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coustics:phantom_imag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coustics:phantom_image [2023/07/13] – ↷ 문서 이름이 acoustics:stereo_image에서 acoustics:phantom_image(으)로 바뀌었습니다 정승환acoustics:phantom_image [2024/05/27]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211.215.234.64
줄 1: 줄 1:
 ======팬텀 이미지====== ======팬텀 이미지======
  
-**Phantom image, Stereo image((스테레오 스피커 셋업)),팬텀 이미지, 스테레오 이미지**+**Phantom image, Stereo image((스테레오 스피커 레이아웃)), Phantom center, 팬텀 이미지, 스테레오 이미지, 팬텀 센터**
  
 {{ :acoustics:20230414-045439.png }} {{ :acoustics:20230414-045439.png }}
줄 10: 줄 10:
 스테레오 이미지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차이를 이용하여 형성됩니다. 스테레오 이미지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차이를 이용하여 형성됩니다.
  
-  * 레벨 차이(Interaural Level Difference): 좌우 스피커의 소리 레벨이 다를 경우,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  * 레벨 차이(**ILD**, Interaural Level Difference): 좌우 스피커의 소리 레벨이 다를 경우,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  * 시간 차이(Interaural Time Difference): 소리가 좌우 스피커 간에 도달하는 시간 차이가 있을 경우, 방향 감지를 통해 좌우 위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시간 차이(**ITD**, Interaural Time Difference): 소리가 좌우 스피커 간에 도달하는 시간 차이가 있을 경우, 방향 감지를 통해 좌우 위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리의 스테레오 이미지가 생성되는 원리는 시각적 스테레오 이미지의 생성 원리와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아래의 두개의 그림을 겹쳐서 보게 되면 시각적 정위감이 생성된다. 이러한 소리의 스테레오 이미지가 생성되는 원리는 시각적 스테레오 이미지의 생성 원리와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아래의 두개의 그림을 겹쳐서 보게 되면 시각적 정위감이 생성된다.
  
-{{:음향:sound_field:20230617-225311.png}}+{{음향:audio_format:20230617-225311.png}} 
 =====정위감===== =====정위감=====
 +{{page>acoustics:localization&noheader}}
  
-**Localization** +======Reference======
- +
-스테레오 이미지 상에서 소리의 앞뒤 좌우 위치가 구분되게 들리는 느낌 +
- +
-스테레오 이미지가 정확하게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일관되게 생성되는 경우에 정위감이 매우 좋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스테레오 이미지는 각각의 스피커의 지향각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별 지향각 특성이 고르지 못한 경우 정위감이 다소 떨어지게 느껴질 수 있다. 지향각이 넓고 고른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팬텀 이미지는 매우 좋은 정위감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 +
- +
-특히 재생하는 음원에 포함된 잔향이 좋은 정위감을 가지고 재현되면((스튜디오 믹싱 작업에서는 리버브를 이용하여 소리의 앞뒤 배치를 하는 것에 사용하기 때문)), 뛰어난 정위감의 표현은 뛰어난 공간감의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
- +
-{{ :acoustics:20230525-131358.png }}+
  
-주파수의 특성상 고주파수로 갈수록 지향각이 좁아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스피커 제조사들은 반대로 고음역대로 갈수록 지향각을 넓게 표현할 수 있도록, 더 작은 트위터 스피커 유닛(점음원일 수록 지향각이 넓어진다.), 웨이브 가이드 설계, 리본 트위터 등을 이용하여 고음역대로 올라갈 수록 좁아지는 지향각을 보상하여 지향각을 넓게 표현하고자 노력한다.+https://en.wikipedia.org/wiki/Phantom_center
  
-{{ youtube>dNdhDCv4mzc?large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acoustics/phantom_image.168922426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7/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