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 [2023/10/31] – 바깥 편집 127.0.0.1정승환_컬럼: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 [2024/10/14]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600옴 오디오 표준, 어디로 갔을까?======+====== 600Ω 오디오 표준, 어디로 갔을까? ======  
  
-작성자 Frank McClatchie+  * https://www.fmsystems-inc.com/the-600-ohm-audio-standard-where-did-it-go/
  
-처 : https://www.fmsystems-inc.com/the-600-ohm-audio-standard-where-did-it-go/+오디오 표준은 라디오 산업의 필요에서 발했으며, 600Ω 임피던스와 오디오 전력을 dBm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그 중심에 있었습니다1mW는 0dBm에 해당합니다그러나 최근 몇 년간 오디오 산업에서는 오디오 전송 방식에 변화를 주었고, 대부분의 오디오 시스템은 더 이상 600Ω 표준을 따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오디오 레벨은 600Ω처럼 측정됩니다. 600Ω 표준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디오 표준은 라디오 산업의 필요성서 탄생하였으며 항상 600옴 오디오 표준 임피던스와 전력을 dBm으로 측정하는 관계였습니다. 1mW는 0dBm입다. 그러나 근 몇 년간 오디오 산업은 오디오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변경했습니다.+600Ω 오디오 전송 표준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준은 라디오 초창기에 쌍선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레벨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엔지어들은 모든 주파수에서 수신 장치로 대한의 오디오 전력을 전달하려면 케이블 끝의 "부하" 임피던스를 쌍선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일치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임피던스는 오디오 소스의 구동 임피던스와도 일치해야 했습니다.
  
-대부분의 오디오 스템은 더 상 600옴 표준을 준수하지 않지만 여전히 오디오 레벨을 600옴처럼 측정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600옴 표준이 유래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600옴 오디오 송 표준에는 많은 역사가 있습니다. 이것은 라디오 초기 에 간단한 쌍선 케이블로 전송되는 오디오 레벨의 손실에 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작되었습니다.+시 16 게이지 쌍선 오디오 전송 케이블은 음성 및 음악 주파수 대역에서 약 600Ω의 임피던스를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블의 원본과 수신 쪽 부하 임피던스도 600Ω으로 맞춰야, 수신 장치로 최대 력을 전달할 수 습니다. 그 는 케이블 전송에서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전송 케이블의 양 끝에 진공관 앰프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600Ω 표준은 바로 이 진공관 대에 등장한 것입니다.
  
-일찍이 엔지니어들은 모든 주파수에서 수신 단말에 최대한의 오디오 전을 전달하려면 선 끝 "부하"를 쌍선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에 맞추어야 하며이러한 임피던스를 오디오 소스 구동 임피던스에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진공관 앰프의 가장 큰 문제는 출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고입력 임피던스도 더 높았으며, 더 높은 출력 전압에서 작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600Ω 임피던스나 출력 레벨과 일치하지 않아, 600Ω 케이블에 신호를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고가의 매칭 트랜스포머가 필요했습니다.
  
-긴 쌍선 16 게지 오디오 전송 케블은 음성 및 음악 주파수에서 최대 15kHz까지 약 600옴 정도의 임피던를 나타내었으므로 당연히 오디오의 원본과 수신 측 부하도 수신 장비에 최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600옴이어야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쌍선 케이블서 전력 손실이 있었기 때문에 전송 케이블의 각 끝에 진공관 앰프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네, 맞습니다. 600옴 표준은 진공관 시대에 시작되었습니다.+라디오 스튜디오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마크 수십 개와 녹음 장비, 그리고 오디오 믹싱 패널이 있는 형 디오에서는 여러 장비 간의 연결이 더욱 복잡습니다. 뉴욕의 CBS "Black Rock" 같은 대형 스튜디오는 긴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레벨과 주파수 응답을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을 간단하게 유지해야 했습니다.
  
-진공관 앰프의 주요 문제점은 출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았으며 입력 임피던스도 더 며 훨씬 높은 출력 압에서 작동했기 때문에 원하는 600옴 임피던스 또는 출력 레벨과 일치하지 않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신호를 효과적으로 600옴 케이블에 결합하기 위해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매칭 트랜스포머를 적용해야 했습니다.+이 과정에서 엔지니어들은 소스 임피던스를 능한 한 낮게 (0에 가깝게) 유지하고, 수신 끝 부하 임피던스를 매우 높게 만들면 오디오 신호를 왜곡 없이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수신 쪽 임피던스가 매우 높으면 거의 력이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라디오 스튜디오가 더 복잡해지면서 십 개의 마이크와 상당한 녹음 장비 및 오디오 믹싱 패널이 는 큰 스튜디오에서는 여러 구성 요소 간의 결합이 훨씬 복잡해졌습니다. 뉴욕의 CBS "Black Rock"과 같은 큰 스튜디오는 긴 와어 런을 가진 큰 네트워크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를 간단하게 유지하면서 오디오 레벨과 주파수 응답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결국 "신 장치에 1mW의 오디오 전력이 전달된다"는 개념은 사라졌고, 1mW가 전달된 것처럼 "가장"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실제로는 전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았으며, 시스템은 600Ω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들은 시작 원본 임피던스를 매우 낮게 유하고 (0에 가깝게) 선 끝 부하 임피던를 매우 높게 만는 으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가 변질되지 않는 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선 끝 부하가 매우 높은 임피던이기 때문에 수신 측에서는 거의 이 소비되지 않으며 손실이 거의 없습니다.+오늘날에도 전압은 종료 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시템은 1mW가 로에 전달된 처럼 측정하며, 전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모던 오디오 회에서 0dBm의 레벨은 그 지점에서 0.7746V의 압이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현대 오디오 시에서는 로드 저항을 연결하나 해제해도 종료 이 크게 변하지 않으며는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수신 종료 임피던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여러 장비를 동일한 위치에 연결해도 전압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론 이제 "1mW의 오디오 전이 수신 에 전달된다"는 개념은 완히 사라졌으며, 1mW가 전달된 것처럼 "가장한"었습니다. 사실상 전력이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기본적으로 600옴으로 종료되었습니다.+적으로, 현재의 오디오 전송 시스템은 더 상 수신에 전력을 mW 단위로 달하지 않으며,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도 600Ω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장비 양서에는 600Ω 시스템과 호환된다는 내용을 포함해 고객에게 신뢰를 주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dBm 레벨 측정에 대해서는..
  
-물론, 전압은 종료 지점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1mW가 로드에 전달되는 것처럼 측정하려고 "가장한다". 따서 전력이 실제로 전달되지 않더라도 모던 오디오 회로에서 0dBm의 레벨은 해당 지점에서 0.7746 볼트의 전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로드 저항을 연결거나 해제하여 종료 전압이 크게 변하지 않으며, 이것이 현대 시스템의 큰 이점 중 하나입니다. 수신 종료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여러 종료를 동일한 위치에 연결해도 실제 전압이 변경되지 않습니다.+**그냥 "괜찮다"고 가정면 됩니다.**
  
-따라서 오디오 전송 시스템은 이제 수신기에 전력을 mW 단위로 전달하지도 않으며,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도 600옴이 아닙니다. 그러나 장비 사양서에 600옴 시스템과 호환된다는 것을 고객에게 보장하기 위해 장비 사양서에 600옴 사양이 나열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dBm 레벨 측정에 대해서는... +{{tag> 아날로그}}
- +
-"냥 괜찮다고 가정합시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169876359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31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