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트랜스포머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트랜스포머 [2025/04/28] – 정승환 | 정승환_컬럼:트랜스포머 [2025/05/01]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9: | 줄 9: | ||
=====신호 회로에서의 트랜스포머의 역할===== | =====신호 회로에서의 트랜스포머의 역할===== | ||
- | * 입력 임피던스 매칭: 입력 트랜스포머들은 마이크와 프리앰프의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 + | |
- | * 밸런스 신호 전환: 출력 트랜스포머들은 내부에서 언밸런스로 처리한 신호를 밸런스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 + | |
- | * 신호 감압: 출력 트랜스포머들은 신호대 잡음비의 극대화를 위해 내부에서 고전압으로 처리된 신호를 다시 우리가 사용하는 신호 레벨로 규모를 감압하는데 사용됩니다. | + | |
=====프리앰프에서의 트랜스포머===== | =====프리앰프에서의 트랜스포머===== | ||
줄 17: | 줄 17: | ||
==== 마이크 프리앰프의 역할과 트랜스포머의 도입 ==== | ==== 마이크 프리앰프의 역할과 트랜스포머의 도입 ==== | ||
- | 마이크 프리앰프는 마이크에서 나오는 매우 작은 신호(마이크 레벨)를 라인 레벨까지 증폭하는 장치로, 신호대 잡음비(S/N비)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 | 마이크 프리앰프는 마이크에서 나오는 매우 작은 신호(마이크 레벨)를 라인 레벨까지 증폭하는 장치로, |
- | 과거에는 디스크리트(Discrete) | + | 과거에는 디스크리트 회로나 진공관 방식 프리앰프에서 높은 |
이 감압 트랜스포머는 출력 신호를 밸런스 신호로 바꾸는 데도 효과적이어서, | 이 감압 트랜스포머는 출력 신호를 밸런스 신호로 바꾸는 데도 효과적이어서, | ||
줄 39: | 줄 39: | ||
최근에는 IC(집적회로)나 SMD(표면실장 트랜지스터) 기술의 발전으로, | 최근에는 IC(집적회로)나 SMD(표면실장 트랜지스터) 기술의 발전으로, | ||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IC나 입력 버퍼 회로의 등장으로 입력 트랜스포머도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IC나 입력 버퍼 회로의 등장으로 입력 트랜스포머도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 ||
- | 다만, 기존 디스크리트 방식에 비해 IC나 SMD는 원래부터 미세전압 회로이기 때문에 최대 입력 레벨이 6dBu 밖에 안되는 등, 제한적이었으나, | + | 다만, 기존 디스크리트 방식에 비해 IC나 SMD는 원래부터 미세전압 회로이기 때문에 최대 입력 레벨이 6dBu 밖에 안되는 등, 제한적이었으나, |
예전의 디스크리트 회로들의 마이크 프리앰프의 EIN 과 왜곡율, 현재 나오는 트랜스포머리스 IC 방식들의 EIN와 왜곡율을 객관적으로 비교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 예전의 디스크리트 회로들의 마이크 프리앰프의 EIN 과 왜곡율, 현재 나오는 트랜스포머리스 IC 방식들의 EIN와 왜곡율을 객관적으로 비교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 ||
줄 57: | 줄 57: | ||
다만, 밸런스 출력을 위해서는 여전히 회로적 대안이 필요합니다. | 다만, 밸런스 출력을 위해서는 여전히 회로적 대안이 필요합니다. | ||
- | * **Electronically Balanced 회로**((임피던스 밸런스 회로)): 저가형 마이크에서 사용하는 밸런스 전환회로, | + | * **임피던스 밸런스 회로**: 저가형 마이크에서 사용하는 밸런스 전환회로, |
- | * **Active Buffer | + | * **액티브 버퍼 |
- | 많은 트랜스포머리스 마이크들이 사실 **Electronically Balanced | + | 많은 트랜스포머리스 마이크들이 사실 **임피던스 밸런스 |
- | **Active Buffer | + | **액티브 버퍼 |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선택해야 합니다. |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선택해야 합니다. | ||
**트랜스포머리스 컨덴서 마이크 액티브 버퍼회로 구성 케이스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트랜스포머리스 컨덴서 마이크 액티브 버퍼회로 구성 케이스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
- | * 진공관 마이크라 전용 파워서플라이 구성하여 액티브 버퍼도 충분한 전력 구동, Neumann TLM49,Rode K2 등 | + | * 진공관 마이크라 전용 파워서플라이 구성하여 액티브 버퍼도 충분한 전력 구동, Neumann TLM49,RØDE K2 등 |
* 전용 팬텀파워 서플라이를 사용 권장, Neumann TLM170 | * 전용 팬텀파워 서플라이를 사용 권장, Neumann TLM170 | ||
* 캡슐의 사이즈등을 조정하여 캡슐에서 소모하는 팬텀 전력량을 줄이고 남은 전력으로 액티브 버퍼 출력 회로 구동, Audio Technica, Shure 등 | * 캡슐의 사이즈등을 조정하여 캡슐에서 소모하는 팬텀 전력량을 줄이고 남은 전력으로 액티브 버퍼 출력 회로 구동, Audio Technica, Shure 등 | ||
<WRAP box centeralign> | <WRAP box centeralign> | ||
- | {{ : | + | {{: |
N 248은 48V 팬텀 파워(P48)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마이크 1개 또는 모노 콘덴서 마이크 2개를 지원합니다. 모든 커넥터는 XLR 3 타입입니다. 오디오 신호 출력은 DC가 없습니다. TLM 170 R의 5가지 지향 패턴은 회전식 스위치로 원격 제어할 수 있습니다. | N 248은 48V 팬텀 파워(P48)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마이크 1개 또는 모노 콘덴서 마이크 2개를 지원합니다. 모든 커넥터는 XLR 3 타입입니다. 오디오 신호 출력은 DC가 없습니다. TLM 170 R의 5가지 지향 패턴은 회전식 스위치로 원격 제어할 수 있습니다. | ||
줄 82: | 줄 82: | ||
* 트랜스포머는 마이크 프리앰프와 마이크 회로에서 임피던스 매칭, 노이즈 차단, 밸런스 신호 전환에 유리하지만, | * 트랜스포머는 마이크 프리앰프와 마이크 회로에서 임피던스 매칭, 노이즈 차단, 밸런스 신호 전환에 유리하지만, | ||
- | * 기술 발전으로 트랜스포머를 대체하는 다양한 회로(액티브 버퍼, Electronically Balanced 등)가 등장했으며, | + | * 기술 발전으로 트랜스포머를 대체하는 다양한 회로가 등장했으며, |
* 트랜스포머는 마법의 조미료가 아닙니다. 트랜스포머는 기존 회로설계에서는 **어쩔수 없이** 사용해야 했던 부품에 불과하고, | * 트랜스포머는 마법의 조미료가 아닙니다. 트랜스포머는 기존 회로설계에서는 **어쩔수 없이** 사용해야 했던 부품에 불과하고, | ||
+ | *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는 트랜스포머를 아직 완벽히 제거하는 것에 성공하지 못한 기술을 가진 제조사들이 계속 기존 제품을 팔기위해 마켓팅을 통해 트랜스포머에 대한 환상을 심는다는 생각이 들때도 있습니다.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트랜스포머.174582578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