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 [2025/03/25] – [팬텀 이미지] 정승환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 [2025/03/27] (현재) 정승환
줄 15: 줄 15: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악을 들을 때, 소리의 스테레오 이미지가 스피커의 중간 위치에서 맺히는 듯한 효과가 있습니다.\\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악을 들을 때, 소리의 스테레오 이미지가 스피커의 중간 위치에서 맺히는 듯한 효과가 있습니다.\\
-이것을 팬텀 이미지 라고 하는데 위의 그림처럼 스피커의 정확한 셋팅 및스피커의 각각의 지향각에 따라 생성됩니다.+이것을 팬텀 이미지 라고 하는데 위의 그림처럼 스피커의 정확한 셋팅 및 스피커의 각각의 지향각에 따라 생성됩니다.
  
 이 지점에서는 좌, 우의 스피커의 소리가 서로 섞여서 하나의 소리로 합쳐집니다.((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스피커의 정확한 위치 /각도 선정 및 청취 포지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 지점에서는 좌, 우의 스피커의 소리가 서로 섞여서 하나의 소리로 합쳐집니다.((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스피커의 정확한 위치 /각도 선정 및 청취 포지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줄 31: 줄 31:
 이러한 원리로 우리는 스피커를 통해 모니터링 시 가상의 센터 팬텀 이미지를 듣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우리는 스피커를 통해 모니터링 시 가상의 센터 팬텀 이미지를 듣게 됩니다.
  
-**또한, +**또한, 우리가 듣고 판단하는 음악의 개별 악기의 밸런스, 톤 퀄리티, 스테레오 이미지 등은 모두 이 센터 팬텀 이미지로 다시 재생성 된 소리의 밸런스, 톤 퀄리티, 스테레오 이미지라는 점입니다.**
- +
-우리가 듣고 판단하는 음악의 개별 악기의 밸런스, 톤 퀄리티 , 스테레오 이미지 등은 모두 이 센터 팬텀 이미지로 다시 재생성 된 소리의 밸런스, 톤 퀄리티, 스테레오 이미지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사용 시에는 양쪽의 소리가 각각의 귀로 직접 전달되게 되어 이 가상의 팬텀 이미지가 나타나는 현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오픈형 헤드폰((HD600같은))을 사용하는 경우 헤드폰의 외부로 소리가 새어 나가 어느 정도 팬텀 이미지가 생성된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오픈형 헤드폰의 경우에도 팬텀 이미지의 생성은 어렵습니다. 헤드폰을 오픈형으로 만들면, 진동판이 더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플랫하고 좋은 소리의 생성이 가능할 뿐입니다. 그러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사용 시에는 양쪽의 소리가 각각의 귀로 직접 전달되게 되어 이 가상의 팬텀 이미지가 나타나는 현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오픈형 헤드폰((HD600같은))을 사용하는 경우 헤드폰의 외부로 소리가 새어 나가 어느 정도 팬텀 이미지가 생성된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오픈형 헤드폰의 경우에도 팬텀 이미지의 생성은 어렵습니다. 헤드폰을 오픈형으로 만들면, 진동판이 더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플랫하고 좋은 소리의 생성이 가능할 뿐입니다.
줄 39: 줄 37:
 {{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20220112-222054.png }} {{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20220112-222054.png }}
  
-이 때문에,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그냥 사용하는 경우에, 소리의 각각의 크기 차이(밸런스), 및 각각 소리에 대한 세부적인 톤의 조정이 힘들어지게 됩니다.((단, 소리의 노이즈 판별 및소리에 섞여 들어온 각종 문제점 등은 오히려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파악하기 쉽다.))+이 때문에,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그냥 사용하는 경우에, 소리의 각각의 크기 차이(밸런스), 및 각각 소리에 대한 세부적인 톤의 조정이 힘들어지게 됩니다.((단, 소리의 노이즈 판별 및 소리에 섞여 들어온 각종 문제점 등은 오히려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파악하기 쉽다.))
  
 =====해결 방법===== =====해결 방법=====
줄 45: 줄 43:
 따라서, 이런 헤드폰/이어폰 사운드 모니터링의 치명적인 단점을 해결한 제품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헤드폰/이어폰 사운드 모니터링의 치명적인 단점을 해결한 제품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PL phonitor 라는 제품은, 좌우의 소리에 따른 스테레오 팬텀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여 헤드폰으로 출력해주는 Stereo matrix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SPL phonitor 라는 제품은, 좌우의 소리에 따른 스테레오 팬텀 이미지를 크로스피드 기능을 통해 생성하여 헤드폰으로 출력해주는 Stereo matrix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20220112-222107.png}}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20220112-222107.png}}
줄 66: 줄 64:
 NX Head tracker</WRAP> NX Head tracker</WRAP>
  
-Waves NX의 발전형으로는 애비로드 스튜디오 3나, 오션웨이 네슈빌 이라는 플러그인도 있습니다.+Waves NX의 발전형으로는 애비로드 스튜디오 3나, 오션웨이 네슈빌이라는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WRAP group centeralign> <WRAP group centeralign>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헤드폰_믹싱.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3/2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