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arp:odysse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arp:odyssey [2025/05/07] – ↷ 문서가 유저위키:신디사이저:arp:odyssey에서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arp:odyssey(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arp:odyssey [2025/05/08]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52.167.144.217
줄 13: 줄 13:
 먼저,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된 Odyssey Mk I(Model 2800)이 있습니다. 이 모델들은 Oberheim SEM 모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사운드를 내는 2-Pole VCF 디자인(Model 4023)을 사용했습니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의 Odyssey는 흰색 패널에 검은 글씨로 디자인되었고,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디자인을 변경하여 검은색 패널에 금색 글씨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Mk I 모델은 피치 벤딩에 사용되는 회전형 노브로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인터페이스 잭이 없었지만, 공장에서 주문 시 인터페이스 잭을 추가하거나 회전형 노브 대신 PPC 피치 벤더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먼저,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된 Odyssey Mk I(Model 2800)이 있습니다. 이 모델들은 Oberheim SEM 모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사운드를 내는 2-Pole VCF 디자인(Model 4023)을 사용했습니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의 Odyssey는 흰색 패널에 검은 글씨로 디자인되었고,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디자인을 변경하여 검은색 패널에 금색 글씨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Mk I 모델은 피치 벤딩에 사용되는 회전형 노브로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인터페이스 잭이 없었지만, 공장에서 주문 시 인터페이스 잭을 추가하거나 회전형 노브 대신 PPC 피치 벤더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14.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14.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43.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43.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55.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55.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27.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27.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41.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41.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51.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151.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200.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200.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209.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209.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31.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031.jpeg}}
  
 =====Odyssey MkII (모델 2810-2815)===== =====Odyssey MkII (모델 2810-2815)=====
줄 37: 줄 37:
 Mk II 시리즈에서 가장 큰 변화는 필터에 있었습니다. 초기 2810 모델은 여전히 Mk I에서 사용된 Model 4023 2-pole 필터를 사용했지만, 곧 튼튼한 4-pole VCF인 Model 4035로 대체되었습니다. 이 필터는 Moog 필터와 매우 유사한 래더(Ladder)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Moog가 ARP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실제로 소송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ARP와 Moog는 친선적인 합의에 도달했고, ARP는 이전에 제조된 장치에 대해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했습니다. 이후 ARP는 모든 후속 Odyssey 모델에 사용된 새로운 4-pole 로우 패스 필터인 Model 4075를 설계했습니다. 그러나 이 Model 4075 필터는 낮은 주파수에서는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했지만, 높은 레조넌스나 자가 공명 상태에서는 약한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대역폭 한계 오류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4035 Moog 스타일의 래더 필터가 사용된 희귀한 검은색과 금색의 2810 Odyssey 모델이 더 가치가 높아졌으며, 중고 시장에서도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Mk II 시리즈에서 가장 큰 변화는 필터에 있었습니다. 초기 2810 모델은 여전히 Mk I에서 사용된 Model 4023 2-pole 필터를 사용했지만, 곧 튼튼한 4-pole VCF인 Model 4035로 대체되었습니다. 이 필터는 Moog 필터와 매우 유사한 래더(Ladder)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Moog가 ARP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실제로 소송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ARP와 Moog는 친선적인 합의에 도달했고, ARP는 이전에 제조된 장치에 대해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했습니다. 이후 ARP는 모든 후속 Odyssey 모델에 사용된 새로운 4-pole 로우 패스 필터인 Model 4075를 설계했습니다. 그러나 이 Model 4075 필터는 낮은 주파수에서는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했지만, 높은 레조넌스나 자가 공명 상태에서는 약한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대역폭 한계 오류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4035 Moog 스타일의 래더 필터가 사용된 희귀한 검은색과 금색의 2810 Odyssey 모델이 더 가치가 높아졌으며, 중고 시장에서도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417-015129.pn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417-015129.png}}
  
 =====Odyssey MkIII (Model 2820-2823)===== =====Odyssey MkIII (Model 2820-2823)=====
줄 45: 줄 45:
 오디세이는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다양한 아티스트들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대표적으로는 ABBA, Bomb The Bass, Ultravox, Gary Numan, LTJ Bukem, Air, Tangerine Dream, 808 State, Apollo 440, Nine Inch Nails, Astral Projection, Chick Corea, George Duke, Josef Zawinul, John Foxx, Vangelis, Elton John, Jethro Tull, Jimmy Edgar, DEVO, Sea Level, Boz Scaggs, The Starship, Kansas, Jean-Luc Ponty, Brand-X, Wigwam, R.E.M., 그리고 Herbie Hancock 등이 오디세이를 사용했습니다. 오디세이는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다양한 아티스트들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대표적으로는 ABBA, Bomb The Bass, Ultravox, Gary Numan, LTJ Bukem, Air, Tangerine Dream, 808 State, Apollo 440, Nine Inch Nails, Astral Projection, Chick Corea, George Duke, Josef Zawinul, John Foxx, Vangelis, Elton John, Jethro Tull, Jimmy Edgar, DEVO, Sea Level, Boz Scaggs, The Starship, Kansas, Jean-Luc Ponty, Brand-X, Wigwam, R.E.M., 그리고 Herbie Hancock 등이 오디세이를 사용했습니다.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319-185924.pn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319-185924.pn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319-190217.pn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0319-190217.pn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21.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21.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34.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34.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44.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44.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53.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353.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03.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03.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15.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15.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26.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26.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35.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35.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45.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45.jpeg}}
  
-{{:유저위키: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58.jpeg}}+{{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subtractive_synth:20241219-184458.jpeg}}
  
 {{ youtube>jQuAUZSlNaY?full }}\\ {{ youtube>jQuAUZSlNaY?full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arp/odyssey.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8 저자 52.167.14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