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s:room_acoustics:acoustic_treatmen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coustics:room_acoustics:acoustic_treatment [2024/02/16] – [베이스 트랩] 정승환 | acoustics:room_acoustics:acoustic_treatment [2025/03/17] (현재) – 정승환 | ||
---|---|---|---|
줄 6: | 줄 6: | ||
공간에 적합한 스피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두 가지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공간에 적합한 스피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두 가지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
* 크리티컬 디스턴스 | * 크리티컬 디스턴스 | ||
- | * 청취거리 | + | * 청취 거리 |
그 다음으로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이다. | 그 다음으로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이다. | ||
줄 16: | 줄 16: | ||
* 명료도 | * 명료도 | ||
- | 디퓨저는 소리의 반사를 난반사로 만들어주며 베이스 트랩은 지정된 저음역대의 주파수를 흡음 하여 정재파를 억제할 수 있다. 1차 스탠딩 웨이브가 감소 한다면 2차, 3차 스탠딩 웨이브도 연속적으로 감쇄 될 수 있다. | + | 디퓨저는 소리의 반사를 난반사로 만들어주며 베이스 트랩은 지정된 저음역대의 주파수를 흡음 하여 정재파를 억제할 수 있다. 1차 스탠딩 웨이브가 감소 한다면 2차, 3차 스탠딩 웨이브도 연속적으로 감쇠될 수 있다. |
- | {{ youtube> | + | {{ youtube> |
마지막으로, | 마지막으로, | ||
- | -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를 통해 RT60, 디케이, 과도한 반사음에 의한 명료도 하강 등을 개선한다. RT60을 개선함으로써 공간의 크리티컬 디스턴스를 확장할 수 있다. | + | -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를 통해 RT60, 감쇠, 과도한 반사음에 의한 명료도 하강 등을 개선한다. RT60을 개선함으로써 공간의 크리티컬 디스턴스를 확장할 수 있다. |
- | - 스피커 보정 소프트웨어나 DSP 를 통해 룸모드에 의해 변경 된 주파수 반응을 보정한다. | + | - 스피커 보정 소프트웨어나 DSP 를 통해 룸 모드에 의해 변경 된 주파수 반응을 보정한다. |
주파수 반응 보정은 보통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사용하여 보정하거나, | 주파수 반응 보정은 보통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사용하여 보정하거나, | ||
- | [{{ : | + | <WRAP box> |
+ | {{ : | ||
+ | ADI-2, Room EQ | ||
+ | </ | ||
- | [{{ : | + | <WRAP box> |
+ | {{ : | ||
+ | Genelec GLM | ||
+ | </ | ||
줄 40: | 줄 46: | ||
즉 스피커가 큰 소리를 내면 낼 수록, 스피커의 도달 거리가 길수록 어커스틱 트리트먼트의 규모도 비례하여 같이 커진다는 뜻이다. | 즉 스피커가 큰 소리를 내면 낼 수록, 스피커의 도달 거리가 길수록 어커스틱 트리트먼트의 규모도 비례하여 같이 커진다는 뜻이다. | ||
- | {{ : | + | 청취 환경에서의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는 룸 모드 제어 및 확산, 반사 제어가 차음보다 우선한다. 베이스 트랩 및 흡음재와 디퓨저 사용을 위주로 구성하게 된다. |
+ | |||
+ | <WRAP box> | ||
+ | {{ : | ||
+ | 천정에 설치된 디퓨저와 베이스 트랩 | ||
+ | </ | ||
줄 51: | 줄 62: | ||
보컬의 경우에는 큰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를 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만약 녹음하는 공간이 협소한데, | 보컬의 경우에는 큰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를 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만약 녹음하는 공간이 협소한데, | ||
- | 하지만 스피커와 청취거리가 보통 1m ~ 거리에서 듣는 것에 비해 마이크와 음원 소스의 거리는 20cm ~ 이기 때문에 룸 어커스틱의 규모도 녹음 환경의 룸 어커스틱이 청취 환경의 룸 어커스틱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줄어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 + | 하지만 스피커와 청취 거리가 보통 1m ~ 거리에서 듣는 것에 비해 마이크와 음원 소스의 거리는 20cm ~ 이기 때문에 룸 어커스틱의 규모도 녹음 환경의 룸 어커스틱이 청취 환경의 룸 어커스틱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줄어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
+ | |||
+ | 녹음 환경의 룸 어커스틱 트리트먼트는 공진, 흡음이나 반사 제어보다는 차음이 훨씬 더 중요하기도 하다. | ||
줄 100: | 줄 113: | ||
베이스 트랩은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제작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저음 주파수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해 밀집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구조적인 변화를 가진 패널을 사용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소재로는 바이널 패브릭, 펠트, 페인팅 타일, 기타 흡음재가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저음 주파수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반사를 감소시키고, | 베이스 트랩은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제작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저음 주파수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해 밀집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구조적인 변화를 가진 패널을 사용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소재로는 바이널 패브릭, 펠트, 페인팅 타일, 기타 흡음재가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저음 주파수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반사를 감소시키고, | ||
- | 베이스 트랩은 음향 환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음향 재생의 정확성과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음악 스튜디오, | + | 베이스 트랩은 음향 환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음향 재생의 정확성과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음악 스튜디오, |
====디퓨저==== | ====디퓨저==== | ||
줄 109: | 줄 122: | ||
디퓨저는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제작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디퓨저 형태는 표면에 돌출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 패널입니다. | 디퓨저는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제작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디퓨저 형태는 표면에 돌출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 패널입니다. | ||
- | 디퓨저는 주로 음향 환경에서 반사된 소리의 강도를 완화하고 음향 재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디퓨저를 사용하면 반사된 소리의 강도가 일정하게 분산되어 공간의 음향 특성이 개선되며, | + | 디퓨저는 주로 음향 환경에서 반사된 소리의 강도를 완화하고 음향 재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디퓨저를 사용하면 반사된 소리의 강도가 일정하게 분산되어 공간의 음향 특성이 개선되며, |
디퓨저는 음향 반사 패턴과 공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디퓨저 디자인은 반사된 소리를 분산시키기 위해 계산된 형태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퓨저는 소리의 분산 특성을 최적화하여 좋은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디퓨저는 음향 반사 패턴과 공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디퓨저 디자인은 반사된 소리를 분산시키기 위해 계산된 형태와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퓨저는 소리의 분산 특성을 최적화하여 좋은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줄 126: | 줄 139: | ||
{{: | {{: | ||
+ | |||
+ | {{tag>"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acoustics/room_acoustics/acoustic_treatment.170808227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6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