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컴프레서는_소스마다_골라_써야합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마지막 판양쪽 다음 판
정승환_컬럼:컴프레서는_소스마다_골라_써야합니다 [2022/10/20]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정승환_컬럼:컴프레서는_소스마다_골라_써야합니다 [2024/02/16] – [드럼 버스] 정승환
줄 1: 줄 1:
 +======컴프레서는 소스마다 골라 써야합니다.======
 +
 +컴프레서를 단순한 볼륨 조절기로 보는 것은 현대 믹싱에서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컴프레서는 하나로 정리될 수 없고, 여러가지 소스와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해당 예시에 인용 된 장비 사진들은 해당 목적과 상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드럼 버스=====
 +
 +**Glue & leveler**
 +
 +{{정승환_컬럼:20220724-144511.png}}
 +
 +드럼 서브 그룹의 경우 다른 악기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크레스트 팩터 때문에 비슷한 레벨을 맞춰도 좀 작게 들리게 됩니다. 그래서 드럼 소리를 크게 들리게 하려면, 버스 컴프레서를 통해서 크레스트 팩터 자체를 좀 줄여줘야 합니다. 드럼 서브 그룹의 평균 크레스트 팩터가 18dB 정도 되니까 버스 컴프레서로 약 6dB 줄여주면(게인 리덕션 6dB) 다른 악기들의 평균 크레스트 팩터인 12dB 에 근접해지게 됩니다.
 +
 +=====보컬=====
 +
 +**Leveler, Volume Rider**
 +
 +{{정승환_컬럼:20220724-144433.png}}
 +
 +보컬의 경우 노래의 구간에서 Verse 와 Chorus 파트의 성향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연주자의 다이나믹 레인지. 이것을 일반 반주의 구간별 차이와 일치 시키기 위해서는 컴프레서가 필요하게 됩니다. 약 3dB 정도의 게인 리덕션이 일반적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Chorus 파트의 클라이막스에서 내 지르는 소리도 적절하게 게인 리덕션 되게 됩니다.
 +
 +https://www.waves.com/how-to-level-vocals-perfectly-in-3-clicks
 +
 +https://www.waves.com/cla-classic-compressors-shootout-vocals
 +
 +=====베이스=====
 +
 +**Peak Limiting**, **Leveler**
 +
 +{{정승환_컬럼:20220724-144759.png}}
 +
 +음색적으로는 미스 터치와 실수를 줄여주기 위한 살짝 거는 피크 리미팅이 주가 됩니다.
 +
 +또한 베이스의 경우에도 보컬과 비슷하게 작게 연주되는 구간과 크게 연주되는 구간의 레벨 차이가 들쑥 날쑥 할 수 있습니다. 터치가 일정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레벨 차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레벨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정승환_컬럼:20220724-144433.png}}
 +
 +=====드럼의 킥, 스네어=====
 +
 +**Transient shaper**
 +
 +{{정승환_컬럼:20220724-144354.png}}
 +
 +소리를 단단하게 라는 표현으로 만들어주는 컴프레서 사용이 주가 됩니다. 이것은 컴프레서의 어택 타이밍을 조절하여 소리 엔벨로프의 Decay 부분에서 게인 리덕션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소리를 따악~~에서 딱. 으로 변화 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사실 요즘은 트랜지언트 쉐이퍼의 등장으로 인해서 컴프레서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트랜지언스 쉐이퍼로써의 작동 자체도 컴프레서로는 잘 안되는 것은 사실입니다.((모든 트랜지언트들이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
 +https://www.waves.com/compressors-vs-transient-shapers
 +
 +=====믹스 버스=====
 +
 +**Leveler, Glue, Peak limiting**
 +
 +{{정승환_컬럼:20220724-145522.png}}
 +
 +청감상 소리를 크게 만들고 타겟 라우드니스에 맞춘 믹스를 만들어내기 위한 작업을 위해 사용합니다.
 +
 +https://www.waves.com/which-compressor-should-i-put-on-my-mix-bus-the-shootout
 +
 +=====다양한 작동 방식을 가지는 컴프레서들=====
 +
 +https://www.waves.com/which-compressor-plugin-should-i-choose-for-my-mix
 +
 +컴프레서는 작동 방식에 따라, OPTO, VCA, FET, Tube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방식들이 가장 잘 소화 할 수 있는 역할은 이미 정해져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따라서 적절한 소스와 작업 목적에 따라 컴프레서는 골라서 사용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컴프레서는_소스마다_골라_써야합니다.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