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헬름홀쯔_공명을_이용한_베이스_트랩의_자체_제작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헬름홀쯔_공명을_이용한_베이스_트랩의_자체_제작 [2023/04/04] – [1/3 Octave 스무딩] 정승환 | 정승환_컬럼:헬름홀쯔_공명을_이용한_베이스_트랩의_자체_제작 [2025/01/10] (현재) – [스피커 보정 EQ와 보정 이후 반응] 정승환 | ||
---|---|---|---|
줄 3: | 줄 3: | ||
헬름홀츠 공명기는 주파수가 특정 된다면 아주 효과적으로 베이스 트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취미분들이 많이 자작하는 글라스울 겉에 천을 감싸는 멤브레인 방식의 베이스 트랩보다 훨씬 규모나 부피가 작으면서도 훨씬 더 좋은 효과를 가진 베이스 트랩의 구현이 가능합니다. | 헬름홀츠 공명기는 주파수가 특정 된다면 아주 효과적으로 베이스 트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취미분들이 많이 자작하는 글라스울 겉에 천을 감싸는 멤브레인 방식의 베이스 트랩보다 훨씬 규모나 부피가 작으면서도 훨씬 더 좋은 효과를 가진 베이스 트랩의 구현이 가능합니다. | ||
- | 다만 측정에 의해 어느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만들어야 할지 특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커스텀으로만 제작이 가능하고, | + | 다만 측정에 의해 어느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만들어야 할지 특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커스텀으로만 제작이 가능하고, |
{{ : | {{ : | ||
+ | |||
=====재생 환경 측정====== | =====재생 환경 측정====== | ||
- | 저의 믹싱/ | + | 저의 믹싱/ |
{{ : | {{ : | ||
줄 18: | 줄 19: | ||
====140Hz 부근==== | ====140Hz 부근==== | ||
- | 따라서 이 1차 정제파를 관리 하기 위해서 140Hz 의 소리를 처리할 수 있는 베이스 트랩을 만들기 위해 | + | 따라서 이 1차 정재파를 관리 하기 위해서 140Hz의 소리를 처리할 수 있는 베이스 트랩을 만들기 위해 |
다음과 같은 설계를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 다음과 같은 설계를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 ||
줄 29: | 줄 30: | ||
====200Hz 부근==== | ====200Hz 부근==== | ||
- | 200Hz 부근은 다음과 같은 설계를 사용했습니다. 200-300Hz 사이의 공진도 있지만 200Hz 부근의 | + | 200Hz 부근은 다음과 같은 설계를 사용했습니다. 200-300Hz 사이의 공진도 있지만 200Hz 부근의 |
완성된 베이스 트랩의 모양세는 위에것과 비슷합니다. | 완성된 베이스 트랩의 모양세는 위에것과 비슷합니다. | ||
줄 38: | 줄 39: | ||
=====결과===== | =====결과===== | ||
- | 음악을 틀고 스피커로 큰 소리를 내면서 해당 베이스 트랩에 손을 대보면 엄청나게 진동합니다. 즉 저음역대가 | + | 음악을 틀고 스피커로 큰 소리를 내면서 해당 베이스 트랩에 손을 대보면 엄청나게 진동합니다. 즉 저음역대가 |
**그 정도의 진동이 자체 제작한 헬름홀츠 공명 베이스 트랩에서 느껴집니다.**((저음역대 에너지가 전부 진동으로 변환되는 중입니다.)) | **그 정도의 진동이 자체 제작한 헬름홀츠 공명 베이스 트랩에서 느껴집니다.**((저음역대 에너지가 전부 진동으로 변환되는 중입니다.)) | ||
- | 일단 청감상으로도 상당히 유의미한 향상이 있습니다. 평소 사용하던 SoundID reference 를 Bypass | + | 일단 청감상으로도 상당히 유의미한 향상이 있습니다. 평소 사용하던 SoundID reference를 |
====측정==== | ====측정==== | ||
- | 개인 적인 소견으로는 Peak 주파수들의 변화 보다는 | + | 개인 적인 소견으로는 Peak 주파수들의 변화 보다는 |
- | REW 의 측정 결과로는 | + | REW의 측정 결과로는 |
- | 또한 좌우 스피커의 레벨 편차가 많이 줄었습니다.((좌우 편차가 줄어든 것의 원인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 + | 또한, 좌우 스피커의 레벨 편차가 많이 줄었습니다.((좌우 편차가 줄어든 것의 원인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
- | 측정 후의 데이터로 SoundID 적용하고 | + | 측정 후의 데이터로 SoundID 적용하고 |
따라서 이제 남은 Peak 주파수들만 스피커 보정 소프트웨어(SoundID)를 통해 제어하면서 사용할 예정입니다. | 따라서 이제 남은 Peak 주파수들만 스피커 보정 소프트웨어(SoundID)를 통해 제어하면서 사용할 예정입니다. | ||
줄 64: | 줄 65: | ||
===REW 측정 결과=== | ===REW 측정 결과=== | ||
- | ==1/3 Octave | + | ==1/3 Octave |
- | 1/3 Octave | + | 1/3 Octave |
{{: | {{: | ||
- | 크로스오버 주파수 대역과, | + | 크로스오버 주파수 대역과, |
{{: | {{: | ||
줄 82: | 줄 83: | ||
{{: | {{: | ||
- | 300ms(0.3초)이내에 거의 감쇄됩니다. | + | 300ms(0.3초)이내에 거의 감쇠됩니다. |
{{: | {{: | ||
- | Bass reflex | + | 베이스 리플렉스를 통해 표현되는 저역대의 경우 어느 정도 |
{{: | {{: | ||
줄 92: | 줄 93: | ||
{{: | {{: | ||
- | RT60의 EDT(Early deflection)을 보니 이제는 중고음역 흡음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 | RT60의 EDT(Early deflection)을 보니 이제는 중고음역 흡음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 | ==1/ | + | ==1/ |
{{: | {{: | ||
줄 99: | 줄 100: | ||
===스피커 보정 EQ와 보정 이후 반응=== | ===스피커 보정 EQ와 보정 이후 반응=== | ||
- | SoundID 는 측정 결과를 1/3 Octave | + | SoundID는 측정 결과를 1/3 Octave |
{{: | {{: | ||
- | 현재는 이 SoundID EQ 를 Bypass | + | 현재는 이 SoundID EQ를 바이패스하면서 귀로 구분하려고 했으나 귀로는 아무런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 상황입니다.((베이스 트랩 설치 전에는 매우 많이 느껴짐)) |
+ | |||
+ | <WRAP info> | ||
- | < | + | {{tag>공명 "룸 어커스틱"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헬름홀쯔_공명을_이용한_베이스_트랩의_자체_제작.16806133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4/0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