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4/02/20] – [클럭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정승환 |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5/04/22]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워드클럭은 왜 쓰이는가? | + | ======워드 클럭 |
- | [[오디오_미신: | + | [[오디오_미신: |
- | **사실 [[음향:hardware: | + | **사실 [[음향:audio_equipment: |
- | =====워드클럭 마스터와 슬레이브===== | + | =====워드 클럭 마스터와 슬레이브===== |
- | 여러개의 디지털 장비를 서로 디지털 프로토콜로 연결 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사용하려고 할 때, 반드시 연결된 장비 중 1개는 클럭 마스터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워드클럭 신호는 클럭 마스터로부터 출력되어서 나머지 디지털 장비로 전달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여러개의 장비가 정확히 동일하게 동기화 되어서 하나의 장비처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럭 마스터로 부터 워드클럭을 전달 받는 나머지 디지털 장비들은 클럭 슬레이브라고 합니다. 반드시 기준 클럭인 워드클럭 마스터가 있어야 합니다. | + | 여러개의 디지털 장비를 서로 디지털 프로토콜로 연결 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사용하려고 할 때, 반드시 연결된 장비 중 1개는 클럭 마스터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워드 클럭 신호는 클럭 마스터로부터 출력되어서 나머지 디지털 장비로 전달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여러개의 장비가 정확히 동일하게 동기화 되어서 하나의 장비처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럭 마스터로 부터 워드 클럭을 전달 받는 나머지 디지털 장비들은 클럭 슬레이브라고 합니다. 반드시 기준 클럭인 워드 클럭 마스터가 있어야 합니다. |
각각의 장비들마다 클럭 소스를 설정할 수 있는데, | 각각의 장비들마다 클럭 소스를 설정할 수 있는데, | ||
- | * Internal : 자체 기기에서 워드클럭을 생성하고 출력함. | + | * Internal : 자체 기기에서 워드 클럭을 생성하고 출력함. |
- | * External : 자체 기기에서 워드클럭을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워드클럭을 받아서 사용함. 보통 External 의 경우 ADAT 로 받을 경우는 ADAT, 워드클럭 단자로 받는 경우는 워드클럭 input, AES3 로 받는 경우는 AES 식으로 각각의 디지털 input 단자의 이름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 + | * External : 자체 기기에서 워드 클럭을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워드 클럭을 받아서 사용함. 보통 External 의 경우 ADAT 로 받을 경우는 ADAT, 워드 클럭 단자로 받는 경우는 워드 클럭 input, AES3 로 받는 경우는 AES 식으로 각각의 디지털 input 단자의 이름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
- | 즉 Internal 로 설정한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 클럭 마스터를 외부 클럭 소스로 받는 장비는 External 로 설정하게 됩니다. 워드클럭을 External로부터 받아서 동작하게 되므로 클럭 슬레이브가 됩니다. | + | 즉 Internal 로 설정한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 클럭 마스터를 외부 클럭 소스로 받는 장비는 External 로 설정하게 됩니다. 워드 클럭을 External로부터 받아서 동작하게 되므로 클럭 슬레이브가 됩니다. |
- | 만약 두 개의 장비를 디지털로 연결했는데 둘 다 Internal 로 설정되면, | + | 만약 두 개의 장비를 디지털로 연결했는데 둘 다 Internal 로 설정되면, |
- | 또한, 두 장비를 전부 External 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두 장비 모두 클럭이 동작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클럭을 받기만 기다리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지터가 발생합니다. | + | 또한, 두 장비를 전부 External 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두 장비 모두 클럭이 동작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클럭을 받기만 기다리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
- | =====입력 A/D 컨버터나 외장 8채널 프리앰프 유닛의 추가===== | + | =====입력 A-D 컨버터나 외장 8채널 프리앰프 유닛의 추가===== |
- | 우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 + | 우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
- | 이 때 대부분 디지털 연결을 위해 ADAT 와 같은 디지털 프로토콜 연결을 주로 활용하게 되는데요, | + | 이 때 대부분 디지털 연결을 위해 ADAT 와 같은 디지털 프로토콜 연결을 주로 활용하게 되는데요, |
- | =====워드클럭 단방향 전송, 마스터와 슬레이브===== | + | =====워드 클럭 단방향 전송, 마스터와 슬레이브===== |
- | 그러나, 워드클럭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와 동일하게 | + | 그러나, 워드 클럭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와 동일하게 |
- | 사실 컴퓨터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되어야 소프트웨어(DAW 나 OS, 또는 음원 플레이어)에서 클럭을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가 아닌, 외부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 경우는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해집니다. 즉 DAW 에서 클럭 설정을 변경해도 자동으로 설정 되지 않습니다. 오로지 A/D 컨버터나 8 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변경해가면서 사용해야 합니다.((ex.1 컴퓨터의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컴퓨터에 연결된 메인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아니라서 컴퓨터가 클럭 제어권이 없고 다른 디지털 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다면 음악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지터 발생률이 올라간다.)) | + | 사실 컴퓨터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되어야 소프트웨어(DAW 나 OS, 또는 음원 플레이어)에서 클럭을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가 아닌, 외부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 경우는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해집니다. 즉 DAW 에서 클럭 설정을 변경해도 자동으로 설정 되지 않습니다. 오로지 A-D 컨버터나 8 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변경해가면서 사용해야 합니다.((ex.컴퓨터의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컴퓨터에 연결된 메인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아니라서 컴퓨터가 클럭 제어권이 없고 다른 디지털 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다면 음악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지터 발생률이 올라간다.)) |
- | **워드클럭은 | + | **워드 클럭은 |
**이렇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이 클럭 마스터가 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의 DAW 와 같은 소프트웨어에서 클럭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 | **이렇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이 클럭 마스터가 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의 DAW 와 같은 소프트웨어에서 클럭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 | ||
줄 36: | 줄 36: |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 + | 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
- | <bootnote> | + | <WRAP info> |
- | 외장 8채널 프리앰프가 클럭 마스터가 되는 경우는 컴퓨터에서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없고, 8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해줘야 하며,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8채널 프리앰프 쪽으로 워드클럭 신호를 주는 경우에는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워드클럭 마스터가 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 + | 외장 8채널 프리앰프가 클럭 마스터가 되는 경우는 컴퓨터에서 워드 클럭 제어를 할 수 없고, 8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해줘야 하며,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8채널 프리앰프 쪽으로 워드 클럭 신호를 주는 경우에는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워드 클럭 마스터가 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워드 클럭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줄 48: | 줄 48: | ||
**하지만 만약 A와 B 두개의 8채널 프리앰프를 ADAT를 사용하여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게 된다면? | **하지만 만약 A와 B 두개의 8채널 프리앰프를 ADAT를 사용하여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게 된다면? | ||
- | 거기서부터 문제가 생깁니다. A 프리앰프를 Internal로 설정하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External로 설정했다면, | + | 거기서부터 문제가 생깁니다. A 프리앰프를 Internal로 설정하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External로 설정했다면, |
- | 이 경우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A/B 프리앰프 전부 | + | 이 경우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A/B 프리앰프 전부 |
하지만 이렇게 연결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Internal(마스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 하지만 이렇게 연결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Internal(마스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 ||
줄 58: | 줄 58: | ||
====여러 개의 입력 확장 유닛을 연결할 때==== | ====여러 개의 입력 확장 유닛을 연결할 때==== | ||
- | 워드클럭은 몇 개의 기기까지는 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보통 라인 레벨에서도 신호의 스플릿을 6개 정도 까지는 할 수 있는데요, | + | 워드 클럭은 몇 개의 기기까지는 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보통 라인 레벨에서도 신호의 스플릿을 6개 정도 까지는 할 수 있는데요, |
이러한 경우 클럭 마스터는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되며, 나머지 연결된 장비들은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합니다. | 이러한 경우 클럭 마스터는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되며, 나머지 연결된 장비들은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합니다. | ||
줄 64: | 줄 64: |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마지막으로 연결된 장비는 워드클럭 Termination 스위치를 켜주거나 Termination 어댑터를 연결하여, | + | 마지막으로 연결된 장비는 워드 클럭 Termination 스위치를 켜주거나 Termination 어댑터를 연결하여, |
- | 만약 연결된 장비들이 워드클럭 | + | 만약 연결된 장비들이 워드 클럭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이렇게 연결하면 6대 정도의 기기 까지는 문제 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장비의 확장을 해도 굳이 외장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 | **이렇게 연결하면 6대 정도의 기기 까지는 문제 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장비의 확장을 해도 굳이 외장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클럭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 ====클럭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 ||
줄 78: | 줄 78: | ||
규모가 큰 곳에서는 6대 이상의 디지털 확장 기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 규모가 큰 곳에서는 6대 이상의 디지털 확장 기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 ||
- | 이런 경우에는 아래 그림처럼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사용하여 Star chain 연결을 구성 하게 됩니다. | + | 이런 경우에는 아래 그림처럼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사용하여 Star chain 연결을 구성 하게 됩니다. |
- | 클럭 마스터는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되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나머지 장비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됩니다. 따라서,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도 앞으로 OS 나 DAW 에서 클럭 변경을 통해 클럭을 제어할 수 없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통해 수동으로 클럭을 변경하거나 설정해야 합니다. | + | 클럭 마스터는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가 되고,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나머지 장비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도 앞으로 OS 나 DAW 에서 클럭 변경을 통해 클럭을 제어할 수 없고,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를 통해 수동으로 클럭을 변경하거나 설정해야 합니다.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줄 88: | 줄 88: | ||
하지만 여러 개의 디지털 확장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선 이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 하지만 여러 개의 디지털 확장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선 이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 ||
- | 만약!,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음향:hardware: | + | 만약!, 워드 클럭 제너레이터가 [[음향:audio_equipment: |
- | [{{정승환_컬럼: | + |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 |
- | Clock input(EXT, Video, AES3)가 있는 클럭 제너레이터의 뒷 면 모습}}]\\ | + | Clock input(EXT, Video, AES3)가 있는 클럭 제너레이터의 뒷 면 모습</ |
- | =====워드클럭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프로토콜===== | + | =====워드 클럭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프로토콜===== |
- | ADAT를 포함한 대부분의 디지털 오디오 | + | ADAT를 포함한 대부분의 디지털 오디오 |
- | 그러나, 네트워크 | + | 그러나, |
- | **따라서 네트워크 | + | **따라서 |
단, 어느 기기를 **클럭 마스터** 로 잡을 것인가가 훨씬 중요해지게 됩니다. | 단, 어느 기기를 **클럭 마스터** 로 잡을 것인가가 훨씬 중요해지게 됩니다. | ||
줄 107: | 줄 107: |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아래와 같이 다른 디지털 입출력이 없고 Dante 네트워크 오디오 연결만 가능한 장비는 따로 워드 클 입출력을 장비에 갖추지 않습니다.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 + | 아래와 같이 다른 디지털 입출력이 없고 Dante 네트워크 오디오 연결만 가능한 장비는 따로 워드 클럭 입출력을 장비에 갖추지 않습니다.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정승환_컬럼: | {{정승환_컬럼: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170837312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2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