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5/01/01]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5/04/22]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워드 클럭은 왜 쓰이는가?======+======워드 클럭 제너레이터는 왜 쓰이는가?======
  
 [[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워드 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쓰면 음질이 좋아진다]]고 하여 사용하는 사람들도 꽤 많이 있습니다만,  [[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워드 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쓰면 음질이 좋아진다]]고 하여 사용하는 사람들도 꽤 많이 있습니다만, 
줄 15: 줄 15:
 즉 Internal 로 설정한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 클럭 마스터를 외부 클럭 소스로 받는 장비는 External 로 설정하게 됩니다. 워드 클럭을 External로부터 받아서 동작하게 되므로 클럭 슬레이브가 됩니다. 즉 Internal 로 설정한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 클럭 마스터를 외부 클럭 소스로 받는 장비는 External 로 설정하게 됩니다. 워드 클럭을 External로부터 받아서 동작하게 되므로 클럭 슬레이브가 됩니다.
  
-만약 두 개의 장비를 디지털로 연결했는데 둘 다 Internal 로 설정되면, 둘다 자체 클럭 기준으로 동작하므로 동기화 되어 동작하지 않습니다. 소리가 아예 안나거나, 팝콘 튀기듯이 지터가 발생니다.\\+만약 두 개의 장비를 디지털로 연결했는데 둘 다 Internal 로 설정되면, 둘다 자체 클럭 기준으로 동작하므로 동기화 되어 동작하지 않습니다. 소리가 아예 안나거나, 팝콘 튀기듯이 지터가 발생하거나 소리가 뚝뚝 끊기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장비를 전부 External 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두 장비 모두 클럭이 동작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클럭을 받기만 기다리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소리가 아예 안나거나 지터가 발생합니다. 또한, 두 장비를 전부 External 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두 장비 모두 클럭이 동작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클럭을 받기만 기다리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소리가 아예 안나거나 지터가 발생합니다.
  
-=====입력 A/D 컨버터나 외장 8채널 프리앰프 유닛의 추가=====+=====입력 A-D 컨버터나 외장 8채널 프리앰프 유닛의 추가=====
  
-우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입력의 숫자가 아쉬워서, A/D 컨버터나 디지털 출력이 가능한 8 채널 프리앰프를 따로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가 있습니다.+우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입력의 숫자가 아쉬워서, A-D 컨버터나 디지털 출력이 가능한 8 채널 프리앰프를 따로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대부분 디지털 연결을 위해 ADAT 와 같은 디지털 프로토콜 연결을 주로 활용하게 되는데요, ADAT 연결의 경우는 A/D 컨버터나 8채널 프리앰프의 ADAT Output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ADAT input 으로 서로 TOSLink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게 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ADAT의 디지털 프로토콜에도 워드 클럭 신호가 들어있기 때문에, 당연히 서로 잘 동작하게 됩니다.+이 때 대부분 디지털 연결을 위해 ADAT 와 같은 디지털 프로토콜 연결을 주로 활용하게 되는데요, ADAT 연결의 경우는 A-D 컨버터나 8채널 프리앰프의 ADAT Output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ADAT input 으로 서로 TOSLink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게 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ADAT의 디지털 프로토콜에도 워드 클럭 신호가 들어있기 때문에, 당연히 서로 잘 동작하게 됩니다.
  
 =====워드 클럭 단방향 전송, 마스터와 슬레이브===== =====워드 클럭 단방향 전송, 마스터와 슬레이브=====
  
-그러나, 워드 클럭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와 동일하게 디지털 아웃에서 디지털 인풋의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 되며, 클럭 마스터는 A/D 컨버터나 8채널 프리앰프로만 설정이 됩니다. +그러나, 워드 클럭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경로와 동일하게 디지털 아웃에서 디지털 인풋의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 되며, 클럭 마스터는 A-D 컨버터나 8채널 프리앰프로만 설정이 됩니다. 
  
-사실 컴퓨터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되어야 소프트웨어(DAW 나 OS, 또는 음원 플레이어)에서 클럭을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가 아닌, 외부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 경우는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해집니다. 즉 DAW 에서 클럭 설정을 변경해도 자동으로 설정 되지 않습니다. 오로지 A/D 컨버터나 8 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변경해가면서 사용해야 합니다.((ex.컴퓨터의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컴퓨터에 연결된 메인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아니라서 컴퓨터가 클럭 제어권이 없고 다른 디지털 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다면 음악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지터 발생률이 올라간다.))+사실 컴퓨터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되어야 소프트웨어(DAW 나 OS, 또는 음원 플레이어)에서 클럭을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마스터가 아닌, 외부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 경우는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해집니다. 즉 DAW 에서 클럭 설정을 변경해도 자동으로 설정 되지 않습니다. 오로지 A-D 컨버터나 8 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변경해가면서 사용해야 합니다.((ex.컴퓨터의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컴퓨터에 연결된 메인 장비가 클럭 마스터가 아니라서 컴퓨터가 클럭 제어권이 없고 다른 디지털 기기가 클럭 마스터로 설정된다면 음악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지터 발생률이 올라간다.))
  
 **워드 클럭은 디지털 연결에서는 디지털 아웃 -> 디지털 인풋으로만 전송됩니다. 디지털 인풋 - > 디지털 아웃으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워드 클럭은 디지털 연결에서는 디지털 아웃 -> 디지털 인풋으로만 전송됩니다. 디지털 인풋 - > 디지털 아웃으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줄 36: 줄 36:
 {{정승환_컬럼:20220929-212618.png}} {{정승환_컬럼:20220929-212618.png}}
  
-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의 ADAT 아웃도 확장 유닛의 ADAT 인풋으로 연결하여 양방향 연결을 하여 워드 클럭 신호를 보내주거나, 아니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워드 클럭 아웃을 확장 유닛 쪽의 워드 클럭 인풋으로 연결을 해주어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워드 클럭 마스터, 연결된 A/D 컨버터나 외장 프리앰프를 클럭 슬레이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의 ADAT 아웃도 확장 유닛의 ADAT 인풋으로 연결하여 양방향 연결을 하여 워드 클럭 신호를 보내주거나, 아니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워드 클럭 아웃을 확장 유닛 쪽의 워드 클럭 인풋으로 연결을 해주어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워드 클럭 마스터, 연결된 A-D 컨버터나 외장 프리앰프를 클럭 슬레이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RAP info>중요한 것은, 컴퓨터의 OS 나 DAW 등 디지털 오디오를 레코딩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가 워드 클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 가장 좋은 셋팅입니다. 만약 라이브 환경이라면 오디오를 처리하는 DSP 엔진이 있는 메인 믹싱 콘솔이 워드 클럭에 대한 제어를 해야 가장 좋습니다. </WRAP> <WRAP info>중요한 것은, 컴퓨터의 OS 나 DAW 등 디지털 오디오를 레코딩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가 워드 클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 가장 좋은 셋팅입니다. 만약 라이브 환경이라면 오디오를 처리하는 DSP 엔진이 있는 메인 믹싱 콘솔이 워드 클럭에 대한 제어를 해야 가장 좋습니다. </WRAP>
줄 113: 줄 113:
 {{정승환_컬럼:20221007-005858.png}} {{정승환_컬럼:20221007-005858.png}}
  
-{{tag>클럭}}+{{tag>클럭 제너레이터}}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173571523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1/0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