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베이스_앰프의_gain과_volume의_차이에_대하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베이스_앰프의_gain과_volume의_차이에_대하여 [2025/01/07] 정승환정승환_컬럼:베이스_앰프의_gain과_volume의_차이에_대하여 [2025/04/14] (현재) 정승환
줄 5: 줄 5:
 </WRAP> </WRAP>
  
-베이스 앰프에 보면, 입력 측에 게인이 있고 이것으로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력 쪽에도 Volume이 있고 이것으로도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베이스 앰프에 보면, 입력 측에 게인이 있고 이것으로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력 쪽에도 볼륨이 있고 이것으로도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각하기에는 볼륨 조절은 원래 하나로만 하면 되는데, 대체 왜 2개가 있을까요? 그리고 뭘 어떻게 조절해야 제대로 하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각하기에는 볼륨 조절은 원래 하나로만 하면 되는데, 대체 왜 2개가 있을까요? 그리고 뭘 어떻게 조절해야 제대로 하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합니다.
 사람이 생각하기에 정말 편한 볼륨 조절 방식은 당연히 볼륨 1개만 있는 경우일 것 입니다. 사람이 생각하기에 정말 편한 볼륨 조절 방식은 당연히 볼륨 1개만 있는 경우일 것 입니다.
줄 30: 줄 30:
 그리고 프리앰프가 사용하는 게인 노브는 실제 증폭량을 결정하는 전기 투입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리앰프 회로는 게인 노브에 따라서 전기 투입량 및 증폭량이 달라지는 회로 입니다. 그리고 프리앰프가 사용하는 게인 노브는 실제 증폭량을 결정하는 전기 투입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리앰프 회로는 게인 노브에 따라서 전기 투입량 및 증폭량이 달라지는 회로 입니다.
 혹시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나, 아답터 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의 경우 "300W 파워 라고 했을 때 200W 정도에서 가장 품질 좋고 효율 좋은 전기가 나온다."라는 이야기 들어보신 분 있으신지? 만약 300W 파워인데 전기를 280W 정도 끌어 쓰면 파워가 힘들어하고 효율도 안나오구요. 혹시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나, 아답터 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의 경우 "300W 파워 라고 했을 때 200W 정도에서 가장 품질 좋고 효율 좋은 전기가 나온다."라는 이야기 들어보신 분 있으신지? 만약 300W 파워인데 전기를 280W 정도 끌어 쓰면 파워가 힘들어하고 효율도 안나오구요.
-프리앰프도 이와 비슷합니다. 프리앰프를 구성한 회로는 회로의 물성 자체가 고정된 수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투입량이 바뀌어서 증폭량이 달라져도 그 회로가 원활히 움직이기 위한 전기 규모는 정해져 있습니다.(회로 자체가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회로가 가진 부품의 저항의 주파수 별 총합을 회로의 "임피던스" 라고 합니다. 회로 자체가 가지는 주파수 별 전기에 대한 저항력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회로의 기본 "임피던스" 요소들을 이겨낼 수 있는 소리 신호의 크기와 전기 동작 규모가 필요해집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파수 별 저항인 임피던스에 의해서, 변형된 주파수 반응이 생겨날 것입니다. 저음이나 고음이 더 깍인다던지. 쉽게 말해서 왜곡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주파수 반응을 얻어내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회로에 전기가 가장 원활하게 잘 동작해서 좋은 소리를 내는 전기 규모가 정해져 있습니다. 프로 오디오에서는 이 전기 규모를 공칭 레벨이나 레퍼런스 레벨, +4dBu라고 이야기를 합니다.+프리앰프도 이와 비슷합니다. 프리앰프를 구성한 회로는 회로의 물성 자체가 고정된 수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투입량이 바뀌어서 증폭량이 달라져도 그 회로가 원활히 움직이기 위한 전기 규모는 정해져 있습니다.(회로 자체가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회로가 가진 부품의 저항의 주파수 별 총합을 회로의 "임피던스" 라고 합니다. 회로 자체가 가지는 주파수 별 전기에 대한 저항력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회로의 기본 "임피던스" 요소들을 이겨낼 수 있는 소리 신호의 크기와 전기 동작 규모가 필요해집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파수 별 저항인 임피던스에 의해서, 변형된 주파수 반응이 생겨날 것입니다. 저음이나 고음이 더 깍인다던지. 쉽게 말해서 왜곡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주파수 반응을 얻어내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회로에 전기가 가장 원활하게 잘 동작해서 좋은 소리를 내는 전기 규모가 정해져 있습니다. 프로 오디오에서는 이 전기 규모를 노미널 레벨이나 레퍼런스 레벨, +4dBu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줄 57: 줄 57:
  
  
-파워 앰프는 항상 최대 효율을 내는 최대 증폭으로 풀로 동작하고 있고, 그 소리를 그냥 줄이는 것이 볼륨 노브가 하는 일이라는 이야기입니다.+파워 앰프는 항상 최대 효율을 내는 고정된 증폭로 동작하고 있고, 입력되는 소리를 그냥 줄이는 것이 볼륨 노브가 하는 일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줄 71: 줄 71:
   - 파워 앰프로 그 공간이나 소리 규모에 맞는 볼륨으로 다른 악기들과의 밸런스를 맞춘다. -**즉 소리의 크기를 결정한다.**   - 파워 앰프로 그 공간이나 소리 규모에 맞는 볼륨으로 다른 악기들과의 밸런스를 맞춘다. -**즉 소리의 크기를 결정한다.**
  
-{{tag>프리 파워 앰프 게인 볼륨}}+{{tag>프리 파워 베이스 앰프 게인}}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베이스_앰프의_gain과_volume의_차이에_대하여.173622264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1/0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