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빈티지와_모던_음향_장비_전기환경의_변화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빈티지와_모던_음향_장비_전기환경의_변화 [2025/03/17] – 만듦 정승환 | 정승환_컬럼:빈티지와_모던_음향_장비_전기환경의_변화 [2025/03/17] (현재) – [전압 레귤레이터의 한계] 정승환 | ||
---|---|---|---|
줄 6: | 줄 6: | ||
예전에는 진공관이나 디스크리트 부품(개별 트랜지스터 등)을 사용한 음향 장비가 많았습니다. 이런 장비들은 전기를 다루는 방식이 지금과는 달랐습니다. | 예전에는 진공관이나 디스크리트 부품(개별 트랜지스터 등)을 사용한 음향 장비가 많았습니다. 이런 장비들은 전기를 다루는 방식이 지금과는 달랐습니다. | ||
- | ==== AVR(자동 전압 조정기)의 중요성 ==== | + | ==== AVR의 중요성 ==== |
- | * 과거 음향 | + | * 빈티지 |
- | * 높은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 전압(AC)이 안정적이어야 했습니다. | + | * 회로 내부의 |
* 하지만 옛날에는 집이나 스튜디오에 들어오는 전기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AVR이라는 기기가 필요했습니다. | * 하지만 옛날에는 집이나 스튜디오에 들어오는 전기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AVR이라는 기기가 필요했습니다. | ||
* AVR은 들어오는 교류 전압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직류 전압(DC)도 안정적이어서 음향 장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었습니다. | * AVR은 들어오는 교류 전압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직류 전압(DC)도 안정적이어서 음향 장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었습니다. | ||
줄 14: | 줄 14: | ||
==== 차폐 트랜스의 역할 ==== | ==== 차폐 트랜스의 역할 ==== | ||
* 차폐 트랜스는 험 노이즈(저주파 소음)를 줄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 차폐 트랜스는 험 노이즈(저주파 소음)를 줄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
- | * 험 노이즈는 주로 주변의 모터나 변압기 같은 기기에서 발생하는데, | + | * 험 노이즈는 주로 주변의 모터나 변압기 같은 기기에서 발생하는데, |
- | * 차폐 트랜스는 이런 노이즈를 막아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 + | * 차폐 트랜스는 이런 |
+ | |||
+ | ==== 전압 레귤레이터의 한계 ==== | ||
+ | * 높은 전압 문제: 진공관이나 디스크리트 회로는 내부 회로에서 매우 높은 규모의 직류 전압을 사용했지만, | ||
+ | * 발열과 비용: 고전압 레귤레이터는 발열이 심하고 설계가 복잡해 제작 비용이 많이 들었습니다. | ||
+ | * 예시:) 니브 1073의 24V 전원은 고성능 레귤레이터가 필요해 파워 서플라이 제작 비용과 가격이 상당히 높습니다. 24V DC 출력을 하는 정전압 리니어 파워서플라이의 생산원가는 상당히 비쌉니다.((하지만 최근 SMPS 기술이 발전하여 SMPS로 파워서플라이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 ||
===== 현대 음향 장비의 특징 ===== | ===== 현대 음향 장비의 특징 ===== | ||
- | 요즘은 진공관이나 디스크리트 부품 대신 IC(집적 회로)나 SMD(표면 실장 부품)를 사용하는 음향 장비가 많아졌습니다. 이와 함께 전원을 다루는 방식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 + | 요즘은 진공관이나 디스크리트 부품 대신 IC나 SMD를 사용하는 음향 장비가 많아졌습니다. 이와 함께 전원을 다루는 방식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
- | ==== SMPS(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등장 ==== | + | ==== SMPS의 등장 ==== |
* 현대 음향 장비에는 SMPS라는 새로운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가 많이 사용됩니다. | * 현대 음향 장비에는 SMPS라는 새로운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가 많이 사용됩니다. | ||
- | * SMPS는 과거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작으며, | + | * SMPS는 과거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작으며, |
- | * 하지만 SMPS는 고속으로 스위칭(전기를 빠르게 끊었다 연결했다 하는 과정)을 하기 때문에 고주파 노이즈(고음역대 소음)가 발생할 가능성이 | + | * 하지만 SMPS는 고속으로 스위칭 |
==== 파워 컨디셔너와 노이즈 필터의 중요성 ==== | ==== 파워 컨디셔너와 노이즈 필터의 중요성 ==== | ||
줄 29: | 줄 35: | ||
* 파워 컨디셔너는 들어오는 전기를 깨끗하게 정리해서 장비에 공급해 주고, 노이즈 필터는 불필요한 소음을 걸러냅니다. | * 파워 컨디셔너는 들어오는 전기를 깨끗하게 정리해서 장비에 공급해 주고, 노이즈 필터는 불필요한 소음을 걸러냅니다. | ||
- | ==== 서지 프로텍터의 필요성 ==== | + | ==== 써지 프로텍터의 필요성 ==== |
- | * 현대 음향 장비에서는 IC나 SMD 같은 | + | * 현대 음향 장비에서는 IC나 SMD 같은 |
- | * 이런 부품들은 갑자기 들어오는 | + | * 이런 부품들은 갑자기 들어오는 |
- | * 서지 프로텍터는 이런 갑작스러운 전압 | + | * 써지 프로텍터는 이런 갑작스러운 전압 |
==== 전압 레귤레이터의 활용 ==== | ==== 전압 레귤레이터의 활용 ==== | ||
- | * 현대 장비에서는 내부에서 사용하는 직류 전압(D.C.)의 크기가 과거보다 훨씬 낮아졌습니다. | + | * 낮은 전압 지원: |
- | * 낮은 | + | |
===== 결론: 과거와 현재의 차이 ===== | ===== 결론: 과거와 현재의 차이 ===== | ||
- | | + | * **빈티지 |
- | | + | * **모던 |
===== 쉽게 요약하면 ===== | ===== 쉽게 요약하면 ===== | ||
- | - 옛날에는 " | + | - 옛날에는 " |
- 지금은 " | - 지금은 " | ||
- | 따라서 과거에는 AVR과 차폐 트랜스를 많이 썼지만, 요즘은 파워 컨디셔너와 | + | 따라서 과거에는 AVR과 차폐 트랜스를 많이 썼지만, 요즘은 파워 컨디셔너와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빈티지와_모던_음향_장비_전기환경의_변화.174219337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3/1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