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2023/08/31] 정승환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2023/09/10] 정승환
줄 5: 줄 5:
   * 메인 스피커의 작은 우퍼 유닛이 담당하기 부담스러운 주파수를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의 THD 감소((메인 스피커 우퍼 유닛의 Excursion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피커의 분할 진동이 적어짐))   * 메인 스피커의 작은 우퍼 유닛이 담당하기 부담스러운 주파수를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의 THD 감소((메인 스피커 우퍼 유닛의 Excursion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피커의 분할 진동이 적어짐))
   *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로 담당하던 저역도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Decay 개선(({{:정승환_컬럼:20230831-025855.png}}\\   *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로 담당하던 저역도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Decay 개선(({{:정승환_컬럼:20230831-025855.png}}\\
-어떤 스피커의 포트와 우퍼, 트위터를 클리펠 장비로 각기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 주황색 그래프가 포트에 의해 재생되는 주파수이다. 포트는 이상적으로는 저역대만 재생하야 함이 맞지만, 공진에의한 1KHz 부근의 주파수도 불규칙적으로 올라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설정으로 베이스 리플렉스 홀이 담당하던 대부분의 주파수의 재생이 줄어들고 포트에 의한 공기의 움직임을 줄여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포트 공진들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어떤 스피커의 포트와 우퍼, 트위터를 클리펠 장비로 각기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 주황색 그래프가 포트에 의해 재생되는 주파수이다. 포트는 이상적으로는 저역대만 재생하야 함이 맞지만, 공진에의한 1KHz 부근의 주파수도 불규칙적으로 올라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설정에 따라 베이스 리플렉스 홀이 담당하던 대부분의 주파수의 재생이 줄어들고 포트에 의한 공기의 움직임을 줄여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포트 공진들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
   * 위와 같은 개선으로 인하여 중저역대(메인 스피커의 우퍼 유닛 대역)의 명료도 개선   * 위와 같은 개선으로 인하여 중저역대(메인 스피커의 우퍼 유닛 대역)의 명료도 개선
   * 추가로 좀 더 낮은 주파수까지 재생 가능하도록 음역대 확장   * 추가로 좀 더 낮은 주파수까지 재생 가능하도록 음역대 확장
줄 11: 줄 11:
 주의 사항 주의 사항
   * 아래의 서브 우퍼는 110Hz((이 시스템에서 무지향성이 유지되는 최대 높은 크로스오버 주파수. 시스템 및 환경 마다 이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서 메인 스피커와 크로스오버 설정되었습니다.   * 아래의 서브 우퍼는 110Hz((이 시스템에서 무지향성이 유지되는 최대 높은 크로스오버 주파수. 시스템 및 환경 마다 이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서 메인 스피커와 크로스오버 설정되었습니다.
-  * 천정과 바닥의 간격에 의한 정파가 존재 합니다. 140Hz(2.4m), 그룹 딜레이 1차 반사음의 존재를 확인 가능합니다.+  * 천정과 바닥의 간격에 의한 정파가 존재 합니다. 140Hz(2.4m), 그룹 딜레이 1차 반사음의 존재를 확인 가능합니다.
   * 측정 시 오류로 인해 고역대 롤 오프로 측정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수정 개시 하겠습니다.   * 측정 시 오류로 인해 고역대 롤 오프로 측정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수정 개시 하겠습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