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컴퓨터:sound:sound_card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컴퓨터:sound:sound_card [2024/03/13] – [MIDI 음원 재생] 정승환컴퓨터:sound:sound_card [2025/05/07]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사운드 카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풍부한 오디오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풍부한 오디오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 **미디 배경음악 재생**: 사운드 카드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형식의 파일을 재생하여 음악을 제공합니다. MIDI는 악기 소리의 압축된 표현으로, 사운드 카드는 이를 해독하여 다양한 악기 소리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배경 음악을 즐길 수 있습니다. +  - **MIDI 배경음악 재생**: 사운드 카드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형식의 파일을 재생하여 음악을 제공합니다. MIDI는 악기 소리의 압축된 표현으로, 사운드 카드는 이를 해독하여 다양한 악기 소리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배경 음악을 즐길 수 있습니다. 
-  - **미디 인터페이스**: 사운드 카드는 MIDI 장치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MIDI 키보드, MIDI 컨트롤러 등과 연결하여 음악을 만들거나 편집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IDI 인터페이스**: 사운드 카드는 MIDI 장치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MIDI 키보드, MIDI 컨트롤러 등과 연결하여 음악을 만들거나 편집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간음향 시뮬레이션**: 사운드 카드는 입체음향 기술을 통해 공간음향 시뮬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이나 영화에서 적의 위치, 주변 환경 소리 등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이나 영화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공간음향 시뮬레이션**: 사운드 카드는 입체음향 기술을 통해 공간음향 시뮬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이나 영화에서 적의 위치, 주변 환경 소리 등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이나 영화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음성 효과 재생**: 사운드 카드는 PCM(Pulse Code Modulation)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을 제공합니다. 게임에서의 총소리, 특수 효과음 등을 재생하여 게임 플레이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 **음성 효과 재생**: 사운드 카드는 PCM(Pulse Code Modulation)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을 제공합니다. 게임에서의 총소리, 특수 효과음 등을 재생하여 게임 플레이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 **간단한 핀마이크 입력**: 사운드 카드는 마이크로폰을 연결하여 음성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유저들끼리 음성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핀마이크 입력**: 사운드 카드는 마이크로폰을 연결하여 음성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유저들끼리 음성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  - **간단한 스피커 출력**: 일부 사운드 카드는 간단한 파워앰프를 내장하여 작은 패시브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 **간단한 스피커 출력**: 일부 사운드 카드는 간단한 파워 앰프를 내장하여 작은 패시브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 **게임 컨트롤러 연결 지원 기능**: 과거의 사운드 카드는 게임 컨트롤러나 조이스틱을 연결하여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게임을 조작할 수 있었습니다.   - **게임 컨트롤러 연결 지원 기능**: 과거의 사운드 카드는 게임 컨트롤러나 조이스틱을 연결하여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게임을 조작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사운드 카드는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오디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사용자에게 뛰어난 오디오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사운드 카드는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오디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사용자에게 뛰어난 오디오 경험을 제공합니다.
  
-<WRAP centeralign box>{{ :컴퓨터:img_1331.gif |}}\\ +{{indexmenu>:instrument_wiki:사운드_카드:}}
-Soundblaster AWE32</WRAP>+
  
-{{ youtube>xo2_ksqxbiQ?large }}\\+<WRAP centeralign box>{{ :컴퓨터:img_1331.gif |}}\\ 
 +사운드블라스터 AWE32</WRAP>
  
-<WRAP info>사실 사운드 카드 시장은 주로 Creative 사의 SoundBlaster에 의해 주도 되었고, 타회사의 제품들은 “SoundBlaster 호환”을 내세우며 유사 제품을 내놓는 시장 위주였기 때문에 사운드 카드에 대해서는 SoundBlaster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하게 된다.</WRAP>+{{ youtube>xo2_ksqxbiQ?full }}\\
  
-{{indexmenu>:키:soundcard:#1}}+<WRAP info>사실 사운드 카드 시장은 주로 Creative 사의 사운드블라스터에 의해 주도 되었고, 타회사의 제품들은 “사운드블라스터 호환”을 내세우며 사 제품을 내놓는 시장 주였기 때문에 사운드 카드에 대해서는 사운드블라스터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하게 된다.</WRAP>
  
 =====MIDI 음원 재생===== =====MIDI 음원 재생=====
줄 27: 줄 27:
 사운드 카드에 음원 칩이 내장되어 있고 게임에서는 사운드 카드에 MIDI 신호를 전달하면 사운드 카드는 음원 칩을 통해 MIDI 음악을 재생했다. 사운드 카드에 음원 칩이 내장되어 있고 게임에서는 사운드 카드에 MIDI 신호를 전달하면 사운드 카드는 음원 칩을 통해 MIDI 음악을 재생했다.
  
-초창기 사운드 카드는 FM 음원 칩을 많이 사용했다.((SID 칩, 코모도어 64 에서 사용. MOS Technology 6581/8580이나 야마하 FM 음원 칩, YM2151, YM3812, OPL)) 나중에는 사운드폰트((E-MU의 기술))와 같은 웨이브테이블 기술로 유사 GM 음원을 사용하였다.+초창기 사운드 카드는 FM 음원 칩을 많이 사용했다.((SID 칩, 코모도어 64 에서 사용. MOS Technology 6581/8580이나 Yamaha FM 음원 칩, YM2151, YM3812, OPL)) 나중에는 사운드폰트((E-MU의 기술))와 같은 웨이브테이블 기술로 유사 GM 음원을 사용하였다.
  
-윈도우 98부터는 게임용 그래픽/사운드 API인 directX에 Roland사에서 라이선스를 얻은 [[악기:midi:ms_gs_synth|Microsoft GS Wavetable Synthesizer]]가 탑재되어 사운드 카드에 음원 칩이 없어도 GM 음원을 재생할 수 있었다. 이 때부터 사운드 카드들이 자체적인 음원 칩을 내장하지 않게 되었다.+윈도우 98부터는 게임용 그래픽/사운드 API인 directX에 Roland사에서 라이선스를 얻은 [[컴퓨터:sound:ms_gs_synth|Microsoft GS Wavetable Synthesizer]]가 탑재되어 사운드 카드에 음원 칩이 없어도 GM 음원을 재생할 수 있었다. 이 때부터 사운드 카드들이 자체적인 음원 칩을 내장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저장장치가 발전하고 게임도 발전함에 따라 지금은 MIDI를 통한 배경음악 대신 실제 PCM 음원으로 재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사운드 카드들은 대부분 MIDI 음원 칩을 내장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저장장치가 발전하고 게임도 발전함에 따라 지금은 MIDI를 통한 배경음악 대신 실제 PCM 음원으로 재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사운드 카드들은 대부분 MIDI 음원 칩을 내장하지 않게 되었다.
  
 =====MIDI 인터페이스===== =====MIDI 인터페이스=====
-음원 칩이 내장되었던 사운드 카드라도 외장 MIDI 모듈을 따로 사용하면 더 좋은 MIDI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급 사운드 카드들은 간단한 MIDI 인터페이스를 내장하기도 하였다. 사운드 블라스터의 경우 MPU-401 호환 미디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 있었다. 여기에 Roland의 사운드캔버스와 같은 외장 MIDI 모듈을 연결하면 내장된 음원 칩보다 훨씬 리얼한 GM MIDI 사운드를 들을 수 있었다.+음원 칩이 내장되었던 사운드 카드라도 외장 MIDI 모듈을 따로 사용하면 더 좋은 MIDI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급 사운드 카드들은 간단한 MIDI 인터페이스를 내장하기도 하였다. 사운드 블라스터의 경우 MPU-401 호환 MIDI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 있었다. 여기에 Roland의 사운드캔버스와 같은 외장 MIDI 모듈을 연결하면 내장된 음원 칩보다 훨씬 리얼한 GM MIDI 사운드를 들을 수 있었다.
  
-미디 인터페이스 기능 덕에 MIDI 사운드 모듈을 연결하여 MIDI 작곡에도 활용이 가능했다.+MIDI 인터페이스 기능 덕에 MIDI 모듈을 연결하여 MIDI 작곡에도 활용이 가능했다.
  
 =====간단한 음성 재생===== =====간단한 음성 재생=====
-과거에는 사운드 카드의 역할이 게임의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주 임무였기 때문에 오디오 입출력 기능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과거에는 사운드 카드의 역할이 게임의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주 임무였기 때문에 오디오 입력/출력 기능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Adlib 이나 CMS GameBlaster와 같은 FM 음원 칩만 내장된 사운드 카드가 사용되던 시절에는 Covox speech thing과 같은 오디오 효과음 재생 전용 장치를 따로 사용했다. Adlib 이나 CMS GameBlaster와 같은 FM 음원 칩만 내장된 사운드 카드가 사용되던 시절에는 Covox speech thing과 같은 오디오 효과음 재생 전용 장치를 따로 사용했다.
줄 45: 줄 45:
 그 이후의 사운드 카드는 간단한 음성 효과음이나 총, 폭탄 소리 등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기능을 내장하기 시작했다. 간단한 효과음 재생 용도였기 때문에 음질이 중요하지 않았다. 그래서, 주로 8비트나 12비트 DAC 정도로 내장되었다. 그 이후의 사운드 카드는 간단한 음성 효과음이나 총, 폭탄 소리 등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기능을 내장하기 시작했다. 간단한 효과음 재생 용도였기 때문에 음질이 중요하지 않았다. 그래서, 주로 8비트나 12비트 DAC 정도로 내장되었다.
  
-하지만, 게임 개발 분야가 발전하면서 MIDI 음원 재생보다는 점점 오디오 음원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였고 효과음 재생도 점점 많아짐에 따라 사운드 카드는 음원 칩을 버리고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강화하게 되었다.+하지만, 게임 개발 분야가 발전하면서 MIDI 음원 재생보다는 점점 오디오 음원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였고 효과음 재생도 점점 많아짐에 따라 사운드 카드는 음원 칩을 버리고 오디오 입력/출력 기능을 강화하게 되었다.
  
 음질이 좋아야 했기 때문에, 사운드 카드에 16비트 DAC를 내장하기 시작하였고, 컴퓨터 내장 CD 리더기와 컴퓨터 내부에서 간단한 케이블로 디지털로 연결하는 기능을 통해 CD도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P3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도 재생할 수 있게 되면서 컴퓨터를 미디어 재생기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음질이 좋아야 했기 때문에, 사운드 카드에 16비트 DAC를 내장하기 시작하였고, 컴퓨터 내장 CD 리더기와 컴퓨터 내부에서 간단한 케이블로 디지털로 연결하는 기능을 통해 CD도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P3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도 재생할 수 있게 되면서 컴퓨터를 미디어 재생기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sound:ac97|Intel AC'97]]과 [[컴퓨터:sound:hd_audio|Intel HD Audio]]가 등장하여 사운드 카드가 없어도 메인보드와 CPU만으로 오디오 입출력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운드 카드의 의미가 많이 사라지고 있다.+하지만 [[컴퓨터:sound:ac97|Intel AC'97]]과 [[컴퓨터:sound:hd_audio|Intel HD Audio]]가 등장하여 사운드 카드가 없어도 메인보드와 CPU만으로 오디오 입력/출력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운드 카드의 의미가 많이 사라지고 있다. 
 + 
 +=====CD 재생 인터페이스===== 
 + 
 +컴퓨터의 CD-ROM은 내부에 디지털로 사운드 카드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가지고 있었다. 이 커넥터를 사운드 카드에 연결하면 CD-ROM 으로 음악 CD 를 재생하여 사운드 카드의 오디오 출력으로 출력할 수 있었는데, 1990년대의 많은 게임들이 기존의 MIDI 음원으로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대신, 이런식으로 배경음악을 재생하기도 했다.((삼국지5, 삼국지 공명전, 퀘이크1, 디센트2, 프린세스 메이커3, 워크래프트2)) 
 + 
 +후에 컴퓨터의 CD-ROM이 메인보드에 IDE, SATA 등으로 직결하는 방식으로 바뀜에 따라, 사운드 카드의 이러한 기능 및 커넥터는 점차 필요 없어지게 되었다. 
  
 =====입체음향, 공간음향===== =====입체음향, 공간음향=====
줄 59: 줄 65: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 이러한 기능은 보통 directX의 directSound3D를 통해 구현되었는데, directSound3D는 외부의 DSP칩을 통해 이 기능을 하드웨어 가속함으로써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사운드 카드들도 directX와 호환되는 DSP 칩과 기능을 구현하여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면 CPU의 부담을 줄일 수있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 이러한 기능은 보통 directX의 directSound3D를 통해 구현되었는데, directSound3D는 외부의 DSP칩을 통해 이 기능을 하드웨어 가속함으로써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사운드 카드들도 directX와 호환되는 DSP 칩과 기능을 구현하여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면 CPU의 부담을 줄일 수있었다. 
  
-SoundBlaster의 경우 EAX라는 자체 입체음향 가속 기능을 내장했는데, directSound3D와 호환되었다. directSound3D를 지원하는 게임의 오브젝트 효과음을 EAX로 더 강화하여 재생했다.+사운드블라스터의 경우 EAX라는 자체 입체음향 가속 기능을 내장했는데, directSound3D와 호환되었다. directSound3D를 지원하는 게임의 오브젝트 효과음을 EAX로 더 강화하여 재생했다.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라운드 스피커 셋업에서 공간음향을 구현하는 기술은 대중화되지 못했다. 대다수의 PC 게이머들은 스테레오 PC 스피커를 사용했고 5.1이나 7.1 서라운드를 구성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라운드 스피커 레이아웃에서 공간음향을 구현하는 기술은 대중화되지 못했다. 대다수의 PC 게이머들은 스테레오 PC 스피커를 사용했고 5.1이나 7.1 서라운드를 구성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directX 10 부터 하드웨어 가속 기능은 제거되었고, 더 이상 사운드 카드를 통한 공간음향 하드웨어 가속은 불가능해졌다. 컴퓨터의 CPU가 발전함에 따라 하드웨어 가속없이 그냥 CPU에서 처리해도 무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directX 10 부터 하드웨어 가속 기능은 제거되었고, 더 이상 사운드 카드를 통한 공간음향 하드웨어 가속은 불가능해졌다. 컴퓨터의 CPU가 발전함에 따라 하드웨어 가속없이 그냥 CPU에서 처리해도 무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줄 81: 줄 87:
   - 목적: 사운드 카드는 주로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기본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주로 음악 제작 및 녹음 분야에서 사용되며, 전문적인 오디오 처리 및 고음질 출력을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목적: 사운드 카드는 주로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기본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주로 음악 제작 및 녹음 분야에서 사용되며, 전문적인 오디오 처리 및 고음질 출력을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성능: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보다 뛰어난 오디오 품질과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에 반해 사운드 카드는 주로 보다 일반적인 오디오 처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낮은 가격대의 제품이 많습니다.   - 성능: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보다 뛰어난 오디오 품질과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에 반해 사운드 카드는 주로 보다 일반적인 오디오 처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낮은 가격대의 제품이 많습니다.
-  - 입출력 포트: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문적인 입출력 포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오디오 및 MIDI 장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는 주로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공되는 포트의 종류와 수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입력/출력 포트: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문적인 입력/출력 포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오디오 및 MIDI 장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는 주로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공되는 포트의 종류와 수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지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문적인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DAW)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음악 작업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ASIO)와 함께 사용됩니다. 반면에 사운드 카드는 주로 일반적인 컴퓨터 용도를 위한 드라이버(WDM, WASAPI, directX)와 함께 제공됩니다.   - 소프트웨어 지원: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문적인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DAW)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음악 작업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ASIO)와 함께 사용됩니다. 반면에 사운드 카드는 주로 일반적인 컴퓨터 용도를 위한 드라이버(WDM, WASAPI, directX)와 함께 제공됩니다.
 +
 +{{tag>사운드}}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컴퓨터/sound/sound_card.17103277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