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instrument_wiki:믹싱_콘솔:yamaha_promix_01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instrument_wiki:믹싱_콘솔:yamaha_promix_01 [2025/05/07]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instrument_wiki:믹싱_콘솔:yamaha_promix_01 [2025/05/08]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52.167.144.147
줄 1: 줄 1:
 +====== Yamaha ProMix 01 ======
 +
 +Yamaha ProMix 01은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기능으로 디지털 믹싱 콘솔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꾸고, 1995년 런던 APRS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Dominic Hawken은 영국에 처음 출시된 ProMix 01을 직접 사용해보고 그 성능을 평가했습니다.
 +
 +===== 주요 특징 =====
 +
 +   * **디지털 기술**: 20년 동안 디지털 기술은 레코딩 산업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쳐 스튜디오와 마스터링 작업 방식을 혁신했습니다. Fairlight나 Synclavier를 구입하기 위해 대출을 받던 시대는 지나갔고, 실리콘 가격이 하락하면서 샘플러와 디지털 이펙트 장치는 기본적인 레코딩 시스템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Alesis ADAT 및 DA88과 같은 저렴한 디지털 레코딩 장비도 여전히 장비 판매 차트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 **아날로그 믹싱의 한계**: 모든 스튜디오는 오디오 체인에서 가장 약한 연결 고리만큼 좋을 뿐입니다. 프로덕션 과정에서 레코딩 및 재생되는 모든 신호는 믹싱 콘솔을 통과해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아날로그로 돌아가게 됩니다. Neve 및 SSL과 같은 주요 업체들이 디지털 믹싱 기술을 주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 **Yamaha ProMix 01**: Yamaha의 새로운 콘솔 ProMix 01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디지털 믹싱 시스템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아날로그 입력이 여전히 사용되지만, 새로운 데스크는 각 채널에 고사양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제공하며, 이후 레벨, 패닝, 이퀄라이제이션 및 마스터 출력을 포함한 모든 오디오 처리가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론적으로 결과적인 사운드 품질은 잡음이 없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아날로그 콘솔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입력 채널을 음소거한 상태에서 스테레오 페이더를 올릴 때 발생하는 노이즈 증가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습니다.
 +   * **간단한 조작**: ProMix 01은 비교적 작은 패키지로 제공되지만, 그 안에는 강력한 기능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16개의 모노 입력 채널, 각 채널별 마스터 페이더, 이펙트 센드, 이퀄라이제이션, 1개의 스테레오 입력 페이더, 1개의 센드/리턴 페이더, 그리고 마스터 스테레오 출력 컨트롤이 있습니다. 각 채널에는 고레벨 신호 소스를 처리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20dB 감쇠하는 'pad' 스위치와 입력 레벨을 미세 조정하는 로터리 마스터 게인 컨트롤이 있습니다. 콘덴서 마이크에 48V 팬텀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되지만, 채널별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스위치가 처음 8개 입력 모두에 전압을 공급합니다.
 +
 +===== 외관 =====
 +
 +   *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은 240 x 64 도트 백라이트 LCD 디스플레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데스크의 현재 설정이나 개별 채널 설정을 보여줍니다. 디스플레이 왼쪽에 있는 키 스위치 그룹은 '기능 버튼' 역할을 하며, 전체 데스크 구성과 LCD에서 사용할 수 있는 뷰를 결정합니다. 각 개별 채널에는 편집할 채널을 지정하는 'select' 버튼과 마스터 페이더로 라우팅하는 'on' 스위치가 있습니다. 놀랍게도 'solo' 버튼이 없으므로, 개별 신호를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 다른 모든 채널을 끄고 편집 후 다시 켜야 합니다. 하지만 전면 패널의 'cue' 버튼을 사용하여 개별 신호 또는 신호 그룹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 **후면 패널**: 장치 후면에는 ProMix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데 필요한 모든 관련 연결 장치가 있습니다. 채널 1-8의 입력은 표준 XLR 소켓으로, 핀 2가 핫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채널 9-16에는 스테레오 밸런스드 잭 소켓이 있습니다. 2트랙 입력 모니터에는 포노 스타일 플러그가 제공되고, 데스크의 단일 스테레오 채널에는 언밸런스드 잭 소켓이 사용됩니다. 플러그가 '스테레오 인' 소켓에 삽입되지 않으면 2트랙 입력이 자동으로 메인 스테레오 입력 채널로 라우팅되어 최종 레코딩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신호에 EQ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팬텀 전원 스위치, 마스터 전원 스위치 및 주 전원 공급 장치(장치 후면에 직접 연결됨)가 후면에 있습니다. 스테레오 출력은 아날로그 신호용 XLR 및 포노 소켓, 디지털 신호용 단일 포노 소켓(대부분의 DAT 레코더 및 디지털 편집 시스템에 적합한 SP/DIF 형식)을 통해 제공됩니다. 스튜디오 증폭용 모니터 출력은 언밸런스드 잭 소켓을 통해 라우팅되며, 2개의 외부 Aux 센드도 잭 소켓에 있습니다 (데스크에는 2개의 내부 이펙트 센드가 있어 총 4개 제공).
 +
 +===== 내부 기능 =====
 +
 +   * **자동화**: ProMix는 완전 자동화된 오디오 시스템입니다. 채널 레벨부터 미드 부스트 EQ 주파수까지 거의 모든 파라미터에 MIDI 컨트롤 메시지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어, 적절한 시퀀서를 사용할 때 믹스의 모든 측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관련 박스 참조). 완전한 믹서 설정을 '스냅샷'으로 내부적으로 저장하여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불러올 수 있으며, 믹스를 적절한 MIDI 저장 장치에 '재생'하여 원하는 대로 다시 실행하거나 이동별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   * **모터 페이더**: ProMix에는 움직이는 페이더(MIDI 컨트롤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거나 다른 마스터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잠금 및 이동하는 모터 구동 레벨 컨트롤)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Yamaha는 여기에 더해 Aux 센드 1 및 2에서 구성된 2개의 내부 이펙트 프로세서를 추가하여 다양한 이펙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모두 조정할 수 있습니다.
 +   * **믹스 머신**: 데스크는 테이프 머신으로 신호를 라우팅하는 레코드 버스가 없는 '믹스 머신'이지만, 2개의 외부 이펙트 센드를 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널 켜기/끄기, 패드 스위치 및 마스터 게인 컨트롤 외에도 데스크의 다른 대부분의 기능은 별도의 기능 키와 데이터 휠을 사용하여 제어됩니다. ProMix는 한 번에 하나의 채널만 보는 원칙에 따라 작동하여, 가능한 모든 기능에 대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컨트롤이 있는 대형 콘솔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가능한 컨트롤 수를 줄입니다.
 +
 +===== 채널 =====
 +
 +각 채널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위상 반전 스위치가 있으며, 내장된 막대 그래프 미터에 표시되는 마스터 출력 레벨 이상으로 포괄적인 레벨 미터링 기능이 있습니다.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16개 입력 채널과 스테레오 입력 및 이펙트 센드/리턴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피크 홀드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모터 구동 페이더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 중 하나는 페이더를 '페어링'하거나 '그룹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로, 스테레오 신호가 두 개의 입력 채널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관련 페이더를 '페어링'할 수 있으므로, 어느 페이더를 움직이든 다른 페이더가 자동으로 같은 양만큼 움직입니다. 신호는 완벽한 스테레오 레벨로 잠겨 있으며, 두 채널을 모두 조정하기 위해 하나의 페이더만 움직이면 됩니다. Yamaha는 이 개념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모든 수의 페이더 그룹을 이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4개의 다른 그룹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그룹을 입력 페이더의 일부 또는 전체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단일 페이더를 움직이면 동일한 그룹 내의 다른 모든 페이더가 움직입니다.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은 그룹화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채널의 팬 설정을 조정하여 레벨 컨트롤을 손상시키지 않고 신호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스터 스테레오 출력 페이더에서도 팬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Auxiliaries And Effects =====
 +
 +믹스는 이펙트 장치의 도움 없이는 완성되지 않습니다. 리버브, 딜레이 및 코러스 이펙트를 적절히 사용하면 가장 지루한 마스터 테이프도 되살릴 수 있으며, ProMix는 이를 위해 4개의 개별 센드를 제공합니다. 그중 2개는 내부 이펙트 섹션으로 라우팅되고, 2개는 믹서 후면에 제공되어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2개의 외부 소켓은 단일 스테레오 피드 또는 2개의 개별 모노 센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3번과 4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습니다. 모든 이펙트 센드는 '프리 페이드' 또는 '포스트 페이드'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프리 페이드' 신호는 마스터 채널 페이더에 도달하기 전에 전송되므로, 채널 볼륨을 조정해도 이펙트 센드 레벨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포스트 페이드' 신호는 마스터 페이더 이후에 전송되므로, 이펙트 양은 믹스 내 신호 레벨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
 +내부 이펙트 섹션에는 30개의 사전 설정된 이펙트가 있으며, 사용자가 10개의 편집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빠르게 불러올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모든 기본 이펙트가 제공되며, 몇 가지 흥미로운 추가 기능도 제공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펙트 상자 참조).
 +
 +===== 사용 =====
 +
 +ProMix는 최종 출력 신호에 노이즈를 거의 추가하지 않는 훌륭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Emagic의 Notator Logic을 사용한 자동화는 간단하고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대형 화면 디스플레이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컴퓨터 기반 시퀀서 없이도 데스크 설정을 '씬'으로 내부적으로 저장하여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50개의 서로 다른 씬을 저장한 다음 전면 패널에서 또는 MIDI 프로그램 변경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다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 ProMix와 같이 채널을 선택하고 조정하는 방식에 기반한 데스크는 작동하기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가능한 모든 기능에 대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컨트롤이 있는 대형 콘솔을 대체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새로운 작업 방식에 적응하는 것이 놀라울 정도로 쉬웠고, 완전한 리콜 및 내장 이펙트의 장점이 단점보다 훨씬 컸습니다. 탁월한 Euphonix 콘솔 판매량이 증가하고 Tactile Technology의 새로운 데스크가 최근 출시되는 등 대형 콘솔에서 벗어나는 추세가 분명히 증가하고 있으며, 둘 다 단일 채널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
 +결론적으로 Yamaha ProMix 01은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훌륭한 디지털 믹서입니다.
 +
 +{{instrument_wiki:믹싱_콘솔:20250411-015957.p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