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modern_mic_pream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정승환_컬럼:modern_mic_preamp [2025/04/14] – [결론] 정승환 | 정승환_컬럼:modern_mic_preamp [2025/05/07]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40.77.167.41 | ||
---|---|---|---|
줄 5: | 줄 5: | ||
예전의 마이크 프리앰프들은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했지만, | 예전의 마이크 프리앰프들은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했지만, | ||
- | 기존의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에 비해서 IC는 전기 규모가 많이 작아졌습니다.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고전력으로 증폭한 후 트랜스포머를 거쳐 출력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바로 노이즈 플로어를 낮추기 위한 부분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큰 전력으로 증폭하여 노이즈와 신호의 사이즈의 비율을 벌리고, 트랜스포머를 통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라인레벨인 +4dBu 로 출력하기 위함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내부에서 언밸런스로 처리되던 신호를 다시 밸런스 신호로 변경하는 것도 트랜스포머의 담당입니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케이스는 [[유저위키: | + | 기존의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에 비해서 IC는 전기 규모가 많이 작아졌습니다.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처럼 고전력으로 증폭한 후 트랜스포머를 거쳐 출력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바로 노이즈 플로어를 낮추기 위한 부분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큰 전력으로 증폭하여 노이즈와 신호의 사이즈의 비율을 벌리고, 트랜스포머를 통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라인레벨인 +4dBu 로 출력하기 위함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내부에서 언밸런스로 처리되던 신호를 다시 밸런스 신호로 변경하는 것도 트랜스포머의 담당입니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케이스는 [[instrument_wiki: |
- | 하지만, Op-amp는 이미 노이즈 플로어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큰 전력으로 증폭 후에 트랜스포머로 신호를 감압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트랜스포머 없이 바로 출력하면 됩니다. 따라서 Op-Amp IC를 이용한 설계에서 출력 트랜스포머를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밸런스 출력을 위해서 밸런스 전환 회로를 넣게 됩니다. 아. Op-Amp 에는 싱글형 입력과 차동형 입력의 구분이 있기도 합니다. 처음에 Op-Amp 들은 대부분 Single ended(싱글형) Op-Amp 였습니다. 언밸런스 신호를 받아서 언밸런스 출력을 하는 것을 Single ended라고 합니다. 이 때, 입력으로 들어오는 밸런스 입력을 언밸런스로 전환하기 위해서 입력 트랜스포머가 쓰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유저위키: | + | 하지만, Op-amp는 이미 노이즈 플로어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큰 전력으로 증폭 후에 트랜스포머로 신호를 감압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트랜스포머 없이 바로 출력하면 됩니다. 따라서 Op-Amp IC를 이용한 설계에서 출력 트랜스포머를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밸런스 출력을 위해서 밸런스 전환 회로를 넣게 됩니다. 아. Op-Amp 에는 싱글형 입력과 차동형 입력의 구분이 있기도 합니다. 처음에 Op-Amp 들은 대부분 Single ended(싱글형) Op-Amp 였습니다. 언밸런스 신호를 받아서 언밸런스 출력을 하는 것을 Single ended라고 합니다. 이 때, 입력으로 들어오는 밸런스 입력을 언밸런스로 전환하기 위해서 입력 트랜스포머가 쓰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instrument_wiki: |
그 후에 Differential(차동형) Op-Amp가 나왔습니다. 차동형 입력 Op-Amp는 입력 신호를 밸런스 신호를 직접 받아서 증폭에 활용하는 Op-Amp 방식입니다. 이러한 차동형 Op-Amp 는 아예 트랜스포머가 필요가 없습니다. | 그 후에 Differential(차동형) Op-Amp가 나왔습니다. 차동형 입력 Op-Amp는 입력 신호를 밸런스 신호를 직접 받아서 증폭에 활용하는 Op-Amp 방식입니다. 이러한 차동형 Op-Amp 는 아예 트랜스포머가 필요가 없습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modern_mic_prea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7 저자 40.77.16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