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아날로그_장비의_비선형성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정승환_컬럼:아날로그_장비의_비선형성 [2025/04/16] 정승환정승환_컬럼:아날로그_장비의_비선형성 [2025/04/20] (현재) 정승환
줄 9: 줄 9: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해당 스펙에서 이야기하는 Frequency Response 는 해당 스펙을 "측정"한 특정 "레벨" ((주로 레퍼런스 레벨))에서의 Frequency Response 만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해당 스펙에서 이야기하는 Frequency Response 는 해당 스펙을 "측정"한 특정 "레벨" ((주로 레퍼런스 레벨))에서의 Frequency Response 만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레벨이 그 측정 레벨보다 크거나? 또는 작거나? 할 때는 전혀 다른 Frequency Response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레벨이 그 측정 레벨보다 크거나? 또는 작거나? 할 때는 전혀 다른 주파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스펙에서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이 모든 레벨에서 일정하다면, 그것은 선형적인 장비라고 말을 할 수 있구요,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장비는 주파수 반응이 레벨마다 전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을 비선형성이라고 말을 합니다. 선형성이 높은 장비를 제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선형성의 주요 원인으로는 물리적 임피던스나, GBW, THD 등이 있습니다. 만약 스펙에서 측정 된 주파수 반응이 모든 레벨에서 일정하다면, 그것은 선형적인 장비라고 말을 할 수 있구요,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장비는 주파수 반응이 레벨마다 전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을 비선형성이라고 말을 합니다. 선형성이 높은 장비를 제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선형성의 주요 원인으로는 물리적 임피던스나, GBW, THD 등이 있습니다.
줄 51: 줄 51:
 {{정승환_컬럼:20220826-025500.png}} {{정승환_컬럼:20220826-025500.png}}
  
-오버드라이브 페달들의 경우는 실제 진공관의 Overdrive 효과를 FET 등으로 흉내를 내는 효과이기 때문에, 진공관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고음역대 THD의 발생을 고음역대 필터링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진공관의 Overdrive 와 유사하게 들리도록 만들게 되는데, 그 부분이 잘 재현 되어 있음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오버드라이브 페달들의 경우는 실제 진공관 앰프의 오버드라이브 효과를 FET 등으로 흉내를 내는 효과이기 때문에, 진공관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고음역대 THD의 발생을 고음역대 필터링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진공관 앰프의 오버드라이브와 유사하게 들리도록 만들게 되는데, 그 부분이 잘 재현 되어 있음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플러그인들이 실제 아날로그 회로 특성을 정말 잘 재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이 정도면 플러그인들이 **실제 아날로그 회로 특성을 정말 잘 재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Waves NLS channel**\\ **Waves NLS channel**\\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아날로그_장비의_비선형성.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