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ppg: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ppg:start [2025/05/07]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ppg:start [2025/05/07]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40.77.167.156 | ||
---|---|---|---|
줄 1: | 줄 1: | ||
+ | ======PPG====== | ||
+ | |||
+ | {{indexmenu> | ||
+ | ===== PPG 신디사이저의 역사 ===== | ||
+ | |||
+ | PPG(Palm Products GmbH)는 **독일의 전자 악기 제조사**로, | ||
+ | |||
+ | ==== 1. PPG의 설립과 초기 개발 (1970년대) ==== | ||
+ | * **1975년**: | ||
+ | - 초기에는 모듈식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와 전자 기기를 제작. | ||
+ | * **1976년**: | ||
+ | - PPG의 첫 번째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 ||
+ | - 기본적인 아날로그 설계로 당시 경쟁사 제품들과 유사한 구조. | ||
+ | * **1978년**: | ||
+ | - 디지털과 아날로그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 | ||
+ | - 당시로는 혁신적인 디지털 시퀀서 포함. | ||
+ | |||
+ | ==== 2. 웨이브테이블 합성의 탄생 (1980년대 초반) ==== | ||
+ | * **1980년**: | ||
+ | - 최초의 상업용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 | ||
+ | - 웨이브테이블 합성 기술을 도입하여 전통적인 아날로그 방식보다 더 다양한 사운드 제공. | ||
+ | - 시장에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기술적으로 큰 영향을 미침. | ||
+ | * **1981년**: | ||
+ | - PPG의 첫 번째 주요 성공작. | ||
+ | - 디지털 웨이브테이블 오실레이터와 아날로그 필터를 결합. | ||
+ | - 당시 유명한 뮤지션들(예: | ||
+ | * **1982년**: | ||
+ | - 개선된 메모리와 샘플링 기능 제공. | ||
+ | - 디지털 샘플과 웨이브테이블의 조합으로 독창적인 사운드 구현. | ||
+ | * **1984년**: | ||
+ | - 멀티팀버 기능 추가로 여러 음색을 동시에 연주 가능. | ||
+ | - 당시 최고급 신디사이저 중 하나로 평가받음. | ||
+ | |||
+ | ==== 3. PPG의 전성기와 기술적 혁신 (1980년대 중반) ==== | ||
+ | * **1983년**: | ||
+ | - 샘플링, 웨이브테이블 편집, 시퀀싱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워크스테이션. | ||
+ | -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시스템으로, | ||
+ | * **1985년**: | ||
+ | - Waveterm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 ||
+ | * **1986년**: | ||
+ | - Wave 2.3의 확장 모듈로, 음성 수를 늘리고 사운드 옵션을 확장. | ||
+ | |||
+ | ==== 4. PPG의 쇠퇴와 영향 (1987년 이후) ==== | ||
+ | * **1987년**: | ||
+ | - 높은 가격과 복잡한 구조로 인해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음. | ||
+ | * **1987년 이후**: PPG는 공식적으로 운영을 중단. | ||
+ | - Wolfgang Palm은 독립적인 엔지니어로 활동하며 디지털 음향 기술 개발에 집중. | ||
+ | |||
+ | |||
+ | |||
+ | ==== 6. PPG의 주요 신디사이저 목록 ==== | ||
+ | ^ **연도** ^ **모델명** ^ **특징** ^ | ||
+ | | 1976년 | 1020 Synthesizer | 아날로그 기반의 초기 신디사이저. | | ||
+ | | 1978년 | 340/380 System | 디지털과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설계. | | ||
+ | | 1981년 | PPG Wave 2 |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활용한 혁신적 모델. | | ||
+ | | 1982년 | PPG Wave 2.2 | 샘플링 기능과 확장된 메모리. | | ||
+ | | 1984년 | PPG Wave 2.3 | 멀티팀버 기능 추가. | | ||
+ | | 1983년 | PPG Waveterm | 샘플링 및 웨이브테이블 편집 기능. | | ||
+ | | 1986년 | PPG EVU | Wave 시리즈 확장 모듈. | | ||
+ | | 2012년 | PPG WaveGenerator | iOS용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 | ||
+ | | 2014년 | PPG WaveMapper | 웨이브테이블 합성의 현대적 인터페이스. | | ||
+ | |||
+ | ==== PPG의 유산과 영향 ==== | ||
+ | * PPG는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대중화한 선구적인 브랜드로,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