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프 모델러와 앰프 프로파일러의 차이
앰프 모델러(모델링 앰프)와 앰프 프로파일러의 근본적인 차이는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앰프 모델러(Amp Modeler)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반으로 실제
앰프 회로의 동작을 수학적으로 모델링.
-
게인 조절 시 실제
앰프처럼 다이나믹한 반응을 구현할 수 있음.
모델링 앰프는 게인을 1에서 10까지 올리면 실제 앰프처럼 반응하며, 각 게인 단계에서의 하모닉 디스토션과 다이내믹스도 자연스럽게 변화함.
앰프 프로파일러(Amp Profiler)
실제
앰프의 특정 설정(예:
게인 5,
EQ 설정 포함)을
샘플링(프로파일링)하여 하나의
“스냅샷”처럼 저장.
파형 응답을 캡처하여 해당 소리를 재현하지만, 게인 스테이지를 모델링하는 방식이 아님.
-
프로파일러는 게인 5에서 프로파일링된 프리셋은 그 상태에서 가장 충실한 소리를 내지만, 게인을 바꾸면 원래 앰프의 반응처럼 변하지 않음.
이 차이점이 실전에서 문제가 되는 이유
프로파일러는 특정
사운드를 재현하는 데 최적화되었지만,
게인이나
EQ를 유기적으로 바꾸면서 연주하는 경우
진짜 앰프처럼 자연스럽게 반응하지 않음.
특히
게인 구조가 중요한 하이게인 앰프에서는 이 단점이 더 크게 느껴짐.
대신 프로파일러는 특정
사운드를 완벽하게 복제하는 강점이 있어서,
레코딩이나
라이브에서 원하는
사운드를
즉시 로딩하는 용도로는 강력함.
결국 “자유롭게 톤을 조절하며 연주할 것인가?” vs “특정한 앰프 톤을 그대로 복제해서 쓸 것인가?”
이게 모델러와 프로파일러의 결정적인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