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cd_매체_이전의_마스터링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cd_매체_이전의_마스터링 [2024/03/07] – [CD 매체 이전의 마스터링] 정승환정승환_컬럼:cd_매체_이전의_마스터링 [2024/04/05] (현재) – [CD 매체 이전의 마스터링] 정승환
줄 7: 줄 7:
 마스터링이란 말은 “마스터 레코드” “마스터 테이프”, 즉 “마스터((미국에서는 종종 원본과 복사본의 뜻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를 만든다."라는 뜻입니다. 수많은 대량 미디어 복제를 위해서 우선 원본인 마스터를 제작하고 그 마스터로부터 복제본을 얻어내어 시장에 판매 합니다. 마스터링이란 말은 “마스터 레코드” “마스터 테이프”, 즉 “마스터((미국에서는 종종 원본과 복사본의 뜻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를 만든다."라는 뜻입니다. 수많은 대량 미디어 복제를 위해서 우선 원본인 마스터를 제작하고 그 마스터로부터 복제본을 얻어내어 시장에 판매 합니다.
  
-녹음 된 음원들을 모아서 앨범 마스터로 음원들을 순서대로 배치하여 다시 하나의 “마스터 테이프” 나 “마스터 레코드” 로 제작하여 그 마스터로부터 대량 복제를 하는 개념이었습니다. +녹음된 음원들을 모아서 앨범 마스터로 음원들을 순서대로 배치하여 다시 하나의 “마스터 테이프” 나 “마스터 레코드”로 제작하여 그 마스터로부터 대량 복제를 하는 개념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매체 하나에 곡이 여러 곡이 들어가는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이제 테이프나 CD로 앨범 전체를 넣는 일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싱글 시대가 된 지금은 마스터링이라는 개념이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지금은 매체 하나에 곡이 여러 곡이 들어가는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이제 테이프나 CD로 앨범 전체를 넣는 일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싱글 시대가 된 지금은 마스터링이라는 개념이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입니다.
  
-소리 크기에 관해서는 Dolby Volume, [[음향:industrial_standards:smpte:smpte_rp200|SMPTE RP200]]에 의해서 85dB 로 음악을 제작하여 0VU로 기록하고, 0VU의 기록을 바로 0VU에 맞춰서 마스터를 만들었습니다. 물론 몇몇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소리의 충실도((fidelity))를 향상 시키기 위해 이퀄라이저와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테크닉이 쓰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0VU가 레벨의 기준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마스터를 통해 복제되어 대중들에게 공급된 카세트 테이프는 다시 카오디오나 하이파이 오디오 시스템에서 85dB로 재생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소리 크기에 관해서는 Dolby Volume, [[음향:industrial_standards:smpte:smpte_rp200|SMPTE RP200]]에 의해서 85dBSPL 로 음악을 제작하여 0VU로 기록하고, 0VU의 기록을 바로 0VU에 맞춰서 마스터를 만들었습니다. 물론 몇몇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소리의 충실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이퀄라이저와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테크닉이 쓰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0VU가 레벨의 기준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마스터를 통해 복제되어 대중들에게 공급된 카세트 테이프는 다시 카오디오나 Hi-Fi 오디오 시스템에서 85dBSPL로 재생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레코드판===== =====레코드판=====
줄 17: 줄 17:
 레코드판 시절의 마스터를 만드는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만들어진 레코드를 재생하면서 소리를 바늘이 튀지 않고 충실히 들을 수 있는 가에 있었습니다. 레코드판 시절의 마스터를 만드는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만들어진 레코드를 재생하면서 소리를 바늘이 튀지 않고 충실히 들을 수 있는 가에 있었습니다.
  
-녹음실에서 음악을 녹음해서 제작할 때는 릴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을 했기 때문에, 녹음실의 원본 은 항상 릴 테이프 데이터로 존재 했고, 해당 릴 테이프의 소리를 "마스터 레코드" 원판으로 옮겨서 , 그 마스터 레코드 원판을 찍어내듯이 복제함으로써 레코드를 대중에게 공급할 수 있었습니다.+녹음실에서 음악을 녹음해서 제작할 때는 릴 테이프 레코더에 녹음을 했기 때문에, 녹음실의 원본 은 항상 릴 테이프 데이터로 존재 했고, 해당 릴 테이프의 소리를 "마스터 레코드" 원판으로 옮겨서, 그 마스터 레코드 원판을 찍어내듯이 복제함으로써 레코드를 대중에게 공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릴 테이프의 소리 정보를 그냥 마스터 레코드 원판으로 옮기게 되면, 저음역대의 정보에 의해 레코드판의 바늘이 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었기 때문에, 레코드판에 기록할 때는 저음을 감쇄하여 기록하고, 다시 재생 시에 저음을 증폭하여 재생하는 방식으로 바늘이 튀는 현상을 막았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이퀄라이저 커브를 포노 커브라고 하고, 이때 재생 시에 감쇄되었던 저음역대를 복구하는 대에 쓰이는 장비를 포노 프리앰프 라고 합니다.+하지만 릴 테이프의 소리 정보를 그냥 마스터 레코드 원판으로 옮기게 되면, 저음역대의 정보에 의해 레코드판의 바늘이 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었기 때문에, 레코드판에 기록할 때는 저음을 감쇄하여 기록하고, 다시 재생 시에 저음을 증폭하여 재생하는 방식으로 바늘이 튀는 현상을 막았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이퀄라이저 커브를 포노 커브라고 하고, 이때 재생 시에 감쇄되었던 저음역대를 복구하는 대에 쓰이는 장비를 포노 프리앰프라고 합니다.
  
 {{ 정승환_컬럼:mastering_before_cd_era:20220112-220629.png }} {{ 정승환_컬럼:mastering_before_cd_era:20220112-220629.png }}
줄 31: 줄 31:
 사실 수많은 포노 커브와 포노 프리앰프가 다수 존재하고, 레코드판의 소리 크기에 대한 기준도 제각각이었던 시절이라, 음악을 듣는 소비자들에게는 어떻게 보면 굉장히 암울했던 시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실 수많은 포노 커브와 포노 프리앰프가 다수 존재하고, 레코드판의 소리 크기에 대한 기준도 제각각이었던 시절이라, 음악을 듣는 소비자들에게는 어떻게 보면 굉장히 암울했던 시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비닐 마스터 레코드를 포함한 레코드판의 다이나믹 레인지 는 70dB 정도 됩니다. 하지만 릴 테이프 마스터 레코더의 경우는 77dB 정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어서, 비닐 마스터 레코드에 전체 소리를 담기 위해서 컴프레서를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페어 차일드 컴프레서의 경우 LAT/VERT라는 스위치를 통해 레코드 플레어 스타일러스(바늘)의 수직/수평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CD 는 96dB 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비닐 마스터 레코드를 포함한 레코드판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70dB 정도 됩니다. 하지만 릴 테이프 마스터 레코더의 경우는 77dB 정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어서, 비닐 마스터 레코드에 전체 소리를 담기 위해서 컴프레서를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페어 차일드 컴프레서의 경우 LAT/VERT라는 스위치를 통해 레코드 플레어 스타일러스(바늘)의 수직/수평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CD는 96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튜디오에서 릴 테이프로 녹음한 음질을 레코드판에 그대로 옮기는 것은 매우 쉬운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그 때문에, 릴 테이프 마스터에 녹음 된 오리지널 소리를 그대로 감상하기는 매우 힘든 일이었습니다.+스튜디오에서 릴 테이프로 녹음한 음질을 레코드판에 그대로 옮기는 것은 매우 쉬운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그 때문에, 릴 테이프 마스터에 녹음된 오리지널 소리를 그대로 감상하기는 매우 힘든 일이었습니다.
  
 레코드판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도 저렴하지 않았고 크기도 크고, 또 설치된 장소 이외에서 음악을 듣는 것도 매우 힘들었습니다. 레코드판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도 저렴하지 않았고 크기도 크고, 또 설치된 장소 이외에서 음악을 듣는 것도 매우 힘들었습니다.
줄 46: 줄 46:
  
 {{ youtube>CMTpvr9HXeI?large }}\\ {{ youtube>CMTpvr9HXeI?large }}\\
- 
-거기에 추가로, Dolby 는 그러한 카세트 테이프의 음원 재생 방식에 더 좋은 소리를 들려주기 위하여 [[wp>Dolby_noise-reduction_system|Dolby Noise reduction System]] 이라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여, 많은 카세트 테이프와 플레이어에 Dolby System 또는 Dolby NR 이라는 기능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극장에도 많이 팔아먹었으니 일반 가정집의 카세트에도 많이 팔겠다는 내용으로 이해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 
-{{정승환_컬럼:mastering_before_cd_era:20220112-220806.png}} 
  
 =====리마스터링===== =====리마스터링=====
줄 151: 줄 147:
  
 <WRAP info>---[[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2/01/04 - 서명됨</WRAP> <WRAP info>---[[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2/01/04 - 서명됨</WRAP>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cd_매체_이전의_마스터링.17098136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