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u87_계열_마이크_변천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u87_계열_마이크_변천사 [2024/06/21] – [U87] 정승환정승환_컬럼:u87_계열_마이크_변천사 [2025/05/08]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51.222.253.12
줄 3: 줄 3:
 {{:정승환_컬럼:20240612-162620.png?200}} {{:정승환_컬럼:20240612-162620.png?200}}
  
-U87 계열은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U47]] 마이크로 부터 시작되어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87ai|U87ai]] 까지 나와있습니다. 세부적인 변천 사항을 알아봅시다.+U87 계열은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47|U47]] 마이크로 부터 시작되어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87ai|U87ai]] 까지 나와있습니다. 세부적인 변천 사항을 알아봅시다. 
 + 
 +===== 주요 모델 일람 ===== 
 + 
 +^ 모델명  ^ 출시 연도 ^ 캡슐    ^ 회로/전원 방식      ^ 주요 특징 및 변화점 ^ 
 +| U47     | 1949      | M7, K47 | 진공관(VF14), 전용 PSU | 최초의 대형 다이어프램 컨덴서 마이크, 클래식 보컬 사운드 | 
 +| U67     | 1960      | K67     | 진공관(EF86), 전용 PSU | K67 캡슐 도입, 고음 특성 개선, 멀티패턴 지원 | 
 +| U77     | 1968      | K67     | 트랜지스터, 전용 PSU/배터리 | 진공관→트랜지스터 과도기 모델, 희귀 | 
 +| U87     | 1967      | K87     | FET, 48V 팬텀파워/6V 배터리 | K87 캡슐, 팬텀/배터리 겸용, 부드러운 고음, 따뜻한 중저음 | 
 +| U87ai   | 1986      | K67 (K870) | FET, 48V 팬텀파워(DC-DC 승압) | DC-DC 승압회로, 감도/노이즈 개선, 배터리 제거, 캡슐 변경 |
  
 =====U47===== =====U4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U47]]+[[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47|U4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cmv3|CMV3]] 마이크에서 쓰이던 M7 캡슐을 K47로 교체**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cmv3|CMV3]] 마이크에서 쓰이던 M7 캡슐을 K47로 교체** 
-  * 해외에는 Telefunken U47로 판매+  * Telefunken에서 독점 유통
   * M7/K47 캡슐 : **PVC** 재질의 다이어프램,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 고역대 반응이 좋지 않고, 내구성이 떨어짐, 오래된 빈티지 마이크의 경우 제대로 된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다.   * M7/K47 캡슐 : **PVC** 재질의 다이어프램,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 고역대 반응이 좋지 않고, 내구성이 떨어짐, 오래된 빈티지 마이크의 경우 제대로 된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다.
   * **VF14** 진공관 회로: Telefunken 진공관, 단종. 현재 생산 안됨. NOS(New old stock, 재고품)이 높은 가격에 거래   * **VF14** 진공관 회로: Telefunken 진공관, 단종. 현재 생산 안됨. NOS(New old stock, 재고품)이 높은 가격에 거래
 +
 +{{ :정승환_컬럼:20241011-104116.png?400 }}
 +
  
 =====U67===== =====U6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67|U67]]+[[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67|U67]]
  
 **Telefunken VF14 진공관 단종으로 인한 진공관 회로 변경, 캡슐 변경** **Telefunken VF14 진공관 단종으로 인한 진공관 회로 변경, 캡슐 변경**
-  * 해외에는 Telefunken U67로 판매+  * Telefunken 독점 유통
   * K67 캡슐 : K47의 다이어프램 재질을 Mylar(폴리에스테르)로 변경.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 내구성 좋아짐, 고역대 반응 개선   * K67 캡슐 : K47의 다이어프램 재질을 Mylar(폴리에스테르)로 변경.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 내구성 좋아짐, 고역대 반응 개선
   * EF86 진공관 회로, VF14 진공관의 단종으로 인하여 EF86 회로로 변경   * EF86 진공관 회로, VF14 진공관의 단종으로 인하여 EF86 회로로 변경
 +
 +{{ :정승환_컬럼:20241011-104406.png?400 }}
  
 =====U77===== =====U7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77|U77]]+[[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77|U77]]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로의 전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로의 전환**
   * K6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백플레이트 공유),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서로 영향을 주는 단점 존재   * K6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백플레이트 공유),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서로 영향을 주는 단점 존재
   * 캡슐 충전 전압 : 60V (T-power)   * 캡슐 충전 전압 : 60V (T-power)
-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U87과 같은 회로를 사용하지만, 팬텀파워를 사용하는 대신 T-power 를 사용+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 팬텀 파워가 아닌 T-power 를 사용 
 + 
 +{{ :정승환_컬럼:20241011-104533.png?400 }}
  
 =====U87===== =====U8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87|U87]],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87|U87i]]+[[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87|U87]],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87|U87i]]
  
-**더 진보된 캡슐 설계로 변경, 팬텀파워(48V)사용**+**더 진보된 캡슐 설계로 변경, 팬텀 파워(48V)사용**
   * K8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듀얼 백플레이트,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멀티 패턴에 대한 일관된 감도 유지 가능.   * K8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듀얼 백플레이트,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멀티 패턴에 대한 일관된 감도 유지 가능.
-  * 캡슐 충전 전압 : 48V, 듀얼 다이어프램, 듀얼 백플레이트 설계로 인해 48V 를 4가닥의 선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전류량 부족함을 보충을 위해 내장 배터리를 따로 더 사용한다.(({{: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40620-042930.png}})) 낮은 충전 전압으로 인하여 K67에 60V 전압 인가하는 제품보다 다소 높은 노이즈 플로어+  * 48V 팬텀파워 또는 6V 배터리로 동작 (팬텀파워가 없던 환경에 대응) 
 +  * 캡슐 충전 전압 : 48V, 듀얼 다이어프램, 듀얼 백플레이트 설계로 인해 48V 를 4가닥의 선으로 연결(({{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20240620-042930.png}}))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 :정승환_컬럼:20241011-104657.png?400 }}
  
 =====U87ai===== =====U87ai=====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87ai|U87ai]]+[[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87ai|U87ai]]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회로로 변경, 캡슐 다운그레이드** 
   * **K6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백플레이트 공유),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서로 영향을 주는 단점 존재   * **K67 캡슐** : 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 플레이트(백플레이트 공유),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서로 영향을 주는 단점 존재
   * 캡슐 충전 전압 : DC to DC 승압회로를 통한 60V(두 가닥)   * 캡슐 충전 전압 : DC to DC 승압회로를 통한 60V(두 가닥)
   * Neumann 자체 주장으로는 K67로 해도 크게 차이없다고 주장((대부분의 빈티지 U87 복각 마이크들은 K87 캡슐 카피를 사용한다.))   * Neumann 자체 주장으로는 K67로 해도 크게 차이없다고 주장((대부분의 빈티지 U87 복각 마이크들은 K87 캡슐 카피를 사용한다.))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 감도 및 신호대잡음비 개선, 배터리 구동 삭제
 +  * 캡슐 변경(K87→K67)으로 사운드 특성에 미묘한 변화가 있음
 +  * 일부 사용자들은 K87과 K67의 구조적 차이(백플레이트 절연 방식)에 따른 음향적 변화를 논의함
 +{{ :정승환_컬럼:20241011-104722.png?400 }}
  
 +{{tag>역사 마이크}}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u87_계열_마이크_변천사.171890086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2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