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history_of_recording_consol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history_of_recording_console [2024/02/19] – [2000년대] 정승환정승환_컬럼:history_of_recording_console [2024/05/24] (현재) – [인라인 콘솔의 등장] 정승환
줄 5: 줄 5:
 최초의 유성 영화인 The Jazz singer(1928)라는 영화를 위해서 사전에 음악을 녹음해야 했고, 그 필요성에 따라 Western Electric 이나 RCA 같은 회사들에서 믹싱 콘솔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믹스 콘솔의 제작 단가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이 두 회사는 판매보다는 렌탈을 목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최초의 유성 영화인 The Jazz singer(1928)라는 영화를 위해서 사전에 음악을 녹음해야 했고, 그 필요성에 따라 Western Electric 이나 RCA 같은 회사들에서 믹싱 콘솔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믹스 콘솔의 제작 단가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이 두 회사는 판매보다는 렌탈을 목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WRAP centeralign box>
 {{ youtube>22NQuPrwbHA?large }}\\ {{ youtube>22NQuPrwbHA?large }}\\
 +The Jazz singer(1928)
 +</WRAP>
  
-[{{ :정승환_컬럼:20230826-153637.png |**Western Electric 22C**}}]+<WRAP centeralign box>{{ :정승환_컬럼:20230826-153637.png |}}\\ 
 +**Western Electric 22C**</WRAP>
  
-[{{ :정승환_컬럼:20230826-165105.png |**[[유저위키:믹싱_콘솔:rca_bc-5|RCA BC-5]]**}}]+<WRAP centeralign box>{{ :정승환_컬럼:20230826-165105.png |}}\\ 
 +**[[유저위키:믹싱_콘솔:rca_bc-5|RCA BC-5]]**</WRAP>
  
 =====콘솔의 역사-1940년대===== =====콘솔의 역사-1940년대=====
줄 15: 줄 20:
 Ampex, Nagra, Rangertone 및 Fairchild와 같은 회사들도 방송 용 믹스 콘솔 시장에 진입 했습니다. 하지만 이 때 까지도 Western Electric과 RCA의 독점 및 독주는 계속 되었습니다. Ampex, Nagra, Rangertone 및 Fairchild와 같은 회사들도 방송 용 믹스 콘솔 시장에 진입 했습니다. 하지만 이 때 까지도 Western Electric과 RCA의 독점 및 독주는 계속 되었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1008-142413.png|**Western Electric 25B**}}]+<WRAP centeralign box>{{ :정승환_컬럼:20231008-142413.png |}}\\ 
 +**Western Electric 25B**</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63144.png|**[[유저위키:믹싱_콘솔:nagra_bm-ii|Nagra BM-II]]**}}]+<WRAP centeralign box>{{ :정승환_컬럼:20230826-163144.png |}}\\ 
 +**[[유저위키:믹싱_콘솔:nagra_bm-ii|Nagra BM-II]]**</WRAP> 
 + 
 +<WRAP centeralign box>{{ :정승환_컬럼:20230826-163412.png |}}\\ 
 +**[[유저위키:믹싱_콘솔:apex_mx-35|AMPEX MX-35]]**</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63412.png|**[[유저위키:믹싱_콘솔:apex_mx-35|AMPEX MX-35]]**}}] 
 =====콘솔의 역사-1950년대===== =====콘솔의 역사-1950년대=====
  
줄 32: 줄 41:
 {{:정승환_컬럼:20231214-133958.png|https://www.aes.org/aeshc/docs/mcknight_the-les-paul-console.html}} {{:정승환_컬럼:20231214-133958.png|https://www.aes.org/aeshc/docs/mcknight_the-les-paul-console.html}}
  
-[{{:정승환_컬럼:20240124-225719.png|**[[유저위키:믹싱_콘솔:altec_1567a|ALTEC 1567A]]** (1958년)}}]+<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40124-225719.png|}}\\ 
 +**[[유저위키:믹싱_콘솔:altec_1567a|ALTEC 1567A]]** (1958년)</WRAP>
  
-[{{:정승환_컬럼:20231008-212327.png|**ALTEC 25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1008-212327.png|}}\\ 
 +**ALTEC 250**</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60239.png|**[[유저위키:믹싱_콘솔:emi_redd_17|EMI REDD 17]]** (1957년)}}]+<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60239.png|}}\\ 
 +**[[유저위키:믹싱_콘솔:emi_redd_17|EMI REDD 17]]** (1957년)</WRAP>
  
-[{{:정승환_컬럼:20240124-224521.png|**[[유저위키:믹싱_콘솔:ua_610|UA 610]]** 1958년}}]+<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40124-224521.png|}}\\ 
 +**[[유저위키:믹싱_콘솔:ua_610|UA 610]]** 1958년</WRAP>
  
 =====콘솔의 역사-1960년대===== =====콘솔의 역사-1960년대=====
줄 44: 줄 57:
 진공관 기술은 점점 트랜지스터 기술로 대체되기 시작합니다. 1964년 Rupert Neve는 최초의 트랜지스터 방식의 믹스 콘솔을 제작합니다. EMI도 그들의 첫번째 트랜지스터 콘솔인 TG12345를 만들었습니다. 진공관 기술은 점점 트랜지스터 기술로 대체되기 시작합니다. 1964년 Rupert Neve는 최초의 트랜지스터 방식의 믹스 콘솔을 제작합니다. EMI도 그들의 첫번째 트랜지스터 콘솔인 TG12345를 만들었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1008-211503.png|**Altec 250s**}}]+<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1008-211503.png|}}\\ 
 +**Altec 250s**</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61037.png|**1960s Neve console**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61037.png|}}\\ 
 +**1960s Neve console**</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61527.png|**EMI TG12345**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61527.png|}}\\ 
 +**[[유저위키:믹싱_콘솔:emi_tg12345|EMI TG12345]]**</WRAP>
  
 이러한 믹스 콘솔들은 멀티 트랙 레코더와의 사용을 전제하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러 입력 채널을 각기 다른 버스에 라우팅할 수 있는 기능을 넣어서 제작되어 졌습니다.  이러한 믹스 콘솔들은 멀티 트랙 레코더와의 사용을 전제하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러 입력 채널을 각기 다른 버스에 라우팅할 수 있는 기능을 넣어서 제작되어 졌습니다. 
줄 56: 줄 72:
 API는 이 때부터 유지 보수와 수리를 위해 모듈화 된 콘솔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API는 최초로 페이더에 자동화를 도입했습니다.((회사 이름부터 Automated Processes, Inc.이다.)) API는 이 때부터 유지 보수와 수리를 위해 모듈화 된 콘솔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API는 최초로 페이더에 자동화를 도입했습니다.((회사 이름부터 Automated Processes, Inc.이다.))
  
-API의 모듈화 기술은 200 리즈와 500 리즈로 개발되었는데, 지금은 500 리즈가 남아 있어서, 많은 회사들이 500 리즈 포맷으로 아웃보드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API의 모듈화 기술은 200 리즈와 500 리즈로 개발되었는데, 지금은 500 리즈가 남아 있어서, 많은 회사들이 500 리즈 포맷으로 아웃보드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903-160117.png|**[[유저위키:믹싱_콘솔:api_1604|API 1604]]**}}]+<WRAP centeralign box>{{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903-160117.png|}}\\ 
 +**[[유저위키:믹싱_콘솔:api_1604|API 1604]]**</WRAP>
  
 +<WRAP centeralign box>{{:유저위키:믹싱_콘솔:20240308-184731.png}}\\
 +**[[유저위키:믹싱_콘솔:siemens_sitral|Siemens Sitral]]**</WRAP>
 =====콘솔의 역사-1970년대===== =====콘솔의 역사-1970년대=====
-Rupert Neve는 BCM10 콘솔을 제작하여 뮤지션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그것으로 A88 콘솔을 제작하여 [[https://www.discogs.com/ko/label/337957-Wessex-Sound-Studios|Wessex Studio]]((그때 당시 영국에서 가장 유명했던 녹음실 중 한 곳, WHO, The Sex Pistols, King Crimson the Clash, XTC, Rolling Stones, Sinceros,  Queen, Talk Talk, Rolling Stones, Pete Townshend))에 납품하게 됩니다. 그 이후 전설적인 1073 프리앰프 모듈을 탑재한 8014, 8028((Soundcity, Dave Grohl, Nirvana - nevermind)) 등 80 리즈 믹스 콘솔을 차례대로 내놓습니다. +Rupert Neve는 BCM10 콘솔을 제작하여 뮤지션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그것으로 A88 콘솔을 제작하여 [[https://www.discogs.com/ko/label/337957-Wessex-Sound-Studios|Wessex Studio]]((그때 당시 영국에서 가장 유명했던 녹음실 중 한 곳, WHO, The Sex Pistols, King Crimson the Clash, XTC, Rolling Stones, Sinceros,  Queen, Talk Talk, Rolling Stones, Pete Townshend))에 납품하게 됩니다. 그 이후 전설적인 1073 프리앰프 모듈을 탑재한 8014, 8028((Soundcity, Dave Grohl, Nirvana - nevermind)) 등 80 리즈 믹스 콘솔을 차례대로 내놓습니다.  
 + 
 +<WRAP box centeralign> 
 +{{:정승환_컬럼:img_1811.jpeg?400|}}\\ 
 +Wessex 1st Neve Console 
 +</WRAP>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13109.png|**[[유저위키:믹싱_콘솔:nevebcm10|Neve BCM10]]**((45 Series Module slot))}}]+<WRAP box centeralign>{{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13109.png|}}\\ 
 +**[[유저위키:믹싱_콘솔:nevebcm10|Neve BCM10]]**((45 Series Module slot))</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85203.png|**Wessex A88** by Rupert Neve(1970년)((45 Series Module slot))}}]+<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85203.png|}}\\ 
 +**Wessex A88** by Rupert Neve(1970년)((45 Series Module slot))</WRAP>
  
-[{{:정승환_컬럼:20230902-221350.png|**[[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8028|Neve 8028]]**}}]+<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902-221350.png|}}\\ 
 +**[[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8028|Neve 8028]]**</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0453.png|**Neve 8048**((Freddy Mercury, Queen - Under pressure))((80 Series Module slot))}}]+<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0453.png|}}\\ 
 +**Neve 8048**((Freddy Mercury, Queen - Under pressure))((80 Series Module slot))</WRAP>
  
 ====인라인 콘솔의 등장==== ====인라인 콘솔의 등장====
  
-최초의 인라인 콘솔은 MCI 사의 MCI-400입니다.+최초의 인라인 콘솔은 MCI 사의 [[유저위키:믹싱_콘솔:mci-416|MCI-400]]입니다.
  
-[[음향:mixingconsole:inline_console|인라인 콘솔]]은 녹음 및 믹스에 최적화 된 믹스 콘솔입니다. 녹음과 플레이백을 한 채널에서 같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Neve 80 리즈 믹스 콘솔 중 8058(28채널), 8068(32채널), 8088(40채널)은 Neve 최초의 인라인 콘솔입니다.+[[음향:mixingconsole:inline_console|인라인 콘솔]]은 녹음 및 믹스에 최적화 된 믹스 콘솔입니다. 녹음과 플레이백을 한 채널에서 같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Neve 80 리즈 믹스 콘솔 중 8058(28채널), 8068(32채널), 8088(40채널)은 Neve 최초의 인라인 콘솔입니다.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1214-134643.png|**MCI-400**}}]+<WRAP centeralign box>{{유저위키:믹싱_콘솔:20231214-134643.png|}}\\ 
 +**MCI-400**</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85348.png|**Neve 8058**((80 Series Module slot))}}]+<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85348.png|}}\\ 
 +**Neve 8058**((80 Series Module slot))</WRAP>
  
-[{{:정승환_컬럼:20230902-221930.png|**Neve 8068**((80 Series Module slot))}}]+<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902-221930.png|}}\\ 
 +**Neve 8068**((80 Series Module slot))</WRAP>
  
 ====방송용 콘솔==== ====방송용 콘솔====
  
-Neve는 방송 용 콘솔로 용도 변경된 50 리즈도 내놓습니다.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그냥 일반 콘솔을 스플릿으로 사용하여 녹음과 믹스에 사용했고 방송국에서도 일반 믹스 콘솔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면서 인라인 콘솔은 녹음 및 믹스 용 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인라인 기능은 방송이나 라이브에서는 필요 없는 기능이었습니다. 따라서 콘솔에서 인라인 기능을 빼고 따로 방송 전용으로 콘솔을 만들기도 했습니다.((음질 및 회로 방식은 기존 Neve와 동일)) 이러한 방송용 콘솔은 현대의 방송 및 라이브 용 콘솔과 그 맥을 같이 합니다.+Neve는 방송 용 콘솔로 용도 변경된 50 리즈도 내놓습니다.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그냥 일반 콘솔을 스플릿으로 사용하여 녹음과 믹스에 사용했고 방송국에서도 일반 믹스 콘솔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인라인 콘솔이 등장하면서 인라인 콘솔은 녹음 및 믹스 용 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인라인 기능은 방송이나 라이브에서는 필요 없는 기능이었습니다. 따라서 콘솔에서 인라인 기능을 빼고 따로 방송 전용으로 콘솔을 만들기도 했습니다.((음질 및 회로 방식은 기존 Neve와 동일)) 이러한 방송용 콘솔은 현대의 방송 및 라이브 용 콘솔과 그 맥을 같이 합니다.
  
-[{{:정승환_컬럼:20230826-193952.png|**[[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5315|Neve 5315]]**}}]+<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3952.png|}}\\ 
 +**[[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5315|Neve 5315]]**</WRAP>
  
-[{{:정승환_컬럼:20230902-230058.png|**Neve 5316**}}]+<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902-230058.png|}}\\ 
 +**Neve 5316**</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4441.png|**Neve 5422**}}]+<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4441.png|}}\\ 
 +**Neve 5422**</WRAP>
  
-[{{:정승환_컬럼:20230902-225824.png|**Neve 5442**}}]+<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902-225824.png|}}\\ 
 +**Neve 5442**</WRAP>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902-233436.png|**[[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5465|Neve 5465]]**}}]+<WRAP centeralign box>{{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902-233436.png|}}\\ 
 +**[[유저위키:믹싱_콘솔:neve_5465|Neve 5465]]**</WRAP>
  
 ====리콜 이 가능한 믹스 콘솔의 등장==== ====리콜 이 가능한 믹스 콘솔의 등장====
줄 101: 줄 137:
  SSL(Solid State Logic)이 IC Op-amp 회로 기반의 4000a 믹스 콘솔을 만들면서 레코딩 믹스 콘솔 시장에 진입하게 됩니다. 이 콘솔의 토탈 리콜이라는 기능은 수동이긴 하지만, 모든 믹스 상태를 내장된 컴퓨터에 저장했다가, 다시 불러와서 똑같이 셋팅을 할 수 있는 콘솔이었습니다.  SSL(Solid State Logic)이 IC Op-amp 회로 기반의 4000a 믹스 콘솔을 만들면서 레코딩 믹스 콘솔 시장에 진입하게 됩니다. 이 콘솔의 토탈 리콜이라는 기능은 수동이긴 하지만, 모든 믹스 상태를 내장된 컴퓨터에 저장했다가, 다시 불러와서 똑같이 셋팅을 할 수 있는 콘솔이었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0826-185613.png|**[[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SSL400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85613.png|}}\\ 
 +**[[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SSL4000]]**</WRAP>
  
 **Total Recall** **Total Recall**
  
-[{{:정승환_컬럼:20230902-182546.png|SSL 4000 Total recall}}]+<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902-182546.png|}}\\ 
 +SSL 4000 Total recall</WRAP>
  
 콘솔의 셋팅을 그림으로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다. 불러온 후에는 해당 채널을 사람이 직접 그림과 똑같이 맞춰 주면 된다. 100% 완벽한 수동식. 이러한 작업들은 어시스트 엔지니어의 존재 이유이기도 했다. 콘솔의 셋팅을 그림으로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다. 불러온 후에는 해당 채널을 사람이 직접 그림과 똑같이 맞춰 주면 된다. 100% 완벽한 수동식. 이러한 작업들은 어시스트 엔지니어의 존재 이유이기도 했다.
  
-=====1980년대=====+=====콘솔의 역사-1980년대=====
  
-Siemens 사가 재정난이 있었던 Neve사 를 인수하여 AMS((Advanced Music Systems))와 Neve 브랜드를 통합하여 AMS Neve로 재편성합니다. Rupert Neve는 Focusrite를 설립하여 ISA 프리앰프 회로 기반의 Forte 콘솔을 개발합니다. AMS Neve는 새로운 V 리즈((기존 1073, 1081 프리앰프의 Topology는 BJT 트랜지스터 기반이었지만 V 리즈의 프리앰프 Topology는 IC Op-amp입니다. 이 때문에 프리앰프의 사운드의 호불호가 강했습니다.)) 믹스 콘솔을 시장에 내놨고, SSL은 4000 리즈 콘솔의 성공에 힘입어 6000 리즈 8000 리즈 등의 후속기로 레코딩 시장에서 AMS Neve와 경쟁하게 됩니다. 1980년대는 대다수의 믹스 콘솔들이 IC 칩을 이용한 회로를 적극 도입한 시기이기도 합니다.+Siemens 사가 재정난이 있었던 Neve사를 인수하여 AMS((Advanced Music Systems))와 Neve 브랜드를 통합하여 AMS Neve로 재편성합니다. Rupert Neve는 Focusrite를 설립하여 ISA 프리앰프 회로 기반의 Forte 콘솔을 개발합니다. AMS Neve는 새로운 V 리즈((기존 1073, 1081 프리앰프의 Topology는 BJT 트랜지스터 기반이었지만 V 리즈의 프리앰프 Topology는 IC Op-amp 기반입니다. 이 때문에 프리앰프의 사운드의 호불호가 강했습니다.)) 믹스 콘솔을 시장에 내놨고, SSL은 4000 리즈 콘솔의 성공에 힘입어 6000 리즈 8000 리즈 등의 후속기로 레코딩 시장에서 AMS Neve와 경쟁하게 됩니다. 1980년대는 대다수의 믹스 콘솔들이 IC 칩을 이용한 회로를 적극 도입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SSL 콘솔은 Neve 나 Focusrite, API에 비하여 프리앰프의 퀄리티는 다소 떨어졌지만, 채널스트립 마다 내장된 다이내믹 섹션((컴프레서와 게이트 익스팬더))의 존재와, Total Recall 이라는 막강한 리콜 기능 때문에 녹음실 시장을 거의 석권할 수 있었습니다.((SSL 콘솔이 타 회사 콘솔들보다 믹스 서밍 작업 용으로 좋다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SSL 콘솔은 Neve 나 Focusrite, API에 비하여 프리앰프의 퀄리티는 다소 떨어졌지만, 채널스트립마다 내장된 다이내믹 섹션((컴프레서와 게이트 익스팬더))의 존재와, Total Recall 이라는 막강한 리콜 기능 때문에 녹음실 시장을 거의 석권할 수 있었습니다.((SSL 콘솔이 타 회사 콘솔들보다 믹스 서밍 작업 용으로 좋다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0826-185901.png|**[[유저위키:믹싱_콘솔:focusrite_forte|Focusrite Forte]]**((좋은 콘솔이지만 리콜 기능이 없음으로 인하여 많이 팔리지는 못함, 후에 Rupert Neve는 Focusrite 콘솔과 똑같은 ISA 회로 방식을 사용하면서 리콜이 가능한 Amek 9098 콘솔을 만들게 된다.[{{:정승환_컬럼:20230902-184508.png|Amek 리콜}}]))}}]+<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85901.png|}}\\ 
 +**[[유저위키:믹싱_콘솔:focusrite_forte|Focusrite Forte]]**((좋은 콘솔이지만 리콜 기능이 없음으로 인하여 많이 팔리지는 못함, 후에 Rupert Neve는 Focusrite 콘솔과 똑같은 ISA 회로 방식을 사용하면서 리콜이 가능한 Amek 9098 콘솔을 만들게 된다.{{:정승환_컬럼:20230902-184508.png|Amek 리콜}}))</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0107.png|**AMS Neve V3**((리콜 기능의 부재와 기존에 비해 SSL 수준으로 처참하게 떨어지는 프리앰프 퀄리티로 인하여 망작으로 평가 받음))}}]+<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0107.png|}}\\ 
 +**AMS Neve V3**((리콜 기능의 부재와 기존에 비해 SSL 수준으로 처참하게 떨어지는 프리앰프 퀄리티로 인하여 망작으로 평가 받음))</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0144.png|**AMS Neve VR**(([{{:정승환_컬럼:20230902-230209.png?200|Neve V with 리콜}}][{{:정승환_컬럼:20230902-230236.png?200|Neve V with 리콜}}][{{:정승환_컬럼:20230902-230259.png?200|Neve V with 리콜}}][{{:정승환_컬럼:20230902-230652.png?200|Neve V with 리콜}}]))}}]+<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0144.png|}}\\ 
 +**AMS Neve VR**(( 
 +<WRAP group centeralign> 
 +<WRAP quarter column>{{:정승환_컬럼:20230902-230209.png?200|Neve V with 리콜}}</WRAP> 
 +<WRAP quarter column>{{:정승환_컬럼:20230902-230236.png?200|Neve V with 리콜}}</WRAP> 
 +<WRAP quarter column>{{:정승환_컬럼:20230902-230259.png?200|Neve V with 리콜}}</WRAP> 
 +<WRAP quarter column>{{:정승환_컬럼:20230902-230652.png?200|Neve V with 리콜}}</WRAP> 
 +</WRAP> 
 +))</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1609.png|**SSL600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1609.png|}}\\ 
 +**SSL6000**</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1827.png|**SSL800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1827.png|}}\\ 
 +**SSL8000**</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0302.png|**Yamaha DMP7**(Yamaha 최초의 디지털 믹스 콘솔)}}]+<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0302.png|}}\\ 
 +**Yamaha DMP7**(Yamaha 최초의 디지털 믹스 콘솔)</WRAP>
  
 =====콘솔의 역사-1990년대===== =====콘솔의 역사-1990년대=====
-SSL 4000 리즈 부터 도입되었던 토탈 리콜 기능은 스튜디오 비즈니스에서 매우 강력한 힘을 발휘 했고, 따라서 Neve나 API 등의 다른 콘솔 회사들도 이러한 비슷한 기능들을 적극 도입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Yamaha는 소형 디지털 믹서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었습니다. 디지털 믹서는 모든 믹스 셋팅이 “자동”으로 리콜 될 수 있었습니다.+SSL 4000 리즈 부터 도입되었던 토탈 리콜 기능은 스튜디오 비즈니스에서 매우 강력한 힘을 발휘 했고, 따라서 Neve나 API 등의 다른 콘솔 회사들도 이러한 비슷한 기능들을 적극 도입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Yamaha는 소형 디지털 믹서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었습니다. 디지털 믹서는 모든 믹스 셋팅이 “자동”으로 리콜 될 수 있었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0826-194325.png|**AMS Neve VXS**}}]+<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4325.png|}}\\ 
 +**AMS Neve VXS**</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1457.png|**SSL9000J**}}]+<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1457.png|}}\\ 
 +**SSL9000J**</WRAP>
  
-[{{:정승환_컬럼:20230826-200100.png|**API Legacy Plus**}}]+<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200100.png|}}\\ 
 +**API Legacy Plus**</WRAP>
  
-[{{:정승환_컬럼:20230827-012248.png|**Yamaha PROMIX 01**}}]+<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7-012248.png|}}\\ 
 +**Yamaha PROMIX 01**</WRAP>
  
-[{{:정승환_컬럼:20230827-012659.png|**Yamaha O3D**}}]+<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7-012659.png|}}\\ 
 +**Yamaha O3D**</WRAP>
  
-[{{:정승환_컬럼:20230827-012435.png|**Yamaha O2R**}}]+<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7-012435.png|}}\\ 
 +**Yamaha O2R**</WRAP>
  
 =====콘솔의 역사-2000년대===== =====콘솔의 역사-2000년대=====
-Focusrite 를 떠난 Rupert Neve 는 새로 Rupert Neve 사를 설립하여 5088 콘솔을 만듭니다.((그 동안 Focusrite는 믹스 콘솔 시장 보다는 아웃보드 시장에 집중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다른 콘솔들이 리콜 기능이 되는 반면 Focusrite 콘솔은 리콜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시장에서 외면받은 것도 이유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Rupert Neve 5088은 많은 면에서 예전 Neve 80 리즈 콘솔을 생각나게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내부 회로는 전부 모던하게 Op-amp를 사용합니다. SSL 의 Duality 는 DAW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성을 중시하여 개발된 콘솔이었습니다. AMS Neve도 기존의 V 계열의 프리앰프를 개선한 88RS 프리앰프((88RS의 프리앰프는 Focusrite ISA와 비슷한 수준의 프리앰프입니다.))를 장착한 88RS 콘솔을 내놓습니다.+Focusrite 를 떠난 Rupert Neve 는 새로 Rupert Neve 사를 설립하여 5088 콘솔을 만듭니다.((그 동안 Focusrite는 믹스 콘솔 시장 보다는 아웃보드 시장에 집중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다른 콘솔들이 리콜 기능이 되는 반면 Focusrite 콘솔은 리콜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시장에서 외면받은 것도 이유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Rupert Neve 5088은 많은 면에서 예전 Neve 80 리즈 콘솔을 생각나게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내부 회로는 전부 모던하게 Op-amp를 사용합니다. SSL 의 Duality 는 DAW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성을 중시하여 개발된 콘솔이었습니다. AMS Neve도 기존의 V 계열의 프리앰프를 개선한 88RS 프리앰프((88RS의 프리앰프는 Focusrite ISA와 비슷한 수준의 프리앰프입니다.))를 장착한 88RS 콘솔을 내놓습니다.
  
-[{{:정승환_컬럼:20230826-191002.png|**Neve 88RS**}}]+<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1002.png|}}\\ 
 +**Neve 88RS**</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1319.png|**SSL AWS90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1319.png|}}\\ 
 +**SSL AWS900**</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2103.png|**SSL Duality**}}]+<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2103.png|}}\\ 
 +**SSL Duality**</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4710.png|**Rupert Neve 5088**}}]+<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4710.png|}}\\ 
 +**Rupert Neve 5088**</WRAP>
  
-[{{:정승환_컬럼:20230826-195530.png|**API Vision**}}]+<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195530.png|}}\\ 
 +**API Vision**</WRAP>
  
-[{{:정승환_컬럼:20230826-200211.png|**API 1608**}}]+<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30826-200211.png|}}\\ 
 +**API 1608**</WRAP>
  
-[{{:정승환_컬럼:img_6838-1.jpg|**Yamaha DM2000**}}]+<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img_6838-1.jpg|}}\\ 
 +**Yamaha DM2000**</WRAP>
  
 =====현재====== =====현재======
  
-<bootnote critical>녹음실 콘솔 시장은 Pro Tools, Cubase, Nuendo, Logic 등의 DAW 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콘솔 회사들은 라이브나 방송용 콘솔 시장으로 방향을 많이 틀었습니다.</bootnote>+<WRAP important>녹음실 콘솔 시장은 Pro Tools, Cubase, Nuendo, Logic 등의 DAW 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콘솔 회사들은 라이브나 방송용 콘솔 시장으로 방향을 많이 틀었습니다.</WRA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history_of_recording_console.170832233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