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yamaha:vl70-m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yamaha:vl70-m [2025/05/07]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yamaha:vl70-m [2025/05/08]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52.167.144.217
줄 1: 줄 1:
 +======Yamaha VL70-m======
  
 +**VL70-m Virtual Acoustic Tone Generator**는 1996년 야마하가 출시한 독창적인 장비입니다. 이 모듈의 기본 아이디어는 컴퓨터 기반의 피지컬 모델링 기술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단음(모노포닉) 음성을 생성하는 데 있습니다. 이 기술은 단순히 복잡한 진동과 공명을 시뮬레이션할 뿐만 아니라, 반사와 같은 음향 현상도 재현하여 실제 관악기나 현악기의 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충실히 모방합니다.
 +
 +**특징**\\
 +VL70-m에는 독립적인 리버브(Reverb), 코러스(Chorus), 배리이션(Variation) 및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를 제공하는 **내장 이펙트 섹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장치의 대부분의 파라미터는 패널 컨트롤을 통해 편집할 수 있지만, 야마하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음성 편집 소프트웨어**를 출시해 더욱 다양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클릭 가능한 버튼과 선택하기 쉬운 팔레트를 제공하는 **시각적 편집기 애플리케이션**도 제공되었습니다. 익숙한 노브와 스위치가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은 **아날로그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전문 편집기**는 물리적 모델링의 전체 파라미터를 활용하려는 전문가들에게 적합했습니다.
 +
 +**다양한 컨트롤 옵션**\\
 +VL70-m은 키보드로 제어할 수 있지만, 다양한 컨트롤러와 호환될 만큼 **다재다능**합니다. Yamaha WX 시리즈 관악기형 MIDI 컨트롤러를 연결할 수 있는 **WX In 잭**과 별도의 MIDI 인터페이스 없이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TO HOST 커넥터**가 있습니다. BC3 같은 **브레스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키보드를 사용할 때보다 더 풍부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기타 MIDI 변환기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디자인과 연결성**\\ 
 +VL70-m의 전면 패널에는 전원/볼륨 컨트롤, 브레스 컨트롤러 잭, WX IN 잭, 헤드폰 잭이 있습니다. 또한, 큰 백라이트 LCD 패널과 다양한 버튼을 통해 VL70-m을 제어하거나 모드를 변경하고 이펙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후면 패널에는 DC 입력 커넥터, L/MONO 및 R 출력 잭, MIDI IN/OUT/THRU 커넥터, TO HOST 커넥터 및 호스트 선택 스위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는 **256개의 프리셋**(2개 뱅크)과 이펙트를 포함한 **VL-XG 모드**를 지원합니다.
 +
 +**가상 어쿠스틱 합성의 장점**\\
 +VL70-m의 가장 큰 강점은 **Virtual Acoustic Synthesis** 기술로, 이는 기존의 오실레이터, 함수 생성기, 사전 설정된 파형 또는 샘플을 사용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음원 생성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더 깊이 있는 소리를 제공하며 표현력 있는 연주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
 +VL70-m은 매우 강력하고 유연한 창작 도구라는 약속을 충실히 이행했으며, 음악가들에게 뛰어난 가능성을 열어준 장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yamaha:20250114-162533.png}}
 +
 +{{tag>엔진:피지컬모델링 방식:디지털}}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