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instrument_wiki:믹싱_콘솔:ssl_4000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instrument_wiki:믹싱_콘솔:ssl_4000g [2025/05/07] – ↷ 문서가 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에서 instrument_wiki:믹싱_콘솔:ssl_4000g(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instrument_wiki:믹싱_콘솔:ssl_4000g [2025/05/08]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
줄 7: 줄 7:
 전체적으로 플레이백 재생을 위한 스몰 페이더, 녹음 및 인풋 모니터링에 사용하는 라지 페이더가 한 채널에 동시에 있는 인라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실제 신호를 서브 그룹 채널로 서밍하는 SUB Group과 페이더만 그룹으로 조정하는 VCA 그룹 페이더가 동시에 있는 매우 현대적인 콘솔 구조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플레이백 재생을 위한 스몰 페이더, 녹음 및 인풋 모니터링에 사용하는 라지 페이더가 한 채널에 동시에 있는 인라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실제 신호를 서브 그룹 채널로 서밍하는 SUB Group과 페이더만 그룹으로 조정하는 VCA 그룹 페이더가 동시에 있는 매우 현대적인 콘솔 구조로 되어 있다.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04217.png?400}}+{{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04217.png?400}}
  
 =====SL611G input module===== =====SL611G input module=====
줄 16: 줄 16:
  
 **프리앰프 섹션** **프리앰프 섹션**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2856.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2856.png}}</WRAP>
   * LINE : 라인 입력에 대한 트림   * LINE : 라인 입력에 대한 트림
   * MIC : 마이크 입력에 대한 게인   * MIC : 마이크 입력에 대한 게인
줄 41: 줄 41:
  
 **이퀄라이저/필터 섹션** **이퀄라이저/필터 섹션**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443.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443.png}}</WRAP>
   * CH : 필터를 채널에 적용한다. EQ -> 필터   * CH : 필터를 채널에 적용한다. EQ -> 필터
   * FLT DYN SC : 필터가 다이내믹 섹션의 사이드 체인 필터로 동작하게 된다.   * FLT DYN SC : 필터가 다이내믹 섹션의 사이드 체인 필터로 동작하게 된다.
줄 60: 줄 60:
 ====CUE and AUX send==== ====CUE and AUX send====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606.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606.png}}</WRAP>
 SSL 4000의 AUX 센드는 1개의 스테레오 센드인 CUE와 4개의 모노 센드인 AUX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CUE는 연주자에게 CUE 믹스를 줄 때 사용하고 AUX 센드는 리버브 등의 센드 이펙터에 입력 시킬 때 사용한다. SSL 4000의 AUX 센드는 1개의 스테레오 센드인 CUE와 4개의 모노 센드인 AUX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CUE는 연주자에게 CUE 믹스를 줄 때 사용하고 AUX 센드는 리버브 등의 센드 이펙터에 입력 시킬 때 사용한다.
 ---- ----
줄 66: 줄 66:
 ====Group Out section==== ====Group Out section====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637.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637.png|}}</WRAP>
   * Trim : 해당 채널을 SUB GP를 통해 서브 그룹 채널로 사용 시에 SUB GP으로 서밍되는 입력을 트림 한다.    * Trim : 해당 채널을 SUB GP를 통해 서브 그룹 채널로 사용 시에 SUB GP으로 서밍되는 입력을 트림 한다. 
   * Direct : 만약 이 버튼을 누르면 Group Routing Matrix 에서 지정한 출력이 이쪽 그룹 채널로 서밍되지 않고, 바로 멀티 트랙 레코더로 나가게 된다. SUB GP를 통한 서브 그룹 서밍 기능이 해제된다.   * Direct : 만약 이 버튼을 누르면 Group Routing Matrix 에서 지정한 출력이 이쪽 그룹 채널로 서밍되지 않고, 바로 멀티 트랙 레코더로 나가게 된다. SUB GP를 통한 서브 그룹 서밍 기능이 해제된다.
줄 76: 줄 76:
 ====Routing Matrix==== ====Routing Matrix====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708.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708.png}}</WRAP>
  
   * 1 ~ 32 : 해당 채널을 다른 채널의 SUB GP 입력으로 보낼 수 있다. 서브 그룹(SUB GP)으로 선택된 채널에서는 스몰 페이더 섹션의 Ready Group로, 라지 페이더 섹션의 SUB GP를 통해 사용된다.   * 1 ~ 32 : 해당 채널을 다른 채널의 SUB GP 입력으로 보낼 수 있다. 서브 그룹(SUB GP)으로 선택된 채널에서는 스몰 페이더 섹션의 Ready Group로, 라지 페이더 섹션의 SUB GP를 통해 사용된다.
줄 88: 줄 88:
 스몰 페이더는 주로 해당 채널에 연결된 멀티 트랙 레코더를 위해 사용한다. 스몰 페이더는 주로 해당 채널에 연결된 멀티 트랙 레코더를 위해 사용한다.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739.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739.png}}</WRAP>
   * Ready group : 서브 그룹 입력을 모니터한다.   * Ready group : 서브 그룹 입력을 모니터한다.
   * Ready tape : 멀티 트랙 레코더를 모니터한다.   * Ready tape : 멀티 트랙 레코더를 모니터한다.
줄 95: 줄 95:
   * Output : 채널의 아웃풋을 모니터링한다.   * Output : 채널의 아웃풋을 모니터링한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090716.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090716.png?400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3521.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3521.png?400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3535.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3535.png?400 }}\\
  
 ---- ----
줄 108: 줄 108:
 ====Large (VCA) fader==== ====Large (VCA) fader====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829.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829.png}}</WRAP>
 라지 페이더는 주로 인풋 모니터링 과 녹음에 사용한다. Large 페이더는 VCA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로 오토메이션에 활용한다.  라지 페이더는 주로 인풋 모니터링 과 녹음에 사용한다. Large 페이더는 VCA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로 오토메이션에 활용한다. 
  
 각각의 페이더는 1번~8번까지의 숫자를 지정이 가능하고, 같은 숫자로 지정된 페이더들은 같은 숫자로 지정된 VCA 그룹 페이더를 통해 원격 조정 될 수 있다. 각각의 페이더는 1번~8번까지의 숫자를 지정이 가능하고, 같은 숫자로 지정된 페이더들은 같은 숫자로 지정된 VCA 그룹 페이더를 통해 원격 조정 될 수 있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3715.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3715.png?400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3723.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3723.png?400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090820.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090820.png }}\\
  
 ---- ----
줄 130: 줄 130:
 ====Input section==== ====Input section====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4944.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4944.png}}</WRAP>
   * Gain : 입력에 대한 게인, ±20dB, 5dB 간격 스텝 노브   * Gain : 입력에 대한 게인, ±20dB, 5dB 간격 스텝 노브
   * Trim : 입력에 대한 트림 ±5dB 미세 조정   * Trim : 입력에 대한 트림 ±5dB 미세 조정
줄 144: 줄 144:
 ====Routing Matrix==== ====Routing Matrix====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012.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012.png}}</WRAP>
   * 1 ~ 32 : 선택한 채널의 SUB GP로 신호를 Assign 한다.   * 1 ~ 32 : 선택한 채널의 SUB GP로 신호를 Assign 한다.
   * A : LF/RF로 신호를 보낸다.   * A : LF/RF로 신호를 보낸다.
줄 153: 줄 153:
 ====Dynamic Section==== ====Dynamic Section====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027.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027.png}}</WRAP>
   * GATE : Expander/Gate 전환   * GATE : Expander/Gate 전환
  
줄 165: 줄 165:
 ====Stereo Equalizer and filter Section==== ====Stereo Equalizer and filter Section====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115.png}}+{{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115.png}}
  
 ====CUE and AUX 센드=== ====CUE and AUX 센드===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138.png}}+{{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138.png}}
  
 ====Remote Facilities==== ====Remote Facilities====
  
 모노 채널에는 이 위치에 스몰 페이더가 있지만 스테레오 채널에는 스몰 페이더 대신 Remote/Image가 위치 하고 있다. 해당 채널에 연결된 멀티 트랙 레코더나 여러가지 장비를 리모트 컨트롤 하고, 해당 채널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 등을 컨트롤 한다. 모노 채널에는 이 위치에 스몰 페이더가 있지만 스테레오 채널에는 스몰 페이더 대신 Remote/Image가 위치 하고 있다. 해당 채널에 연결된 멀티 트랙 레코더나 여러가지 장비를 리모트 컨트롤 하고, 해당 채널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 등을 컨트롤 한다.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000531.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000531.png}}</WRAP>
   * Meter : 미터 컨트롤   * Meter : 미터 컨트롤
   * Start : 멀티 트랙 레코더에 Start 신호를 보낸다.   * Start : 멀티 트랙 레코더에 Start 신호를 보낸다.
줄 185: 줄 185:
 =====Sub Grouping===== =====Sub Grouping=====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749.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749.png }}
  
 =====SL651G Master facilities===== =====SL651G Master facilities=====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419.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419.png }}
  
 ====Talkback level control==== ====Talkback level control====
줄 195: 줄 195:
 토크 마이크의 소리를 각기 출력으로 보내는 레벨을 컨트롤 한다. 토크 마이크의 소리를 각기 출력으로 보내는 레벨을 컨트롤 한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453.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453.png }}
  
 ====Stereo Echo Returns==== ====Stereo Echo Returns====
줄 201: 줄 201:
 각 채널의 CUE 및 AUX send 에 대한 Return 을 조정 할 수 있다. 단 스테레오 채널로 이펙터를 리턴한 경우에는 해당 스테레오 채널이 리턴 채널로 작동하고, 이 섹션은 사용되지 않는다. 각 채널의 CUE 및 AUX send 에 대한 Return 을 조정 할 수 있다. 단 스테레오 채널로 이펙터를 리턴한 경우에는 해당 스테레오 채널이 리턴 채널로 작동하고, 이 섹션은 사용되지 않는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515.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515.png }}
  
 ====Control Room and Monitoring System==== ====Control Room and Monitoring System====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60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601.png }}
  
 ====Monitor Cuts and trim==== ====Monitor Cuts and trim====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62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621.png }}
  
 ====Quad Compressor==== ====Quad Compressor====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656.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656.png }}
  
 ====Status Button==== ====Status Button====
줄 219: 줄 219:
 SSL 4000 콘솔은 Status 설정에 따라 Large fader와 Small fader의 역할이 상황에 맞게 변한다. ((근데 어려워서 보통 스튜디오에서는 믹스 로 고정해 놓고 쓰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믹스 모드에서는 라지 페이더는 인풋 모니터링&녹음, 스몰페이더는 재생&믹스에 사용하면 된다.)) 핵심은, Group Routing Matrix 가 어느 페이더 출력을 통해 적용되는 지가 중요하다. SSL 4000 콘솔은 Status 설정에 따라 Large fader와 Small fader의 역할이 상황에 맞게 변한다. ((근데 어려워서 보통 스튜디오에서는 믹스 로 고정해 놓고 쓰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믹스 모드에서는 라지 페이더는 인풋 모니터링&녹음, 스몰페이더는 재생&믹스에 사용하면 된다.)) 핵심은, Group Routing Matrix 가 어느 페이더 출력을 통해 적용되는 지가 중요하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714.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714.png }}
  
 ===Record Status=== ===Record Status===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1716.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1716.png }}
  
 라지 페이더 : 인풋 모니터링 (MIC) -> 그룹 라우팅 -> 멀티 트랙 레코더 -> 쿼드 버스 아웃 라지 페이더 : 인풋 모니터링 (MIC) -> 그룹 라우팅 -> 멀티 트랙 레코더 -> 쿼드 버스 아웃
줄 232: 줄 232:
 VCA to Monitor : 라지 페이더와 스몰 페이더가 서로 기능을 바꾼다 VCA to Monitor : 라지 페이더와 스몰 페이더가 서로 기능을 바꾼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1845.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1845.png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1834.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1834.png }}
  
 ===Replay=== ===Replay===
줄 240: 줄 240:
 스몰 페이더 : 멀티 트랙 레코더 모니터랑(Ready Tape) -> 스몰 페이더 -> 그룹 라우팅 -> 쿼드 버스 아웃 스몰 페이더 : 멀티 트랙 레코더 모니터랑(Ready Tape) -> 스몰 페이더 -> 그룹 라우팅 -> 쿼드 버스 아웃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20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201.png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21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211.png |}}
  
 ===MIX=== ===MIX===
줄 248: 줄 248:
 스몰 페이더 : 멀티 트랙 레코더 모니터링 (Ready Tape) -> 스몰 페이더 -> 그룹 라우팅 -> 쿼드 버스 아웃  스몰 페이더 : 멀티 트랙 레코더 모니터링 (Ready Tape) -> 스몰 페이더 -> 그룹 라우팅 -> 쿼드 버스 아웃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426.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426.png }}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527.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527.png }}
  
 ====VCA trim, Auto fade, AFL==== ====VCA trim, Auto fade, AFL====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74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741.png }}
  
 ====Plasma Bar graph control==== ====Plasma Bar graph control====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807.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807.png }}
  
 ====Meters, Communications==== ====Meters, Communications====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4-235846.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4-235846.png }}
  
 ====Local AUX 센드==== ====Local AUX 센드====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00015.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00015.png }}
  
  
줄 272: 줄 272:
 =====Small fader를 Effect 센드로 사용하기===== =====Small fader를 Effect 센드로 사용하기=====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2837.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2837.png }}
  
  
줄 289: 줄 289:
 =====VCA group Fader===== =====VCA group Fader=====
  
-<WRAP right column 25%>{{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00032.png}}</WRAP>+<WRAP right column 25%>{{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00032.png}}</WRAP>
 SSL 콘솔의 모든 VCA 채널 페이더와 VCA 그룹 페이더는 1~8번 까지의 숫자를 지정할 수 있다. SSL 콘솔의 모든 VCA 채널 페이더와 VCA 그룹 페이더는 1~8번 까지의 숫자를 지정할 수 있다.
  
 VCA 페이더에서 숫자를 지정하면, 해당 숫자로 지정된 모든 VCA 채널 페이더를 VCA 그룹 페이더로 한번에 조절 할 수 있다. VCA 페이더에서 숫자를 지정하면, 해당 숫자로 지정된 모든 VCA 채널 페이더를 VCA 그룹 페이더로 한번에 조절 할 수 있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010738.png?400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010738.png?400 }}\\
  
 ---- ----
줄 303: 줄 303:
 =====다이내믹, 이퀄라이저, 필터 Routing===== =====다이내믹, 이퀄라이저, 필터 Routing=====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94609.png?300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94609.png?300 |}}\\
  
   * SPLIT : 필터를 프리앰프 바로 뒤로 보낸다.   * SPLIT : 필터를 프리앰프 바로 뒤로 보낸다.
줄 314: 줄 314:
 ====이퀄라이저/필터 섹션==== ====이퀄라이저/필터 섹션====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0804.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0804.png |}}\\
  
 믹스 채널에 이퀄라이저와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믹스 채널에 이퀄라이저와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0829.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0829.png |}}\\
  
 인풋 모니터링에 이퀄라이저와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인풋 모니터링에 이퀄라이저와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줄 324: 줄 324: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0924.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0924.png |}}\\
  
 이퀄라이저에서 필터를 분리하여 프리앰프 바로 다음에 필터를 적용합니다. 프리앰프 -> 필터 이퀄라이저에서 필터를 분리하여 프리앰프 바로 다음에 필터를 적용합니다. 프리앰프 -> 필터
줄 332: 줄 332:
 ====다이내믹 섹션==== ====다이내믹 섹션====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140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1401.png |}}\\
  
 채널에 다이내믹을 적용합니다 . 다이내믹 -> 이퀄라이저 -> 필터 채널에 다이내믹을 적용합니다 . 다이내믹 -> 이퀄라이저 -> 필터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1658.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1658.png |}}\\
  
 채널에 다이내믹을 뒤로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 다이내믹  채널에 다이내믹을 뒤로 적용합니다. 이퀄라이저 -> 필터 -> 다이내믹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2311.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2311.png |}}\\
  
 이퀄라이저에서 필터를 분리하여 프리앰프 바로 뒤로 위치시킵니다 . 프리앰프 -> 필터 -> 다이내믹 -> 이퀄라이저 이퀄라이저에서 필터를 분리하여 프리앰프 바로 뒤로 위치시킵니다 . 프리앰프 -> 필터 -> 다이내믹 -> 이퀄라이저
줄 349: 줄 349: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1230.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1230.png |}}\\
  
 인풋 모니터링에 다이내믹 섹션을 적용합니다. 인풋 모니터링에 다이내믹 섹션을 적용합니다.
줄 357: 줄 357: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2143.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2143.png |}}\\
  
 필터를 다이내믹 섹션의 사이드체인 필터로 사용합니다. 필터를 다이내믹 섹션의 사이드체인 필터로 사용합니다.
줄 365: 줄 365: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2458.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2458.png |}}\\
  
 사이드 체인 필터를 적용하 다이내믹 섹션을 인풋 모니터링에 적용합니다. 사이드 체인 필터를 적용하 다이내믹 섹션을 인풋 모니터링에 적용합니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82625.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82625.png |}}\\
  
 인풋 모니터링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이퀄라이저를 통해 다이내믹 섹션이 사이드 체인 키 인풋으로 동작합니다. 인풋 모니터링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이퀄라이저를 통해 다이내믹 섹션이 사이드 체인 키 인풋으로 동작합니다.
줄 379: 줄 379:
 기본적인 VU 미터 기본적인 VU 미터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125953.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125953.png }}
  
 ====PPM==== ====PPM====
줄 387: 줄 387:
 SSL 4000G 에는 BBC 타입의 Quasi PPM 미터가 라우드니스 표시 용으로 달려있다. SSL 4000G 에는 BBC 타입의 Quasi PPM 미터가 라우드니스 표시 용으로 달려있다.
  
-{{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6-130256.png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6-130256.png }}
  
 ====Plasma Bar Graph====  ====Plasma Bar Graph==== 
줄 393: 줄 393:
 Peak도 보여주면서, 미터의 움직임 자체는 VU 미터처럼 동작합니다.((플라즈마 바 그래프 미터는 SSL에서 부르는 제품 명칭이다. 일반적인 미터를 플라즈마 바 그래프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Peak도 보여주면서, 미터의 움직임 자체는 VU 미터처럼 동작합니다.((플라즈마 바 그래프 미터는 SSL에서 부르는 제품 명칭이다. 일반적인 미터를 플라즈마 바 그래프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104145.png}}+{{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104145.png}}
  
 =====Total Recall===== =====Total Recall=====
줄 401: 줄 401:
 리콜 Sheet를 자동화 하여 저장해주고 불러와주는 기능이지만, 자동으로 리콜을 해주는 것은 아니다. 리콜 Sheet를 자동화 하여 저장해주고 불러와주는 기능이지만, 자동으로 리콜을 해주는 것은 아니다.
  
-<WRAP box>{{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30207.png |SSL4000의 심플한 리콜 스냅샷}}\\+<WRAP box>{{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30207.png |SSL4000의 심플한 리콜 스냅샷}}\\
 SSL4000의 심플한 리콜 스냅샷</WRAP> SSL4000의 심플한 리콜 스냅샷</WRAP>
  
-<WRAP box>{{ :유저위키:믹싱_콘솔:20230215-030218.png |SSL Duality의 멋진 리콜 스냅샷}}\\+<WRAP box>{{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30215-030218.png |SSL Duality의 멋진 리콜 스냅샷}}\\
 SSL Duality의 멋진 리콜 스냅샷</WRAP> SSL Duality의 멋진 리콜 스냅샷</WRAP>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instrument_wiki/믹싱_콘솔/ssl_4000g.174661039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