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mic_preamps_what_you_need_to_know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정승환_컬럼:mic_preamps_what_you_need_to_know [2025/04/20] – [연결 해제(글을 끝마치며)] 정승환 | 정승환_컬럼:mic_preamps_what_you_need_to_know [2025/08/15] (현재) – 정승환 | ||
---|---|---|---|
줄 46: | 줄 46: | ||
오늘날의 프리앰프는 일반적으로 콘덴서 마이크를 위한 팬텀 파워를 제공합니다. 팬텀 파워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가 거의 항상 있으며, 일부 프리앰프나 믹서는 모든 입력 또는 입력 그룹에 대해 단일 팬텀 파워 스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팬텀 파워가 리본 마이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인터넷 상의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실제로 마이크와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다면 다이내믹 마이크나 리본 마이크는 팬텀 전압을 감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핀 1과 다른 두 핀 중 하나 사이에 단락이 있는 마이크 케이블은 팬텀 전압 전체를 마이크 요소에 전달하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단락된 케이블은 또한 팬텀 파워가 필요한 마이크가 작동하지 못하게 하지만, 이는 더 명백한 문제입니다. 팬텀 파워를 끈 상태에서 마이크를 연결하는 것이 좋은 정책입니다. 만약 잊어버린다면, | 오늘날의 프리앰프는 일반적으로 콘덴서 마이크를 위한 팬텀 파워를 제공합니다. 팬텀 파워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가 거의 항상 있으며, 일부 프리앰프나 믹서는 모든 입력 또는 입력 그룹에 대해 단일 팬텀 파워 스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팬텀 파워가 리본 마이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인터넷 상의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실제로 마이크와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다면 다이내믹 마이크나 리본 마이크는 팬텀 전압을 감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핀 1과 다른 두 핀 중 하나 사이에 단락이 있는 마이크 케이블은 팬텀 전압 전체를 마이크 요소에 전달하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단락된 케이블은 또한 팬텀 파워가 필요한 마이크가 작동하지 못하게 하지만, 이는 더 명백한 문제입니다. 팬텀 파워를 끈 상태에서 마이크를 연결하는 것이 좋은 정책입니다. 만약 잊어버린다면, | ||
- | <WRAP center round box> | + | > |
- | 우리는 팬텀 파워가 콘덴서 마이크만을 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었지만, | + | |
- | </ | + | |
팬텀 파워는 일반적으로 ±10%의 48V로 제공되지만, | 팬텀 파워는 일반적으로 ±10%의 48V로 제공되지만, | ||
줄 62: | 줄 60: | ||
Shure SM57과 같은 다이내믹 마이크는 로드 임피던스를 조정할 때 소리가 매우 눈에 띄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관련 레벨 변화에 대한 보정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반면, 트랜스포머가 없는 콘덴서 마이크는 로드 임피던스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여기에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단지 적절하게 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Shure SM57과 같은 다이내믹 마이크는 로드 임피던스를 조정할 때 소리가 매우 눈에 띄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관련 레벨 변화에 대한 보정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반면, 트랜스포머가 없는 콘덴서 마이크는 로드 임피던스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여기에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단지 적절하게 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 <WRAP center round box> | + | > |
- | 초창기에는 모든 앰프가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 + | |
- | </ | + | |
====테마와 변주==== | ====테마와 변주==== | ||
줄 78: | 줄 73: | ||
디지털 방식으로 프리앰프를 인터페이스하는 한 가지 문제는 좋아하는 빈티지 아날로그 컴프레서나 이퀄라이저를 연결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점입니다. 제조업체들은 이를 인식하고 디지털 출력이 있는 프리앰프에 아날로그 인서트 잭을 추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인서트 잭(또는 밸런스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채널당 한 쌍의 잭)은 마이크 프리앰프 단계의 아날로그 출력과 A-D 컨버터의 입력 사이에서 외부 프로세서를 신호 체인에 패치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연결 지점을 제공합니다. | 디지털 방식으로 프리앰프를 인터페이스하는 한 가지 문제는 좋아하는 빈티지 아날로그 컴프레서나 이퀄라이저를 연결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점입니다. 제조업체들은 이를 인식하고 디지털 출력이 있는 프리앰프에 아날로그 인서트 잭을 추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인서트 잭(또는 밸런스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채널당 한 쌍의 잭)은 마이크 프리앰프 단계의 아날로그 출력과 A-D 컨버터의 입력 사이에서 외부 프로세서를 신호 체인에 패치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연결 지점을 제공합니다. | ||
- | <WRAP center round box> | + | > |
- | 인서트(Inserts): | + | |
- | </ | + | |
오늘날의 마이크 프리앰프에 자주 발견되는 또 다른 기능은 인스트루먼트 입력입니다. 이는 ¼" 폰 잭에 있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 입력으로, | 오늘날의 마이크 프리앰프에 자주 발견되는 또 다른 기능은 인스트루먼트 입력입니다. 이는 ¼" 폰 잭에 있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 입력으로, | ||
줄 138: | 줄 131: | ||
오늘날 인기를 얻고 있는, 타당한 이유가 있는 두 개의 핫한 op-amp 기반 IC 마이크 프리앰프는 THAT Corp.의 TA1512 시리즈와 Texas Instruments(현재 Burr-Brown 설계의 본거지)의 PGA2500 시리즈입니다. 둘 다 매우 훌륭한 사운드를 제공하며 PGA2500은 소프트웨어 제어 프리앰프에 훌륭하게 통합되는 디지털 게인 제어를 제공합니다. | 오늘날 인기를 얻고 있는, 타당한 이유가 있는 두 개의 핫한 op-amp 기반 IC 마이크 프리앰프는 THAT Corp.의 TA1512 시리즈와 Texas Instruments(현재 Burr-Brown 설계의 본거지)의 PGA2500 시리즈입니다. 둘 다 매우 훌륭한 사운드를 제공하며 PGA2500은 소프트웨어 제어 프리앰프에 훌륭하게 통합되는 디지털 게인 제어를 제공합니다. | ||
- | <WRAP center round box> | + | >역자: 더 최신 업데이트로는 더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That1580, That1583와 같은 IC Op-amp들이 있습니다. |
- | 역자: 더 최신 업데이트로는 더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That1580, That1583와 같은 IC Op-amp들이 있습니다. | +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mic_preamps_what_you_need_to_know.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