정한 레벨 기준이 있는 이유는, 일반적인 CD 플레이어나, 디지털 음원 플레이어와, 이어폰, 헤드폰, 일반 오디오 스피커 등에서 사람들이 듣기에 가장 적당하고 적절한 소리 크기(레벨)에 맞추기 위함입니다.
  
-**기기의 적절한 재생 레벨보다 음원의 레벨이 작으면 기기에서 프리앰프나 앰프의 볼륨을 높혀 들어야 하고, 여기서 노이즈가 증폭되기도 하고, THD 가 들어가기도 하는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기의 적절한 재생 레벨보다 음원의 레벨이 작으면 기기에서 프리앰프나 앰프의 볼륨을 높혀 들어야 하고, 여기서 노이즈가 증폭되기도 하고, THD가 들어가기도 하는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기의 적절한 재생 레벨보다 음원의 레벨이 너무 크면, 기기에서 볼륨을 줄여 들어야 하고 , 기기가 재생할 수 있는 헤드룸이 있는 대도 불구하고 줄여 들어야 하는 것도 손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기의 적절한 재생 레벨보다 음원의 레벨이 너무 크면, 기기에서 볼륨을 줄여 들어야 하고 , 기기가 재생할 수 있는 헤드룸이 있는 대도 불구하고 줄여 들어야 하는 데서 오는 데서 이 또한 손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749.png}}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20220112-222749.png}}
  
-이러한 적절한 레벨로 맞추기 위해서 크레스트 팩의 조정, 그리고 음원 레벨의 증폭, 감쇄, 톤 조절 등의 프로세스를 위해서 마스터링 엔지니어마다 개성적인 마스터링 체인을 구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적절한 레벨로 맞추기 위해서 크레스트 팩의 조정, 그리고 음원 레벨의 증폭, 감쇄, 톤 조절 등의 프로세스를 위해서 마스터링 엔지니어마다 개성적인 마스터링 체인을 구성하게 됩니다.
- +
-최근에는 디지털 음원 플랫폼들에 따른 각기 다른 [[음향:level:lufs_reference|레벨 기준]]도 정해져 있습니다.+
  
 이렇게 제품화 되는 오디오 타입에 따라 적절한 레벨 기준에 맞추어서 다시 재가공하는 과정을 마스터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제품화 되는 오디오 타입에 따라 적절한 레벨 기준에 맞추어서 다시 재가공하는 과정을 마스터링이라고 합니다.
줄 91: 줄 86:
 즉 이러한 음원 제작의 과정으로 볼 때, 믹싱과 마스터링은 그 하는 역할과 하는 방법 등이 구분되어지는 각각의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DAW 안에서 한번에 다 끝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이러한 음원 제작의 과정으로 볼 때, 믹싱과 마스터링은 그 하는 역할과 하는 방법 등이 구분되어지는 각각의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DAW 안에서 한번에 다 끝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마스터링까지 전부 끝난 작업에, 만약에 악기 하나의 밸런스가 맘에 들지 않는다고 , 그것을 수정해 버린다면, 마스터링 파트에서 맞춰 놓았던 곡의 레벨이나 톤이 전부 변하게 되기 때문에, 사실상 다시 마스터링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하지만 마스터링까지 전부 끝난 작업에, 만약에 악기 하나의 밸런스가 맘에 들지 않는다고, 그것을 수정해 버린다면, 마스터링 파트에서 맞춰 놓았던 곡의 레벨이나 톤이 전부 변하게 되기 때문에, 사실상 다시 마스터링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별 악기의 톤의 수정이나 밸런스는 믹싱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즉, 최대한 마스터링 이전에 다 끝내야 하고, 그 이후에 마스터링을 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별 악기의 톤의 수정이나 밸런스는 믹싱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즉, 최대한 마스터링 이전에 다 끝내야 하고, 그 이후에 마스터링을 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마스터링이 다 끝난 음원에 대해서보컬을 조금만 키웠으면 좋겠다?, 일렉트릭 기타를 조금 줄였으면 좋겠다. 드럼을 좀 더 키웠으면 좋겠다. 와 같은 수정 사항을 요청하게 되면, **다시** 믹스 과정으로 돌아가서 믹스 밸런스를 손보고, 그렇게 해서 다시 스테레오 믹스 트랙을 만들고, 거기에 대해서 **다시** 마스터링을 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만약 마스터링이 다 끝난 음원에 대해서 보컬을 조금만 키웠으면 좋겠다?일렉트릭 기타를 조금 줄였으면 좋겠다.“, ”드럼을 좀 더 키웠으면 좋겠다.와 같은 수정 사항을 요청하게 되면, **다시** 믹스 과정으로 돌아가서 믹스 밸런스를 손보고, 그렇게 해서 다시 스테레오 믹스 트랙을 만들고, 거기에 대해서 **다시** 마스터링을 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마스터링 프로세스에서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M/S 채널 분리나 악기별 소리 분리 같은 기술 등을 적용하여 어느 정도 할 수는 있지만 믹싱 과정에서 조절 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비효율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마스터링 프로세스에서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M/S 채널 분리나 악기별 소리 분리 같은 기술 등을 적용하여 어느 정도 할 수는 있지만 믹싱 과정에서 조절 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비효율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줄 134: 줄 129:
  
  --- //[[merefox@naver.com|retronica]] 2022/01/04 09:46//  --- //[[merefox@naver.com|retronica]] 2022/01/04 09:46//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믹싱과_마스터링의_차이.170954560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4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