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2024/03/09] 정승환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2024/06/05] (현재) – [Tube 마이크] 정승환
줄 9: 줄 9:
 {{정승환_컬럼:20220711-160940.png}} {{정승환_컬럼:20220711-160940.png}}
  
-진공관 마이크의 경우에는 캡슐에서 받아들인 소리 신호의 증폭을 위해 따로 진공관을 사용하고, 진공관에 DC bias를 매우 높은 전압으로 걸어서 증폭한 후, 출력 트랜스포머를 통해 다시 마이크 레벨로 신호를 전압을 낮춰 출력합니다.((높은 전압을 진공관에 걸어야 하기 때문에 고출력 전원이 따로 필요하다. 그래서 진공관 마이크는 팬텀파워를 사용하지 않고 파워 서플라이가 따로 있다.))+진공관 마이크의 경우에는 캡슐에서 받아들인 소리 신호의 증폭을 위해 따로 진공관을 사용하고, 진공관에 플레이트 전압을 높게 걸어서 증폭한 후, 출력 트랜스포머를 통해 다시 마이크 레벨로 신호를 전압을 낮춰 출력합니다.((높은 전압을 진공관에 걸어야 하기 때문에 고출력 전원이 따로 필요하다. 그래서 진공관 마이크는 팬텀파워를 사용하지 않고 파워 서플라이가 따로 있다.))((U47 진공관 마이크의 경우 105V 정도의 플레이트 전압을 걸게 되는데 이로 인한 헤드룸은 40dBu 정도 된다. 높은 신호를 다시 트랜스포머로 감압하여 출력한다. 출력 전압은 25mV 정도 이다.))
  
 트랜스포머의 권선비, 즉 **입력 측 전압 : 출력 측 전압**의 비율이 높을 수록 트랜스포머의 역기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THD 는 적어지고, 고역대의 대역폭이 늘어나며,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트랜스포머의 권선비, 즉 **입력 측 전압 : 출력 측 전압**의 비율이 높을 수록 트랜스포머의 역기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THD 는 적어지고, 고역대의 대역폭이 늘어나며,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줄 31: 줄 31:
 <WRAP info>---[[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3/02/13 - 서명됨</WRAP> <WRAP info>---[[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3/02/13 - 서명됨</WRAP>
  
-{{tag>마이크로폰}}+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170994695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