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위상_그래프와_그룹_딜레이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위상_그래프와_그룹_딜레이 [2023/04/21] – [그룹 딜레이를 보고 알 수 있는 것] 정승환 | 정승환_컬럼:위상_그래프와_그룹_딜레이 [2025/04/20] (현재) – [모니터링 스피커와 Hi-Fi 스피커의 관점 차이] 정승환 | ||
---|---|---|---|
줄 3: | 줄 3: | ||
아래 그래프는 어떤 스피커의 주파수 별 위상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 아래 그래프는 어떤 스피커의 주파수 별 위상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 ||
제대로 측정되고 Delay 0ms 기준으로 align되어있는 그래프 입니다. | 제대로 측정되고 Delay 0ms 기준으로 align되어있는 그래프 입니다. | ||
- | )) 아마도 크로스오버가 1kHz 에서 교차되는 2-way 스피커 인것으로 보여집니다. 저역대의 경우는 베이스 리플렉스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로스오버에서 사용되는 필터가 위상 변이를 일으키고, | + | )) 아마도 크로스오버가 1kHz 에서 교차되는 2-way 스피커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저역대의 경우는 베이스 리플렉스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로스오버에서 사용되는 필터가 위상 변이를 일으키고, |
| | ||
줄 12: | 줄 12: | ||
{{ : | {{ : | ||
- | <bootnote>" | + | <WRAP info>" |
- Neumann | - Neumann | ||
- | 과도한 그룹 딜레이의 주관적인 효과의 느낌은 저음의 " | + | 과도한 그룹 딜레이의 주관적인 효과의 느낌은 저음의 " |
+ | |||
+ | * https:// | ||
+ | |||
+ | </WRAP> | ||
+ | |||
+ | {{ : | ||
=====그룹 딜레이를 보고 알 수 있는 것===== | =====그룹 딜레이를 보고 알 수 있는 것===== | ||
- | 그룹 딜레이는 1차적으로 해당 주파수의 트랜지언트 표현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즉 트랜지언트 반응이 빠르게 안나오는 주파수는 | + | 그룹 딜레이는 1차적으로 해당 주파수의 트랜지언트 표현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즉 트랜지언트 반응이 빠르게 안나오는 주파수는 |
- | 또한 중간중간 볼록튀어나오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초기 반사음이 커서 테스트 톤에 이 초기 반사음까지 같이 보여진 결과 입니다. 초기 반사음은 한번 반사되어 돌아온 소리이기 때문에 느리게 기록됩니다. 즉 어느 주파수에 초기 반사음이 크게 존재하는 지도 볼 수 있습니다. | + | 또한 중간 중간 볼록 튀어나오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초기 반사음이 커서 테스트 톤에 이 초기 반사음까지 같이 보여진 결과 입니다. 초기 반사음은 한번 반사되어 돌아온 소리이기 때문에 느리게 기록됩니다. 즉 어느 주파수에 초기 반사음이 크게 존재하는 지도 볼 수 있습니다. |
====그룹 딜레이와 초기 반사음의 관계==== | ====그룹 딜레이와 초기 반사음의 관계====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그룹 딜레이| | + | 그룹 딜레이</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초기 반사음</ | ||
- | |{{ : | ||
- | |초기 반사음| | ||
===== 위상 그래프와 그룹 딜레이 그래프 중 어느 것을 우선으로 봐야 할까? ===== | ===== 위상 그래프와 그룹 딜레이 그래프 중 어느 것을 우선으로 봐야 할까? ===== | ||
줄 34: | 줄 41: | ||
**저음역대의 느낌은 그룹 딜레이 그래프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 **저음역대의 느낌은 그룹 딜레이 그래프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 ||
- | 하지만, 크로스 오버 구간에서는 그룹 딜레이 값으로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측정 데이터도 위상 그래프로 보면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상 그래프를 좀더 신중하게 봐야합니다. 당연히 소리의 디테일은 주파수 별 위상 차이에 의해 그 명료도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입니다. | + | 하지만, 크로스오버 구간에서는 그룹 딜레이 값으로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측정 데이터도 위상 그래프로 보면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상 그래프를 좀더 신중하게 봐야합니다. 당연히 소리의 디테일은 주파수 별 위상 차이에 의해 그 명료도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입니다. |
- | 하이 파이 쪽에는 패시브 크로스오버를 | + | Hi-Fi 컨슈머 시장에서는 패시브 크로스오버를 그룹 딜레이로 보면 별 차이가 없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
**크로스오버에 대해서는 위상 그래프를 봐야합니다.** | **크로스오버에 대해서는 위상 그래프를 봐야합니다.** | ||
- | ===== 모니터링 스피커와 | + | ===== 모니터링 스피커와 |
- | 모니터 스피커는 명료도와 디테일에 관련이 매우 깊은 1kHz ~ 4kHz 사이의 주파수가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2-way 스피커 들의 경우 크로스오버가 이 지점 근처에 있기 때문에 트위터와 우퍼가 크로스오버 구간에서 재생 주파수가 겹쳐서 위상 | + | 모니터 스피커는 명료도와 디테일에 관련이 매우 깊은 1kHz ~ 4kHz 사이의 주파수가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2-way 스피커 들의 경우 크로스오버가 이 지점 근처에 있기 때문에 트위터와 우퍼가 크로스오버 구간에서 재생 주파수가 겹쳐서 위상 |
- | 오랜 시간동안 스튜디오의 모니터 스피커 표준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 + | 오랜 시간동안 스튜디오의 모니터 스피커 표준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
- | 반면, 하이파이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명료도와 디테일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법보다는 3-way 설계를 통해 미드레인지가 해당 1kHz ~ 4kHz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고 나머지 우퍼와 트위터가 해당 주파수를 벗어나는 방법 등을 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 + | 최근에는 위상 왜곡이 없는 디지털 필터인 FIR 필터를 사용하여, |
+ | |||
+ | 반면, Hi-Fi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명료도와 디테일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법보다는 3-way 설계를 통해 미드레인지가 해당 1kHz ~ 4kHz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고 나머지 우퍼와 트위터가 해당 주파수를 벗어나는 방법 등을 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 ||
{{ : | {{ :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위상_그래프와_그룹_딜레이.168205876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4/2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